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보증금4 전세자금대출 만기 연장 시 주의사항 (feat. 전셋값 하락에 따른 보증금 감소) 최근 부동산시장은 전셋값이 하락하며 전세 보증금을 낮춰 재계약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2023년 5월, 부동산 빅데이터 기업의 조사 결과를 보면 수도권 아파트의 전세 재계약 건수 중 약 42.8%(1,713건)가 전세 보증금을 낮춰 재계약했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3억 원 이상 낮춰 재계약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오늘은 전세계약을 연장하고자 하는 임차인을 위해 ‘전세자금대출 만기 연장 시 주의사항’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전세계약 연장 가이드 전세자금대출 만기 연장을 하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집주인과 협의를 통해 전세계약 기간을 연장해야 합니다. 계약 만기 최소 3개월 전에 집주인에게 재계약 및 전세자금대출 연장 의사를 전하고, 만약 전세 보증금을 감액하거나 일부 조건 등을 변경한다면 .. 2023. 8. 1. 전세계약 종료 및 갱신 시 알아야할 유의사항 1. 계약 종료 시 유의사항 흔히 계약을 종료하고 집에서 나가고 싶으면 계약 종료 때까지 아무것도 하지 않으면 된다고 생각하곤 하지만 주택임대차보호법에는 묵시적 갱신이라는 조항이 있어서 계약 만기일로부터 6개월 전부터 2개월 전 사이에 계약을 해지하겠다는 의사를 표현하지 않으면 계약이 묵시적으로 갱신됩니다. 그러므로 집을 나가고 싶은데 아무 말도 하지 않고 계약 만기일 시점에서 2개월이 지나버리면 그 계약은 계약 기간만큼 한번 더 자동 연장됩니다. 만약, 묵시적 갱신이 된 이후에 임대인이 퇴거 요구를 하거나 보증금 인상을 강요한다면 거절할 수 있습니다. 이미 계약이 갱신되었기 때문입니다. 계약을 종료하고 다른 곳으로 이사 가고 싶다면 계약이 끝나기 6개월 전 ~ 2개월 전 사이에 임대인에게 연락해서 계약.. 2023. 5. 1. 계약기간이 끝난 후 일어날 수 있는 사기유형과 대처방법 세입자의 보증금을 떼먹는 전세사기가 요즘 기승을 부리고 있다고 합니다. 그동안 세입자가 떼인 보증금이 무려 총 2조 원에 달하며, 날이 갈수록 피해 건수도 증가하고, 피해 금액도 커지는 추세라고 합니다. 특히, 청년 세입자일수록 더 조심해야 합니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서 보증금 사기를 당한 사람 3명 중 2명이 청년층이라고 할 정도로, 매우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전세사기라는 명칭으로 불리지만 전세사기 유형들이 전부 사기죄에 해당하지는 않기 때문에 더욱 사전에 전세사기를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나의 보증금이 위태로워지는 순간은 언제인지, 전세사기가 어떻게 벌어지는 지를 확인하고, 전세사기를 예방하는 방법과 문제가 발생했을 때 어떻게 대처할 수 있는지도 함께 살펴봐야 하겠습니다... 2023. 4. 25. 집 고를 때 생길 수 있는 전세사기 유형 및 대처방법 세입자의 보증금을 떼먹는 전세사기가 요즘 기승을 부리고 있다고 합니다. 그동안 세입자가 떼인 보증금이 무려 총 2조 원에 달하며, 날이 갈수록 피해 건수도 증가하고, 피해 금액도 커지는 추세라고 합니다. 특히, 청년 세입자일수록 더 조심해야 합니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서 보증금 사기를 당한 사람 3명 중 2명이 청년층이라고 할 정도로, 매우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전세사기라는 명칭으로 불리지만 전세사기 유형들이 전부 사기죄에 해당하지는 않기 때문에 더욱 사전에 전세사기를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나의 보증금이 위태로워지는 순간은 언제인지, 전세사기가 어떻게 벌어지는 지를 확인하고, 전세사기를 예방하는 방법과 문제가 발생했을 때 어떻게 대처할 수 있는지도 함께 살펴봐야 하겠습니다... 2023. 4. 22.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