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미얀마2 113년 만의 대지진, 미얀마 사가잉 주 강진 (feat. 원인과 피해현황) 지난 3월 28일, 미얀마 사가잉 주에서 발생한 규모 7.7의 대지진은 미얀마 역사상 가장 치명적인 자연재해 중 하나로 기록되고 있습니다. 이번 지진은 단순한 자연재해를 넘어, 내전과 정치적 혼란이 겹친 상황에서 발생해 피해가 더욱 심각하게 확대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지진의 원인, 피해 규모, 국제사회의 대응, 그리고 앞으로의 전망을 상세히 분석합니다. 1. 역대급 강진: 규모와 발생 원인1) 규모 7.7 대지진: 핵폭탄 334개의 위력이번 지진은 1912년 메묘 지진(규모 7.9) 이후 미얀마에서 가장 큰 규모로 기록되었습니다.① 에너지 규모: 미국 지질조사국(USGS)은 이번 지진의 에너지가 핵폭탄 334개가 동시에 터지는 것과 맞먹는다고 평가했습니다.② 진앙과 진원: 진앙은 사가잉 주 북서쪽.. 2025. 4. 2. 아시아 전지역, 기록적인 폭염으로 비상 상황 발생 잔인한 4월의 폭염이 계속해서 아시아의 많은 지역을 강타하고 있으며 동남아시아의 일부 국가들은 사상 최고 기온을 기록했고 인도 아대륙에서는 극심한 더위로 12명 이상이 사망했습니다. 기상 역사가 맥시밀라노 헤레라(Maximiliano Herrera)에 따르면 라오스의 루앙 프라방은 42.7°C에 도달하여 사상 최고 기록을 세운 국가라고 전했으며, 미얀마는 사가잉 중부 지역의 칼레와가 44°C에 도달하면서 4월 최고 기온 기록을 세웠다고 밝혔습니다. 태국은 역사상 처음으로 45°C를 넘어섰습니다. 이달 초 태국 당국은 수도 방콕의 방나 지역에서 열 지수가 50.2°C에 이를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여러 지방에 폭염 경보를 발령했습니다. 열 지수는 기온과 상대 습도를 음영 영역으로 결합한 지수를 말하며, 결과.. 2023. 4. 25.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