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결과 및 시장 반응
① 헤드라인 CPI(YoY) 3.2%. 컨센서스 3.3%, 전월 대비 3.0%
② 헤드라인 CPI(MoM) 0.2%, 컨센서스 0.2%, 전월 대비 0.2%
③ 코어 CPI(YoY) 4.7%, 컨센서스 4.8%, 전월 대비 4.8%
④ 코어 CPI(MoM) 0.2%, 컨센서스 0.2%, 전월 대비 0.2%
6월 달에 비해 인플레이션 수치가 높아지긴 했지만, 그래도 시장이 우려했던 수준은 아니었습니다. 이미 지난달부터 "당분간 올라갈 거다"라는 전망이 주가에 반영된 오고 있어서 그런지, 현재 미국 선물 시장 반응은 괜찮습니다. 지난밤 10시 기준 나스닥 선물 1.0%대 내외로 상승 중이었습니다.

2. 시사점
작년 6월을 기점으로 인플레이션은 줄곧 내리막길을 걸어왔으며, 향후의 레벨 다운 추세 또한 훼손되지 않았지만, 연말까지는 그 방향성이 흔들리는 경로를 상정해야 할 듯합니다. 아마도 작년 6월 고점을 기록한 이후 자연스러운 역기저 효과가 발생한 것이 인플레이션의 하락세를 견인해 왔는데, 이제는 그 효과가 소멸되기 시작하는 구간에 돌입했기 때문입니다.
또 변수가 될 수 있는 것은 그간 디스인플레이션을 주도해 왔던 에너지 가격의 움직임으로, 현재 WTI 국제 유가가 80불대를 상회한 만큼 향후 유가의 방향성이 전반적인 인플레이션 경로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이기에 유가에 신경 써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3. 향후 증시 방향
컨센 상회했으면 주식시장 입장에서도 골치 아플 뻔했는데, 일단 큰 고비는 넘겼으니 오늘 미국 본장이나 내일 국내 증시 반응은 우호적일 듯합니다. 다만, 파월 의장이 과연 8월 말 예정된 잭슨홀 미팅에서 8월 중 발표된 7월 고용과 CPI 결과를 받아보고 그 자리에서 어떤 스탠스를 보여줄지, 여기에 대한 불확실성을 아직 덜 소화했다는 점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습니다.
지수 하방 쪽에 베팅을 할 만한 실익이 크지는 않아 보이지만, 8월 중에 코스피가 전고점을 넘어 단숨에 2,700 돌파하는 경로를 상정하기보다는, 점차적으로 저점을 완만히 높여가는 주가 흐름을 상정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결국 1차적인 경로 재설정은 잭슨홀 미팅 끝나고 하는 것이 적절하기에, 그전까지는 현재처럼 업종이나 스타일 내에서 수급 로테이션이 벌어지는 장세가 전개될 것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2차전 지주들의 수급 변화, 또 중국의 6년 만의 한국 단체 관광 허용 소식 이후 오늘 모조리 급등했던 중국 관련주들 간 옥석 가리기가 어떤 형태로 진행될지, 이런 것들이 향후 국내 주식시장의 관전 포인트가 될 듯합니다.
국제 거시경제: 미국 인플레이션 경계, 유가와 천연가스 가격 상승, 미국채 금리 하락 및 중국 대
1. 연준, 인플레이션과 승리 임박 의심 미국의 인플레이션 전망을 보여주는 채권시장 지표가 9년 이내 고점을 향해 다시 상승하면서 연준이 앞으로도 수년간 높은 물가 압력과 계속 씨름할 수도
mkpark01.tistory.com
국제 거시경제: 미국 은행 신용등급 강등, 금리 인상 중단 시사 및 신흥시장(EM) 매도세 증가
1. 미국, 은행들 신용등급 강등 무디스가 미국 중소형 은행 10곳의 신용등급을 하향 조정하고 US 뱅코프, 뱅크오브뉴욕멜론, 스테이트 스트리트, 트루이스트 파이낸셜 등 주요 은행들의 등급도 강
mkpark01.tistory.com
피치, 미국 신용등급 햐향의 원인분석 (feat. AAA에서 AA+로 한단계 강등)
세계 3대 신용평가사 피치가 미국의 신용등급을 최고 등급인 AAA에서 AA+로 한 단계 낮췄습니다. 2011년에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미국의 국가 신용등급을 강등한 이후 12년 만에 처음입니다. 피
mkpark01.tistory.com
'경제 > 거시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의 잃어버린 30년을 따라가고 있는 한국 (feat. 빅사이클) (61) | 2023.08.17 |
---|---|
원-달러 환율 5월말 이후 두달여 만에 최고치 기록 (feat. 환율 상승의 5가지 배경) (47) | 2023.08.13 |
캐나다의 이민 정책에 대한 득과 실 (feat. GDP 성장 추진, 인플레이션 및 인프라 문제 발생) (53) | 2023.08.10 |
존 윌리엄스(John Williams) 뉴욕 연은 총재 인터뷰 전문 (65) | 2023.08.08 |
피치, 미국 신용등급 햐향의 원인분석 (feat. AAA에서 AA+로 한단계 강등) (92) | 2023.08.05 |
댓글
트렌디한 경제 상식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
이 글이 도움이 됐다면, 응원 댓글을 써보세요. 블로거에게 지급되는 응원금은 새로운 창작의 큰 힘이 됩니다.
응원 댓글은 만 14세 이상 카카오계정 이용자라면 누구나 편하게 작성, 결제할 수 있습니다.
글 본문, 댓글 목록 등을 통해 응원한 팬과 응원 댓글, 응원금을 강조해 보여줍니다.
응원금은 앱에서는 인앱결제, 웹에서는 카카오페이 및 신용카드로 결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