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주식297

비상계엄 충격에 국내 금융시장 요동 (feat. 달러 환율 고점) 1. 비상계엄 선포에 환율 출렁1) 달러 환율 치솟아지난 3일 오후 10시 25분경,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소식에 달러 환율이 급등했습니다. 장중 달러당 1,446.5원까지 치솟았는데요. 지난 2022년 10월 25일, 장중 고점인 1,444.2원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었습니다. 2) 비상계엄 해제에 환율 진정다행히 국회에서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이 가결되면서 요동치던 달러/원 환율은 다소 진정됐습니다. 장중 1,440원을 뚫었던 환율은 이내 1,418원대까지 내렸는데요. 지난 4일(현지 시각) 뉴욕장 환율은 결국 전일 대비 23.7원 오른 1,425원에 거래를 마감했습니다. 3) 환전·해외송금 한때 중단한편, 비상계엄 사태로 환율이 급등하자 한때 외화 관련 서비스가 중단되기도 했습니다. 토.. 2024. 12. 5.
미국 내에서 적용되었던 서머타임 해제 (feat. 심장마비 및 교통사고 확률 증가) 미국 내에서 적용되었던 서머타임이 해제되었습니다. 1. 서머타임이라면...낮이 긴 시즌(여름 등)이 왔을 때, 표준시를 1시간 앞당기는 제도예요. 쉽게 말해 오전 8시를 오전 9시라고 부르는 건데요. 그만큼 출근 시간, 등교 시간, 퇴근 시간, 하교 시간, 버스 운행 시간, 가게 운영 시간 등이 모두 앞당겨지죠. 한국, 일본, 아이슬란드를 제외한 모든 OECD 국가에서 참여하는 제도예요. 참고로 미국은 3월 10일에 서머타임을 적용해 11월 3일에 해제해요. 2. 서머타임, 왜 하는 거야?낮이 긴 시즌에 낮을 더 많이 써서, 에너지를 아끼고 낮 시간 활용도를 높이고 경제활동을 촉진하려는 거예요. 다만 실질적인 효과가 떨어지고 괜히 생체리듬만 망가뜨린다는 반박도 이어지는데요. 서머타임 도입/폐지 시기만 되.. 2024. 11. 12.
금투세 폐지 공식화 (feat. 자본시장의 활력 전망) 1. 금투세 폐지 공식화1) 입장 밝힌 민주당내년 1월 시행을 앞두고 논란이 계속되던 금융투자소득세(금투세)가 결국 폐지됩니다. 지난 4일, 금투세의 운명을 결정할 이재명 더불어민주당(민주당) 대표가 금투세 폐지 입장을 공식화했기 때문인데요. 그간 금투세 폐지를 주장한 정부·여당과 달리, 민주당은 ‘소득이 있는 곳에 세금 있다’라는 원칙을 내세우며 금투세 시행을 고수해 왔습니다. 금융투자소득세란 주식이나 채권, 펀드 같은 금융 상품에 투자해 연 5천만 원 넘는 수익이 났을 때 내야 하는 세금입니다. 수익의 20~25%가량이 부과되는데요. 2020년 여야 합의로 작년부터 시행하기로 했지만, 개인투자자의 반대에 2025년까지 시행이 유예됐습니다. 2) 주식시장 어려워이재명 대표는 금투세 폐지로 선회한 이유에.. 2024. 11. 5.
비트코인 1개 가격이 9,400만 원 (feat. 가격 상승 중) 비트코인 가격이 쭉쭉 올라요. 최근에는 1개 가격이 9,400만 원을 돌파했어요. 1. 비트코인이 올랐다고?아래의 요소들이 상승을 이끌었다는 말이 나와요. 1) 미국 대통령 후보와의 시너지트럼프와 해리스는 모두 암호화폐 기부를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어요. 비트코인 2024 콘퍼런스에 참석하는 등 친 암호화폐 행보를 걸어온 트럼프만큼은 아니지만, 해리스 역시 암호화폐/블록체인 기술 등을 언급하며 친화적인 태도를 보였죠. 2) 비트코인을 고려하는 나라들엘살바도르는 비트코인을 아예 법정화폐로 정해놓고, 예산을 써서 왕창 사놨어요. 부탄 등 일부 국가에서는 비트코인 채굴을 국가사업으로 밀기도 하죠. 마치 원유처럼, 비트코인을 전략적 준비 자산으로 모아놓자는 이야기가 미국 정치권(트럼프 등)에서 조금씩 나오기도.. 2024. 11. 4.
알아두면 돈이 돈이 되는 핵심 (feat. 금 선물 및 ETF, 트럼프 당선 가능성에 상승세, 이창용 총재, 통화정책 결정에 환율 고려해야 한다고 발언) 1. 금 선물 및 ETF, 트럼프 당선 가능성에 상승세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대선 승리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금 선물과 관련 ETF 수익률이 오름세를 보입니다.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서 거래되는 금 선물 가격은 이달 들어 3.37% 올랐고, TIGER 골드선물(H) 등 관련 ETF도 2%대 중반대의 양호한 수익률을 기록했는데요. 트럼프가 내세우는 관세 확대 및 감세 정책이 미국 재정 적자와 지정학적 긴장을 키울 수 있고, 이에 따라 대표 안전 자산인 금의 매력이 높아졌다는 분석입니다. 2. LG엔솔, 3분기 영업이익 4,483억 원올해 3분기, LG에너지솔루션의 영업이익은 4,483억 원으로 전기차 수요 둔화 영향에 전년 동기 대비 38.7%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다만, 전 분기 대비로는 .. 2024. 10. 30.
밸류업 프로그램의 진행 상황 (feat. 코스피만 별로..) 1. 밸류업 프로그램이 뭔데?1) 코스피만 별로미국, 일본 등에 비해 유독 한국 주식시장은 올 한 해 약세였습니다. 올해 들어 미국 나스닥 지수는 24.72%, 일본 니케이 지수는 13.90%가량 상승한 반면 코스피 지수는 3.2% 넘게 떨어졌는데요. 이에 한국 증시가 유독 저평가돼 있다는 ‘코리아 디스카운트’가 화두에 오르기도 했습니다. 2) 밸류업 프로젝트를 도입정부는 한국 증시 저평가 문제를 해소하고자 ‘밸류업 프로그램’을 도입했습니다. 지배구조를 개혁해 저평가된 기업가치를 개선하고, 의사결정 시스템을 투명하게 바꾸는 게 핵심입니다. 이를 통해 투자 유치를 촉진하고 경영 효율까지 높이려는 의도죠. 3) 생각보다 별거 없던데다만, 그간 밸류업 프로그램에 대한 시장 반응은 싸늘했습니다. 일본과 달리 참.. 2024. 10. 29.
주식 더 준다는 두산, 새 지배구조 개편안 발표 (feat. 깜짝 발표) 1. 두산의 깜짝 발표1) 합병비율 높일게지난 21일, 두산그룹이 새로운 지배구조 개편안을 발표했습니다. 두산에너빌리티(에너빌리티) 주주들이 두산로보틱스(로보틱스)의 주식을 더 받을 수 있도록 ‘분할 합병 비율’을 조정한 것이 핵심인데요. 현재 두산그룹은 두산밥캣(밥캣)을 자회사로 두고 있는 에너빌리티를 인적분할해 밥캣 지분을 보유한 신설 법인을 세운 뒤 신설법인과 로보틱스를 합병하고자 합니다. 인적분할이란 기업을 분할하는 방식 중 하나로 신설법인의 주식을 모회사의 주주에게 배분하는 것을 말합니다. 기존 두산에너빌리티 주주는 분할된 두산에너빌리티 주식과 두산로보틱스(신설법인과 합병) 주식을 받게 됩니다. 2) 얼마나 올랐는데?분할 합병 비율이 1대 0.0433으로 상향 조정됨에 따라 에너빌리티 주식 10.. 2024. 10. 23.
투자한다면 주식과 부동산.. 당신의 선택은? 1. 주식보다는 부동산이다?출근하면서 눈에 띄는 아파트를 보면 무조건 앱을 켭니다. 저 집은 얼마지? 궁금해서요. 오늘은 성수-행당동을 지나다 2개의 아파트 시세를 보게 됐어요. 정확히 올해 초 대비 2억이 올랐더라고요. 8월까지 2억 이상 오르다가 9월 들어 몇 천만 원이 떨어지는 상황. 물론 아직 ing이니 단정 짓긴 어렵지만, 조금씩이라도 떨어지고 있으니 고점에 산 사람들은 어떤 기분일까 란 생각이 들더라고요. 2. 상급지로 갈아타자!1~8월 주택 구입자가 '부동산 처분 대금'으로 자금을 조달하겠다고 신고한 비율이 57.8%였어요. 무슨 말이냐면, 집값이 6억 이상이거나 투기과열지구(강남 3구+용산구)에 있는 집을 사려면 ‘자금조달계획서’라는 걸 써야 해요. ‘무슨 돈으로 이 집을 살 거야?’라는 .. 2024. 10. 20.
우리나라 주식이라서 싸다는 코리아 디스카운트 요즘 부쩍 뉴스에 ‘코리아 디스카운트’라는 말이 자주 나옵니다. 정부가 주식 관련 제도를 손보면서 핵심 목표로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를 꼽았기 때문인데요. 한국 주식 시장이 저평가되면 기업은 물론 투자자들, 나아가 우리나라 경제에도 악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그런데 문득 우리나라 주식 가격이 정말 해외보다 낮게 평가되는지 궁금해집니다. 정말 한국이라서 국내 기업의 주가가 낮게 형성된 거라면 그 원인은 무엇인지도 말이죠. 오늘은 코리아 디스카운트가 실제로 존재하는지, 그렇다면 코리아 디스카운트의 원인은 무엇인지 자세히 분석했습니다. 1. 코리아 디스카운트란?코리아 디스카운트(Korea Discount)란 우리나라 기업의 주가가 비슷한 해외 기업의 주가보다 낮은 현상을 말합니다. 1997년 IMF 위기 이후.. 2024. 10.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