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4,133억 원 규모 카카오 지분 매각 결정
SK텔레콤은 2025년 4월 25일, 카카오 주식 1,081만 8,510주(약 2.5%)를 블록딜 방식으로 전량 매각한다고 공식 발표했습니다. 이는 약 4,133억 원 규모의 대형 거래로, SKT는 이번 매각으로 확보한 자금을 SK브로드밴드(SKB) 지분 확대와 AI 인프라 투자에 집중할 계획입니다. 2019년 양사가 주식 맞교환으로 협력 관계를 시작한 지 5년 6개월 만에 결별을 선언한 셈입니다.
2. 매각 배경: AI 인프라 전쟁에 모든 것을 건다
SKT는 이번 결정을 “미래 성장동력 확보와 재무 건전성 강화”로 설명했습니다. 핵심은 SK브로드밴드 완전자회사화와 AI 데이터센터 구축입니다.
1) SK브로드밴드 지분 확대
현재 74.4% 보유 지분을 99.1%로 올려 1조 1,500억 원을 투입, 태광그룹·미래에셋그룹이 보유한 24.8% 지분을 인수합니다.
2) AI 인프라 투자
미국 현지에 AI 특화 자회사 설립을 추진 중이며, AI 반도체·데이터센터·클라우드 분야에 전략적 자금을 배분할 예정입니다.
3. 2019년 주식 맞교환부터 현재까지: 협력의 빛과 그림자
2019년 11월, SKT와 카카오는 각각 3,000억 원 상당의 주식을 맞교환하며 전략적 제휴를 발표했습니다. 당시 양사는 “AI·모빌리티·플랫폼 분야에서 시너지 창출”을 공언했으나, 실제 성과는 미미했습니다.
실패한 협업 사례
① T맵 기반 카카오택시: 출시 무산
② 카카오톡 탑재 AI 스피커: 개발 중단
③ 내비게이션·커머스: 경쟁 구도 유지
④ AI 분야의 각자도생:
⑤ SKT → 앤트로픽·퍼플렉시티와 제휴
⑥ 카카오 → 오픈AI와 협업해 ‘카나나’ 출시 예정
4. 시장 반응: 카카오 주가 급락 vs SKT 자본 이익
이번 소식에 카카오 주가는 개장 직후 5% 급락하며 외국인 순매도 1위를 기록했고, 종가 기준 3.8% 하락했습니다. 반면 SKT는 주식 매각으로 1,000억 원 이상의 평가이익을 실현했습니다.
① 카카오 리스크: SKT의 지분 청산으로 인한 주식 공급 증가 우려
② SKT 기회: AI·데이터센터 투자를 통한 5G 넘어 6G 시대 주도권 확보
5. 향후 전망: 협력은 유지, 경쟁은 심화
양사는 “ESG 펀드 공동 운용 등 협력 지속”을 강조했지만, 실질적 동반자 관계는 종료됐다는 분석이 지배적입니다.
1) SKT의 다음 행보
① 2025년 말까지 데이터센터 5개 추가 증설
② AI 반도체 상용화를 위한 글로벌 파트너십 확대
2) 카카오의 도전
① 카나나 AI로 생성형 AI 시장 진입
② 모빌리티·커머스에서 네이버·배달의민족과의 경쟁 격화
3) SKT의 카카오 지분 매각 핵심 포인트
① 매각 규모: 1,081만 주(2.5%) → 4,133억 원
② 자금 활용: SK브로드밴드 지분 확대(74.4% → 99.1%) + AI 인프라 투자
③ 과거 협력 성과: AI·모빌리티 분야 협업 무산, 내비게이션 경쟁 지속
④ 주가 영향: 카카오 3.8% 급락 vs SKT 1,000억 원 평가이익
⑤ 미래 전략: SKT는 AI 데이터센터, 카카오는 생성형 AI에 집중
6. 결론: 재무적 유연성 vs 주가 안정성의 기로
SKT는 이번 매각으로 AI 인프라 전쟁에 필요한 자금과 전략적 유연성을 확보했습니다. 반면 카카오는 주가 안정성 회복과 AI·모빌리티 독자 생태계 구축이라는 이중고를 겪게 됐습니다. 양사의 선택이 2025년 한국 IT 업계 판도를 바꿀 첫 번째 도미노가 될 전망입니다.
2025년 스포츠웨어장의 지각변동 (feat. 나이키 vs 아디다스)
신발 한 켤레를 둘러싼 글로벌 전쟁2025년, 세계 스포츠웨어 시장은 나이키의 추락과 아디다스의 부활이라는 극적인 반전을 맞이했습니다. 나이키는 2025 회계연도 3분기(2024년 12월~2025년 2월) 매
mkpark01.tistory.com
에너지저장장치(ESS), 배터리 업계의 새로운 성장 동력
인공지능부터 전기차까지 시간이 지날수록 우리 삶에서 전기의 중요성은 점점 커집니다. 그래서 전기를 더 많이 만들어내는 방법에도 많은 연구가 진행 중이지만, 그만큼 만들어진 에너지를 효
mkpark01.tistory.com
K-배터리 3사의 관세 전쟁 대응 전략과 향후 전망
1. 미중 관세 갈등이 K-배터리 시장에 미칠 영향최근 미국과 중국 간의 관세 전쟁이 격화되면서 글로벌 배터리 시장 판도에 큰 변화가 예상되고 있습니다. 특히 중국산 전기차 배터리에 대한 미
mkpark01.tistory.com
'경제 > 국제증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올다무, 유통업계 판을 바꾸다 (feat. 가성비가 만든 10조 원 시대) (7) | 2025.05.03 |
---|---|
검은 황금, 김 수출의 빛과 그림자 (feat. 현황과 전망) (6) | 2025.05.01 |
2025년 스포츠웨어장의 지각변동 (feat. 나이키 vs 아디다스) (12) | 2025.04.28 |
"TC본더 전쟁" SK하이닉스 vs 한미반도체, 8년 동맹 붕괴 위기 (11) | 2025.04.28 |
메타 반독점 재판의 핵심 쟁점 (feat. 법정 공방부터 시장 파급력까지) (5) | 2025.04.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