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국제증시

검은 황금, 김 수출의 빛과 그림자 (feat. 현황과 전망)

by 트렌디한 경제 상식 2025. 5. 1.
반응형

검은 황금, 김 수출의 빛과 그림자 (feat. 현황과 전망)
검은 황금, 김 수출의 빛과 그림자 (feat. 현황과 전망)

 

1. 2025년 1분기, 김 수출의 두 얼굴

2025년 첫 3개월 동안 한국 김 수출은 2억 8,100만 달러(약 4,020억 원)를 기록하며 사상 최고치를 달성했습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21.1% 증가한 수치로, 수출량도 1만 161톤으로 10년 전(1,076톤) 대비 844% 폭증했습니다. 미국이 5,790만 달러로 최대 수출국 자리를 지켰고, 중국(5,110만 달러)과 일본(3,440만 달러)이 그 뒤를 이었습니다. 특히 미국에서는 조미김 수요가 30% 이상 증가하며 "건강 간식"으로 재탄생했지만, 정작 어민들은 물김 가격 폭락(㎏당 763원, 전년 대비 50%↓)으로 고통받고 있습니다.

 

2. 세계 시장 70% 점유의 숨은 전략

한국 김의 글로벌 점유율 70%는 K-컬처 연계 마케팅과 할랄·비건 인증에서 비롯됐습니다. BTS·블랙핑크 등 한류 스타가 주도한 김밥 먹방 열풍은 전 세계에 한국 김의 존재감을 각인시켰고, 23개국에서 획득한 할랄 인증은 중동 시장 공략의 발판이 되었습니다. 동남아를 겨냥한 비건 제품 15종 라인업은 육류 대체 식품 수요를 흡수하며 새로운 시장을 개척 중입니다. 또한 2026년 상용화 예정인 고수온 내성 김은 기후변화에 대응한 "미래형 김"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3. 10억 달러 목표 앞의 장애물

정부의 2027년 연간 10억 달러 수출 목표는 생산량 조절 실패와 가공 인프라 부족으로 위협받고 있습니다. 2025년 1월 6,000톤의 물김이 바다에 버려지는 사태가 발생했고, 물김 가격 폭락은 어민들의 생계를 위협했습니다. 반면 마른김 가격은 10장당 1,353원으로 안정세를 유지하며 가공업체와의 갈등을 심화시켰습니다. 문제의 근본 원인은 가공시설의 70%가 소규모 업체로 구성되어 급증한 물량을 처리하지 못하는 데 있습니다.

 

4. 미국의 그림자: 강제노동 조사와 관세 리스크

미국 국무부는 신안군 염전 강제노동 사례를 수입금지 조치한 데 이어, 김 양식장 외국인 노동자 착취 의혹을 조사 중입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비윤리적 수산물 차단" 행정명령은 한국산 김에 대한 관세 인상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전문가들은 이 조치가 인권 문제보다 아시아 수산물 견제를 위한 전략적 판단이라고 분석합니다.

 

5. 2025~2027년, 김 산업의 3대 변혁

첫째, 블록체인 기반 마른김 거래소가 전남 신안에 도입됩니다. 2025년 하반기 시범 운영을 통해 가격 투명성을 확보하고, AI 예측 모델로 물량 조절에 활용할 계획입니다. 둘째, 드론·IoT를 활용한 스마트 양식이 본격화됩니다. 2026년까지 전국 양식장의 30%에 수온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입해 생산량 변동폭을 20% 이내로 줄일 예정입니다. 셋째, ISO와 공동 개발한 K-GIM 품질 인증제가 2027년 시행됩니다. 일본식 '노리'와 차별화해 "세계 김 표준"으로 자리매김할 전략입니다.

 

반응형

6. 현장에서 주목해야 할 3가지

① 햇김 구매 시기: 2025년산 햇김은 11월~2026년 5월까지 출하되며, 진도산이 첫 물량을 공급합니다.

② 미국 수출 필수 서류: 원산지 증명서와 노동 윤리 확인서를 반드시 첨부해야 합니다.

③ 신품종 도입 일정: 고수온 내성 '해찬들 3호'가 2025년 9월부터 본격 양식되며, 가격 안정화 효과가 기대됩니다.

 

7. 2025년 1분기 김 산업 현황 요약

① 수출액: 2.81억 달러(4,020억 원)로 전년 대비 21.1% 증가

② 수출량: 1만 161톤, 10년 전 대비 844% 폭증

③ 물김 가격: ㎏당 763원으로 전년 대비 50% 하락

④ 마른김 가격: 10장당 1,353원 유지

⑤ 할랄 인증 국가: 23개국 확보

 

"검은 황금"으로 불리는 김 산업이 수출 10억 달러 시대를 앞두고 있습니다. 하지만 미국의 제재 리스크와 내부적인 생산·유통 문제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정부·어민·가공업체의 삼각 협력 체계 구축이 시급합니다. 블록체인 거래소 도입부터 스마트 양식 기술 확보까지, K-GIM의 도약을 좌우할 중요한 3년이 시작됐습니다.


 

 

데일리 증시 상황 확인 지표 (feat. 환헤지 무력화시키는 한국 해외투자)

1. 씨티, ‘NPS 환헤지 무력화시키는 韓 해외투자’간밤 달러-원 환율(BGN)은 전반적인 달러 약세 속에 전 거래일 대비 약 5원 내린 1,436원 부근에서 마감했습니다. 씨티그룹은 한국 개인 투자자들

mkpark01.tistory.com

 

 

연방준비제도, 미국 경제의 수호자 (feat. 주식시장의 주목)

주식시장이 주목하는 세계적인 이벤트 중 하나를 꼽으라면, 연방준비제도(Fed, 연준)의 금리 결정을 빼놓을 수 없습니다. 금리가 오르고 내린다는 단순한 발표 하나에 전 세계 금융 시장이 요동

mkpark01.tistory.com

 

 

데일리 증시 상황 확인 지표 (feat. 원화 약세 흐름)

1. 원화 약세 흐름 뚜렷지난 금요일 밤 달러-원 환율(BGN)은 전반적인 달러 강세 속에 전 거래일 대비 약 9원 오른 1,441원 부근에서 마감했습니다. 한국의 마이너스 성장이 발표된 이후 뚜렷한 원화

mkpark01.tistory.com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