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K하이닉스3 HBM이 바꾼 반도체 판도 (feat. SK하이닉스의 역전승과 삼성전자의 위기) 안녕하세요, 반도체 산업에 관심 있는 여러분! 오늘은 HBM(High Bandwidth Memory)이 어떻게 한국 반도체 산업의 지형을 바꾸고 있는지, 그리고 이로 인해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의 위상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SK하이닉스, 역사를 새로 쓰다2024년 1월 23일, SK하이닉스가 발표한 2024년 경영 실적은 많은 이들을 놀라게 했습니다. 매출 66조 1930억 원, 영업이익 23조 4673억 원이라는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한 것입니다. 이는 전년 대비 매출은 102% 증가, 영업이익은 7조 7303억 원의 적자에서 23조 4673억 원의 흑자로 극적인 반전을 이뤄낸 결과입니다. 특히 주목할 점은 이 실적이 삼성전자 반도체 부문의 영업이익(약 15조원 추정)을.. 2025. 2. 1. 2024년 반도체 업종 분석 (feat. 삼성전자 및 SK하이닉스) 1. 내년 AI 서버 출하량 +38% 증가, 전체 서버의 AI 비중 12% 내년 AI 서버 출하량은 168만대로 올해 대비 +38% 증가되고, 전체 서버에서 차지하는 AI 서버 비중도 올해 9%에서 내년 12%까지 확대될 전망입니다. 이에 따라 2027년까지 AI 서버 출하 성장률은 연평균 36%로 일반 서버 성장률(10%)을 3배 이상 상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2. 2024년 출시 GPU HBM 8개 탑재, 전년대비 2배 증가 북미 클라우드 업체인 AWS, 구글, MS, 메타 등은 엔비디아 및 AMD GPU 탑재뿐 아니라 독자 개발한 AI 칩까지 영역을 확대하며 학습에서 추론 분야까지 AI 서비스를 확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추론용 AI 반도체 솔루션도 단순 로직에서 복합 분야로 진화하며 NPU를 중심.. 2023. 12. 14. 오늘의 경제 이슈 (feat. 요소수 대란 재발 가능성, 한국-필리핀 FTA 체결, 뉴욕증시 혼조세, 사무라이본드 발행 및 토스증권 전산 오류) 1. 요소수 대란 재발 가능성, “중국, 요소 수출 중단 지시” 중국 정부가 일부 자국 비료 업체들에 요소 수출 중단을 지시했다는 보도가 나오고 있습니다. 국내 ‘요소수 대란’이 재연될 가능성이 제기됩니다. 1) 요소수 대란 재작년 말 중국은 자국에 비료 수급 문제가 생기자 원재료인 요소의 수출을 제한했습니다. 때문에 각국에서 경유 차량 등에 쓰이는 요소수 품귀 현상이 발생했는데, 특히 중국에서 거의 전량을 수입하던 한국에선 그야말로 ‘요소수 대란’이 터졌습니다. 이를 계기로 관련 업체들이 수입처를 다변화했지만 아직도 중국산 비중이 높은 편입니다. 2) 수출 제한 이유 중국 내 요소 가격이 오르자 당국이 수출 제한을 통해 이를 통제하려는 의도로 해석됩니다. 실제로 현지 시장에선 요소 선물 가격이 6월 중.. 2023. 9. 9.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