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은행 금융통화 위원회 주요 문구 변화 (feat. 물가에 따른 금리 조절 전망)
1. 통화정책 결정배경
추가 인상 필요성은 대내외 정책 여건의 변화를 점검하면서 판단해 나갈 것이란 문구를 삭제하였으며, 물가 판단 상향 조정, 대외 불확실성 큰 변화 부재, 가계부채 모니터링 스탠스 유지 및 명확해진 동결 기조
1) 물가 판단 및 전망
기존: 기조적인 둔화 흐름과 둔화 속도가 당초 예상보다 완만하다고 판단
변경: 당초 예상보다 높아졌지만 기조적인 둔화 흐름이 이어질 것
2) 불확실성
기존: 주요국의 통화긴축 기조 장기화 및 지정학적 리스크 증대
변경: 대외여건의 불확실성
3) 가계부채
기존: 가계부채 증가 흐름도 지켜볼 필요가 있음
변경: 가계부채가 증가되는 추이
2. 세계 경제
지정학적 리스크 감소 외에 특이사항 부재하며 향후 영향요인으로 국제유가 움직임 및 글로벌 인플레이션의 둔화 흐름, 주요국의 통화정책 변화 및 파급효과와 이스라엘-하마스 사태의 전개양상 유지
1) 경기 영향 요인
기존: 주요국의 통화긴축 기조 장기화 및 이스라엘-하마스 사태
변경: 주요국의 통화긴축 기조 장기화
2) 경기 흐름
기존 및 변경: 성장세 둔화 이어질 것으로 동일
3) 물가 흐름
기존: 물가가 점차 둔화되고 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인 가운데 국제유가상승 등으로 상방 리스크가 증대
변경: 물가는 둔화되고 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며 근원물가는 더디게 둔화

3. 국내 경제
기존에는 소비 부진과 수출 개선 판단 유지되었지만 눈높이는 낮췄으며 불확실성은 통화정책에서 지정학적 리스크로 전개되는 양상
1) 경기 판단
기존: 소비 회복세가 다소 더디며 수출 부진은 완화
변경: 소비 회복세 부진에서 경기 전망으로 이동하였으며, 수출 부진 완화 유지
2) 경기 전망
기존: 수출 부진 완화로 성장세가 점차 완화
변경: 수출 회복세 지속으로 개선 흐름 및 국내외 통화긴축 기조 장기화와 더딘 소비 회복세 영향으로 지난 전망치 소폭 하회
3) 불확실성
기존: 지정학적 리스크 증대 및 주요국의 통화긴축 기조 장기화
변경: 국내외 통화긴축 기조 장기화의 파급영향 및 지정학적 리스크의 전개 양상
4. 물가
누적된 비용인상 압력의 파급영향 지속의 문구를 삭제하였으며 큰 틀에서 유지되었지만 눈높이는 상향
1) 소비자물가
기존: 금년 말에 3%대 초반으로 낮아지고 내년에도 완만한 둔화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되며,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목표 수준으로 수렴하는 시기도 당초 예상보다 늦춰질 가능성이 커진 것으로 판단
변경: 기조적인 둔화 흐름을 이어가겠지만 예상보다 높아진 비용압력의 영향으로 지난 8월 전망경로를 상회할 것이며 내년 상반기 중 3% 내외, 연간으로는 금년 3.6%, 내년 2.6%으로 전망
2) 근원물가
당초 예상보다 완만해질 가능성이 있으며, 완만한 둔화 흐름 지속 판단. 금년 및 내년 상승률은 각각 3.5% 및 2.3%로 예상

5. 금융 안정
가계대출은 주택 관련대출을 중심으로 증가세 지속이 예상되며 비은행부문 리스크 문구는 삭세
1) 주택가격
기존: 수도권 중심으로 상승세 유지
변경: 주택가격 상승폭 축소
2) 가계대출
주택 관련대출을 중심으로 증가세 지속 유지
6. 정책 방향
기존: 물가안정에 중점을 두고 긴축 기조를 상당기간 지속하면서 추가 인상 필요성을 판단해 나갈 것
변경: 물가상승률이 목표 수준으로 수렴할 것이라는 확신이 들 때까지 통화긴축 기조를 충분히 장기간 지속할 것
국제 거시경제: OPEC+ 실망에 유가 급락, 미국 경제 둔화 신호, 11월 유로존 인플레이션 2.4%, 내년 4
1. OPEC+ 실망에 유가 급락 OPEC+ 산유국들이 유가를 떠받치기 위해 사우디아라비아가 추진한 대로 하루 100만 배럴을 추가 감산하기로 합의했습니다. 다만 개별 국가별로 산유량 등 구체적 합의 내
mkpark01.tistory.com
국제 거시경제: 미국채 멜트업, 메스터 동결 지지 시사, 바킨 추가 인상 가능성, 사우디 아라비아
1. 미국채 멜트업, 빌 애크먼 내년 1분기 인하 베팅 연준의 신속한 피봇에 대한 희망이 더욱 커지면서 여러 건의 블록 트레이드가 장기물보다 단기물 금리가 더 가파르게 빠지는 일드커브의 불스
mkpark01.tistory.com
국제 거시경제: 미국채 낙관론, 미국 충분히 긴축적인 금리, 유럽중앙은행 금리 인하는 시기상조
1. 액티브 투자자들, 미국채 낙관론 JP모건의 최신 설문조사 결과 액티브 투자자들이 미국채에 대해 해당 주간 설문이 시작된 1991년 이후 가장 낙관적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1월 27일 마감 주간
mkpark01.tistory.com
'경제 > 거시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신의 투자 이정표에 도움이 되는 Outlook 2024 총 정리 (feat. 올해의 마무리) (84) | 2023.12.04 |
---|---|
헨리 키신저 사망, '평화 인큐베이팅' 시대의 종말 (feat. 미국과 중국의 관계) (81) | 2023.12.03 |
경제가 어려운 이유 (feat. 전문가들도 자주 틀리는 경제) (73) | 2023.11.26 |
대통령 영국 의회 연설문 (feat. 도전을 기회로 바꿔줄 양국의 우정) (60) | 2023.11.22 |
11월 FOMC 의사록 주용 내용 총 정리 (feat. 기준금리, QT, 펀더멘털 및 물가) (59) | 2023.11.22 |
댓글
트렌디한 경제 상식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
이 글이 도움이 됐다면, 응원 댓글을 써보세요. 블로거에게 지급되는 응원금은 새로운 창작의 큰 힘이 됩니다.
응원 댓글은 만 14세 이상 카카오계정 이용자라면 누구나 편하게 작성, 결제할 수 있습니다.
글 본문, 댓글 목록 등을 통해 응원한 팬과 응원 댓글, 응원금을 강조해 보여줍니다.
응원금은 앱에서는 인앱결제, 웹에서는 카카오페이 및 신용카드로 결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