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양적 긴축3

데일리 증시 상황 확인 지표 (feat. 연준, 양적 긴축 조정) 1. 연준, 올해 성장률 전망↓ 인플레↑. 양적긴축 조정연준 위원들이 두 번 연속 기준금리를 동결하고, 올해 경제 성장이 둔화되고 인플레이션이 높아질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는 연방기금금리 목표 범위를 4.25%~4.5%로 유지하고, 4월부터 보유 중인 미국채의 월간 감축 한도를 기존 250억 달러에서 50억 달러로 줄이기로 했습니다. FOMC는 성명서에서 “경제 전망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증가했다”라고 진단했습니다. 또한 고용 목표와 인플레이션 목표 달성에 있어 리스크가 대체로 균형적이라는 이전 문구를 삭제했습니다. 2025년 경제 성장률 전망치는 중앙값 기준 2.1%에서 1.7%로 낮추고, 연말 근원 PCE 인플레이션 전망치는 2.5%에서 2.8%로 상향 조정했습니다. 올해 말.. 2025. 3. 24.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전쟁이 세계 경제에 미치는 모든 것 팔레스타인 저항 조직 하마스가 이스라엘을 공격했습니다. 그런데 시장의 시선은 전장에서 2,000km나 떨어진 이란으로 향하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이란이 하마스의 배후일 수도 있고, 배후는 아니더라도 이스라엘과 하마스의 충돌이 격해지면 하마스를 지원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입니다. 이 상황의 문제는 이스라엘은 결국 이란을 공격할 수밖에 없는데, 그때 이스라엘 편에 서야 하는 미국의 입장이 곤혹스럽기 때문입니다. 이란은 한 때 미국의 가장 큰 골칫거리이기도 했지만 지금은 아닙니다. 이란의 하루 원유 수출량은 올해 초보다 64만 배럴이나 증가했습니다. 주로 중국이 사가고 있지만 그게 유가 안정에 상당한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1. 이란이 뛰어들면 물가도 뛴다 물가 상승이 가장 큰 걱정거리인 미국 입장에선 다행스.. 2023. 10. 15.
풀리지 않는 미국 경제의 미스터리와 원인 (feat. 고금리, 고물가 그리고 고용 열기의 지속) 요즘 세계 경제의, 정확히는 미국 경제의 미스터리가 몇 가지 있습니다. 금리를 계속 올리고 있고, 최근 10년 동안 볼 수 없었던 높은 수준으로 금리가 뛰어올랐습니다. 물가도 생각만큼 내려가지 않고 고용도 식지 않고 있습니다. 1. 미 국채 10년물 금리, 4.8%까지 상승 물론 금리를 올린다고 물가와 고용이 바로 꺾이는 것은 아니니 좀 기다려야 할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시장은 ‘아무리 기다려도 물가와 고용이 꺾이지 않을 수도 있고 물가와 고용이 식더라도 금리는 계속 높을 수 있다’는 시나리오에 강하게 베팅 중입니다. 미국의 국채 10년물 금리가 4.8% 수준까지 다시 뛰어오른 게 그 증거입니다. 10년 후의 금리가 적어도 그 정도 수준이 될 것이라는 시장의 예상은 금리가 이렇게 높은 데도 불구하고 그.. 2023. 10.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