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화폐2

금리, 투자하기 전 필수로 장착해야 할 상식 (feat. 금리의 탄생) 1. 화폐의 등장과 금리 화폐는 개인 간의 거래를 촉진시키는 면도 있지만 정부가 경제에 개입을 하게 되는 단초가 되기도 하는 이중성을 갖고 있습니다. 우선 화폐의 두 가지 측면을 살펴봅니다. 1) 화폐 보관의 유용성 먼저 화폐는 사람들 간의 거래를 쉽게 만들어줍니다. 예를 들어, 쌀농사를 짓는 사람은 자신이 농사를 지은 쌀을 가지고 장에 가서 필요한 물건들로 바꾸려고 합니다. 쌀을 팔아서 신발도 사야 하고, 고기도 사야 하고, 술도 한 병 사고 싶습니다. 이 사람은 쌀을 가지고 다니면서 신발 장수, 고기 장수, 술 장수 등을 만나 쌀을 팔고 물건을 사야 합니다. 이런 과정이 너무 불편하기 때문에 사람들은 약속을 합니다. 조개껍질처럼 갖고 다니기 쉬운 물건을 정해서 사람들은 자기들이 갖고 있는 물건을 조개.. 2023. 12. 4.
회계의 기본원리: ROA, ROE, EVA 및 화폐의 미래가치 1. 총 자산이익률(ROA, Return On Assets) 사업이익을 총자본(부채 + 자기 자본)으로 나눈 값인데, 사업이익은 자금조달비용을 부담하기 전의 경상적 이익을 뜻하며, 영업이익에 수입이자를 더하거나 경상이익에 지급이자를 더한 것과 비슷합니다. 편의상 세후당기순이익을 총 자산이익률의 분자로 사용할 때도 있습니다. 총 자산이익률이란 한마디로 총자본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이익창출에 기여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2. 자기 자본이익률(ROE, Return On Equity) 자기 자본(주주자본)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이익창출에 기여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당기순이익을 자기 자본으로 나눠 구한 값을 말합니다. 참고로 자기 자본이익률은 오랜 세월에 걸쳐 이익을 쌓은 기업, 즉 우량기업일수록.. 2023. 5.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