삼겹살, 계란, 라면까지… 체감 물가가 왜 이렇게 올랐을까? 2025년, 외식이나 장보기를 할 때마다 “이렇게 비쌌나?” 싶은 순간이 많아졌습니다. 최근 삼겹살 1인분이 2만 원을 넘기고, 계란 한 판은 7,000원을 돌파하면서 집밥도 외식도 부담스러운 현실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라면 한 개 가격이 2,000원을 넘었다는 소식에 이재명 대통령까지 “진짜냐”며 직접 물가 점검을 지시하는 등, 정부도 물가 관리에 비상에 걸렸습니다.
1. 실제로 얼마나 올랐나?
2025년 5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1.9% 상승하며, 지난해 말 이후 1%대 후반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전체 인플레이션율은 안정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지만, 식품 물가상승률은 3%에 달해 체감 물가 부담이 큽니다. 특히 계란, 돼지고기, 라면 등 국민 식탁과 직결된 품목의 가격 급등이 두드러집니다.
① 계란: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이달 계란 가격은 전년 대비 최대 18.5% 오를 전망입니다. 도축 마릿수 감소와 조류인플루엔자 등 질병 여파가 주요 원인입니다.
② 돼지고기: 3년 만에 최고가를 기록 중으로, 삼겹살 1인분이 2만 원을 넘는 매장이 속출하고 있습니다.
③ 라면: 라면 한 개 가격이 2,000원을 돌파하면서, 정부가 직접 가격 인상 요인 점검에 나섰습니다.
2. 왜 이렇게 올랐을까?
업계는 원재료 가격 상승, 환율 변동, 전기요금 인상 등 복합적인 요인을 들고 있습니다. 실제로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최근 6개월 사이 주요 식품 중 70% 이상이 가격이 올랐고, 초콜릿·커피·오징어채 등은 20~50%씩 급등했습니다. 지난해 정치적 불확실성과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 국제 유가 변동 등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특히 미트플레이션(meatflation), 즉 고기류 가격이 전체 물가를 끌어올리는 현상이 뚜렷합니다. 계란, 돼지고기 등 축산물 가격이 오르면서 집밥과 외식 모두 부담이 커지고 있습니다.
3. 정부, 물가 관리에 본격 대응
이재명 대통령은 “라면 한 개에 2,000원 한다는데 진짜냐”며 현실 점검을 지시했고, 정부는 바로 물가대책 TF를 가동했습니다. 라면, 커피, 초콜릿 등 소비자 체감이 큰 품목부터 가격 인상 요인을 면밀히 점검하고, 업계와 간담회를 진행 중입니다. 필요하다면 담합 여부 조사도 예고했습니다. 또한 할인쿠폰 등 소비자 지원책도 2차 추경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아, 단기적으로는 추가 가격 인상이 쉽지 않을 전망입니다.
4. 하반기 전망은?
한국은행과 KDI 등 주요 기관은 올해 하반기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대 후반에서 2% 초반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유가 하락, 낮은 수요 압력 등으로 물가 오름폭은 다소 둔화될 것으로 보이지만, 환율·유가 변동성, 여름철 기상 이슈 등 리스크 요인도 상존합니다. 특히 식품·외식 물가는 공급망, 국제 곡물가, 축산물 수급에 따라 추가 변동 가능성이 있습니다.
5. 체감 물가와 정책의 간극, 그리고 우리의 선택
전체 인플레이션율은 안정세를 보이고 있지만, 실제로 국민이 느끼는 장바구니 물가는 여전히 부담스럽습니다. 정부는 물가 관리와 소비자 지원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원재료·환율 등 대외 변수와 업계의 구조적 문제까지 한 번에 잡기는 쉽지 않습니다. 앞으로도 가격 변동이 큰 품목 위주로 정부의 집중 관리와 업계의 자율적인 가격 안정 노력이 병행되어야 할 것입니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할인 행사, 대체 상품 활용 등 똑똑한 소비 전략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녹색 에너지, 그리고 원자력 (feat. 우리가 몰랐던 새로운 변화)
1. 녹색 에너지, 그리고 원자력: 우리가 몰랐던 새로운 변화녹색 에너지라는 말을 들으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연스럽게 태양광, 풍력, 수력 발전소를 떠올립니다. 햇빛이 내리쬐는 태양광 패널,
mkpark01.tistory.com
중국의 AI칩 발전에 대응하는 미국의 수출 통제 (feat. 한국 반도체 산업의 위기)
챗GPT나 딥시크 같은 챗봇은 점점 일상생활의 필수품으로 자리 잡아갑니다. 사소한 질문부터 번역, 코딩, 이미지와 영상 제작 등 복잡한 요구까지 빠르고 쉽게 해결해 주기 때문인데요. 이런 챗
mkpark01.tistory.com
데일리 증시 상황 확인 지표 (feat. 환헤지 중단 속 원화 투자 심리 약세 전환)
1. 국민연금 환헤지 중단 속 원화 투자 심리 약세 전환화요일 밤 달러-원 환율(REGN)은 전거래일 대비 12원가량 오른 1,367원 부근에서 마감. 국민연금이 1월부터 시행해 오던 전략적 환헤지를 중단
mkpark01.tistory.com
'경제 > 거시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 정부 ‘배드뱅크’ 설립 추진, 자영업자 빚 탕감 정책 총정리 (10) | 2025.06.18 |
---|---|
데일리 증시 상황 확인 지표 (feat. 달러 약세 속 원화 강세) (8) | 2025.06.18 |
물류가 국가 전략이 되는 시대 (feat. 통합 시스템과 생활물류 강화) (5) | 2025.06.17 |
데일리 증시 상황 확인 지표 (feat. 중동 지정학적 이슈에 환율 변동) (8) | 2025.06.17 |
공급망 위기 감지, 전략물자 국적선박, 그리고 한국형 리쇼어링 (6) | 2025.06.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