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홈플러스4 MBK파트너스 (feat. 국내 최대 사모펀드의 성공과 도전) MBK파트너스는 국내 최대 규모의 사모펀드(PEF)로, 동북아시아를 중심으로 활발한 투자 활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2005년 설립 이후로 MBK는 롯데카드, 홈플러스, BHC 등 30개 이상의 기업을 포트폴리오에 포함시키며 성장해 왔습니다. 최근 한국앤컴퍼니 지분 공개매수를 추진하며 다시 한번 주목받고 있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MBK파트너스의 역사, 주요 투자 사례, 그리고 최근 이슈를 심층적으로 분석해 보겠습니다. 1. MBK파트너스란?1) 국내 최대 사모펀드의 탄생MBK파트너스는 2005년 설립된 국내 최대 규모의 사모펀드로, 동북아시아 지역(한국, 중국, 일본)에 집중 투자하고 있습니다. 설립 첫 해 11억 달러로 시작한 운용 규모는 매년 평균 29%씩 증가해 2021년에는 256억 달러를 돌파하며.. 2025. 3. 15. 홈플러스 기업회생의 나비효과 (feat. 유통업계와 금융권에 미치는 영향) 홈플러스의 기업회생 신청은 단순히 한 기업의 재무 위기를 넘어, 유통업계와 금융권에 광범위한 파장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납품업체들의 대금 지급 지연, 상품권 사용 중단, 그리고 개인 투자자들의 손실 우려까지, 홈플러스의 위기는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에게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1. 납품업체와의 갈등1) 납품 중단과 대금 지급 문제홈플러스의 기업회생 신청 직후, LG전자, 오뚜기, 롯데웰푸드, 삼양식품 등 주요 납품업체들이 대금 지급 지연을 우려해 납품을 일시 중단했습니다. 이로 인해 일부 매장에서는 라면 매대가 텅 비는 등 상품 공급에 차질이 발생했습니다. 2) 대금 지급 정상화와 의구심이후 홈플러스 측이 대금 지급을 정상화하면서 일부 업체들이 납품을 재개했지만, 여전히 납품업체들 사이에서는 홈.. 2025. 3. 14. 홈플러스 기업회생 절차 신청, 무엇이 문제인가? 국내 2위 대형마트인 홈플러스가 2025년 3월 4일 기업회생 절차를 신청하며 유통 업계에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이번 사태는 단순한 재무 문제를 넘어, 홈플러스의 운영 전략과 시장 환경 변화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이 글에서는 홈플러스의 위기 원인, 현황, 그리고 향후 전망을 상세히 분석해 보겠습니다. 1. 홈플러스 기업회생 절차 신청 배경1) 신용등급 하락과 자금 조달 문제홈플러스는 지난 2월 28일 신용평가 결과 기업어음(CP) 및 단기사채 신용등급이 'A3'에서 'A3-'로 하락했습니다. 이는 투기등급(B) 바로 위 등급으로, 자금 조달이 어려워질 위험이 커졌습니다. 신용등급 하락의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① 영업실적 부진: 장기간의 매출 감소와 현금창출력 약화② 과도한 부채.. 2025. 3. 9. 홈플러스 기업회생절차 돌입 (feat. 국내 2위 대형마트의 위기와 전망) 2025년 3월 4일, 국내 대형마트 업계 2위 홈플러스가 기업회생절차에 돌입했습니다. 이는 유통업계에 큰 충격을 주고 있으며, 오프라인 유통의 위기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홈플러스의 기업회생절차 신청 배경과 향후 전망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홈플러스 기업회생절차 신청의 배경1) 유동성 위기와 신용등급 하락홈플러스는 단기 유동성 악화로 인한 납품 대금 정산 어려움을 예방하기 위해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했습니다. 이미 2024년 11월부터 단기 자금 확보에 어려움을 겪기 시작한 홈플러스는 납품업체와 협의하여 대금을 한두 달 뒤에 지급하는 대신 지연 이자를 지급하는 방식으로 대응해 왔습니다. 2025년 2월 27일, 한국기업평가와 한국신용평가는 홈플러스의 기업어.. 2025. 3. 6.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