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한은총재2

이창용 한은총재, 8월 기자회견 주요 내용 총정리 (feat. 질의응답 Q&A) 금일 금리는 만장일치로 동결되었습니다. 물가 상승률이 둔화 흐름을 이어가고 있지만 목표 수준에 수렴하기까지는 상당한 시간 필요하다고 판단됩니다. 주요국 통화정책, 경기 불확실성이 높아졌고, 가계부채 문제도 지켜볼 필요가 있습니다. 향후 3개월 금리 전망은 6명 전원이 3.75%의 가능성 열어둬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1. 가계부채 추가 조치가 있을 것이라고 했는데 어떤 조치를 이야기하는 것인지? 최근 정책 상황이 자주 바뀌는데 대한 집값 보유 및 미보유자들의 희비가 엇갈리는데? 최근 가계부채는 예상보다 더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는 금리만의 문제가 아닙니다. 부동산 연착륙을 도모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도 일부 기인하고 있습니다. GDP 대비 가계부채 비중이 추가 증가 방지 위해 노력할 것입니다. 통화정책은 부.. 2023. 8. 24.
일본의 잃어버린 30년을 따라가고 있는 한국 (feat. 빅사이클) 일본 주식시장의 고점은 1989년 12월이었고, 일본 경제는 1990년대부터 꺾였다는 게 중론입니다. 잃어버린 30년이라는 용어도 그래서 나왔고 우리나라가 일본의 전철을 밟을 것이라는 어두운 전망도 수시로 언급됩니다. 지난 30년 동안 일본 경제는 우리가 따라가지 말아야 할 대상으로 여겨지는 것이 상식이었지만, 지난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한 강연에서 언급한 설명한 몇 가지 사실들은 우리나라가 앞으로 30년 동안 일본의 지나온 30년의 전철을 그대로 밟을 수만 있더라도 꽤 성공한 역사가 될 것이라는 우울한 결론으로 이어집니다. 일본의 잃어버린 30년을 우리는 피해 가야 한다고 생각하던 우리의 상식과는 다른 설명이어서 당황스럽기도 한데요. 우리나라의 어떤 요인들이 그런 우울한 시나리오를 담고 있는지 알아보.. 2023. 8.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