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증시120

금융위, ATS 넥스트레이드 본인가 (feat. 3월 4일 출범) 금융위원회는 제2차 정례회의를 개최하고 대체거래소(ATS·다자간매매체결회사) 넥스트레이드의 투자중개업을 본인가했다고 5일 밝혔다. 작년 11월 29일 넥스트레이드가 본인가를 신청한 지 세 달 만이다. 국내 증권시장에서도 ATS가 출범해 본격적인 복수 시장·경쟁체제가 도입·운영될 예정이다. 다음 달 4일 출범할 넥스트레이드는 한국거래소와 동시에 운영하는 정규 거래시간 전·후로 오전 8시~8시 50분의 프리(Pre) 마켓과 오후 3시 30분~8시까지의 애프터(After) 마켓을 운영한다. 이에 우리나라의 하루 주식거래 시간은 12시간이 될 예정이다. 또 한국거래소의 시가 예상체결가 표출시간과 시간외단일가 시장의 거래종목이 변경된다. 시·종가 단일가매매 시간 동안 넥스트레이드의 거래가 중단된다. 시·종가의 대.. 2025. 2. 6.
2024년 4분기 빅테크 실적 총정리 (feat. AI 혁명 속 희비 교차) 2025년 2월,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의 2024년 4분기 실적이 공개되면서 AI 시대의 승자와 패자가 갈리고 있습니다. 특히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의 등장으로 인한 기술 혁신과 시장 변화가 빅테크 기업들의 실적과 주가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각 기업의 실적과 전략, 그리고 향후 전망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메타: 오픈소스 AI 전략으로 '역대 최고 실적' 달성메타(구 페이스북)는 2024년 4분기에 주당순이익(EPS) 8.02달러를 기록하며 시장 예상치 6.77달러를 크게 상회했습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203% 증가한 수치로, 메타의 역대 최고 실적입니다. 1) 주요 성과① 일일 활성 사용자(DAU) 증가: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의 DAU가 33억 5천만 명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5.. 2025. 2. 3.
주식시장은 1997~98년처럼 거품인가? (feat. 유사점과 차이점) 1. 시장 가치 평가S&P 500는 2023년과 2024년에 2년 연속으로 상승세를 기록하며 20%를 넘어섰습니다. 이는 1997-1998년 기간을 연상시키며 오늘날의 시장이 비슷한 버블을 겪고 있는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합니다. 이를 평가하려면 경제, 시장 및 투자자 행동 요인을 고려하여 두 기간 간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살펴보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2. 주요 유사점1) 강력한 시장 모멘텀두 기간 모두 주식 시장은 강력한 모멘텀을 경험했습니다. 1990년대 후반에는 닷컴 붐으로 인해 급등했지만, 2023년과 2024년의 최근 상승은 특히 인공지능(AI), 클라우드 컴퓨팅, 반도체 분야의 기술 발전으로 인해 촉진되었습니다. 2) 추측 행동1990년대 후반과 마찬가지로 현재 시장의 일부 영역은 투기적 특성을 .. 2025. 2. 2.
중국의 DeepSeek이란 무엇이며, 왜 AI 업계를 놀라게 하고 있는가? DeepSeek은 설립된 지 1년 남짓 된 중국의 AI 스타트업으로, 세계 최고의 챗봇과 비교할 만한 성능을 제공하면서도 비용은 훨씬 저렴한 혁신적인 인공지능 모델을 선보이며 실리콘밸리를 놀라게 하고 있습니다. DeepSeek의 등장은 AI의 미래가 점점 더 많은 전력과 에너지를 필요로 할 것이라는 널리 퍼진 믿음에 반대되는 사례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1월 말, DeepSeek의 혁신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며 투자자들이 미국 기반 경쟁업체들과 이들의 하드웨어 공급업체에 미칠 영향을 소화하기 시작하면서 글로벌 기술주가 급락했습니다. 1. DeepSeek은 정확히 무엇인가?DeepSeek은 2023년 AI 기반 퀀트 헤지펀드인 하이플라이어(High-Flyer)의 대표 량원펑(Liang Wenfeng)에 의해 .. 2025. 2. 1.
HBM이 바꾼 반도체 판도 (feat. SK하이닉스의 역전승과 삼성전자의 위기) 안녕하세요, 반도체 산업에 관심 있는 여러분! 오늘은 HBM(High Bandwidth Memory)이 어떻게 한국 반도체 산업의 지형을 바꾸고 있는지, 그리고 이로 인해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의 위상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SK하이닉스, 역사를 새로 쓰다2024년 1월 23일, SK하이닉스가 발표한 2024년 경영 실적은 많은 이들을 놀라게 했습니다. 매출 66조 1930억 원, 영업이익 23조 4673억 원이라는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한 것입니다. 이는 전년 대비 매출은 102% 증가, 영업이익은 7조 7303억 원의 적자에서 23조 4673억 원의 흑자로 극적인 반전을 이뤄낸 결과입니다. 특히 주목할 점은 이 실적이 삼성전자 반도체 부문의 영업이익(약 15조원 추정)을.. 2025. 2. 1.
갤럭시 S25로 본 삼성전자의 AI 혁명 (feat. 스마트폰 시장의 새로운 지평) 안녕하세요, 오늘은 삼성전자가 공개한 갤럭시 S25 시리즈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이것이 삼성전자의 미래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분석해 보겠습니다. 1. 갤럭시 S25: AI의 새로운 시대를 열다2025년 1월 22일, 삼성전자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SAP센터에서 '갤럭시 언팩 2025' 행사를 개최했습니다. 이번 행사의 주인공은 단연 갤럭시 S25 시리즈였습니다. 노태문 삼성전자 MX사업부장은 갤럭시 S25 시리즈를 "완성된 AI 아키텍처를 갖춘 삼성전자의 첫 스마트폰"이라고 소개했습니다. 이는 삼성전자가 AI 기술을 스마트폰에 본격적으로 통합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1) 주요 AI 기능① 나우 브리프(Now Brief): 사용자의 스마트폰 사용 패턴과 데이터를 분석해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AI 개인 .. 2025. 1. 25.
티웨이항공 경영권 분쟁 (feat. 대명소노그룹의 대담한 도전) 2025년 1월, 한국 항공 업계에 거대한 파문이 일고 있습니다. 국내 최대 리조트 기업인 대명소노그룹이 저비용 항공사 티웨이항공의 경영권 확보에 나섰기 때문입니다. 이 움직임은 단순한 기업 인수를 넘어 한국 항공 산업 전체의 판도를 뒤흔들 수 있는 중대한 사건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 사건의 배경과 전개 과정, 그리고 앞으로의 전망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대명소노그룹의 티웨이항공 경영권 확보 시도: 배경과 전략대명소노그룹은 2025년 1월 20일, 자회사인 소노인터내셔널을 통해 티웨이항공에 경영개선요구서를 전달했습니다. 이는 단순한 요구가 아닌 경영권 확보를 위한 첫 단계로 해석됩니다. 대명소노그룹의 이러한 행보에는 몇 가지 중요한 배경이 있습니다. 첫째, 대명소노그룹은 오.. 2025. 1. 24.
한화그룹 주가 급등 (feat. 조선, 방산 및 가상자산 사업의 시너지) 안녕하세요, 투자와 경제 소식에 관심 많으신 여러분! 오늘은 최근 화제가 되고 있는 한화그룹의 주가 급등과 그 배경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재취임과 함께 한화그룹이 어떤 기회를 맞이하고 있는지, 그리고 앞으로의 전망은 어떨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1. 한화그룹의 독주, 그 이유는?1) 트럼프 수혜 업종 포트폴리오한화그룹은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에서 수혜를 받을 수 있는 다양한 업종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특히 조선, 방산, 우주 산업 등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① 한화오션조선 업체인 한화오션은 1월 21일 주가가 5만 5,000원까지 오르며 52주 신고가를 경신했습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화석연료 시추 활성화 정책과 맞물려, LNG 운반선 수요 증가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된 결과입니다.. 2025. 1. 23.
K-전력설비 업체의 주가 급등 (feat. AI 시대의 새로운 기회) 최근 한국의 전력설비 업체들이 주식 시장에서 놀라운 성과를 보이고 있습니다. LS그룹을 비롯한 주요 전력설비 기업들의 주가가 급등하면서 투자자들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는데요. 이러한 현상의 배경에는 글로벌 전력 수요의 급증과 한국 기업들의 기술력 강화가 자리 잡고 있습니다. 지금부터 이 흥미진진한 이야기를 자세히 들여다보겠습니다. 1. LS그룹, 전력설비 슈퍼사이클의 주역으로 부상1) LS일렉트릭, 미국 AI 시장 진출로 주가 폭등2024년 1월 17일, LS일렉트릭의 주가가 하루 만에 15% 이상 급등하는 놀라운 장면이 연출됐습니다. 이러한 급등의 배경에는 미국 AI 시장 진출이라는 큰 성과가 있었습니다. LS일렉트릭이 일론 머스크의 AI 개발사 xAI와 데이터센터용 전력기기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는 소.. 2025. 1.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