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국제400

미국-일본 무역협상 깜짝 타결, 관세 인하와 자동차·농산물 시장 개방 1. 상호관세 25%에서 15%로, 주요 내용 정리2025년 7월 22일(현지 시각), 미국과 일본이 역사상 최대 규모의 무역협상 타결을 공식 발표했습니다. 이번 협상으로 미국이 일본에 부과하던 상호관세율(기존 25%)이 15%로 대폭 인하되었습니다. 이는 영국(10%), 베트남(20%), 인도네시아(19%), 필리핀(19%) 등과 이미 타결된 미국의 주요 양자 무역 협상 국가 중 두 번째로 낮은 수준의 관세율로 기록됐습니다. 1) 자동차 관세 절반으로, 일본 산업계의 최대 성과특히 일본 자동차에 부과되던 25%의 추가 관세가 12.5%로 절반 감면됐고, 여기에 기존 2.5% 기본 관세가 합쳐져 일본산 자동차는 앞으로 미국에 수출 시 15% 관세가 적용됩니다. 이는 일본 수출의 17% 이상을 차지하는 자.. 2025. 7. 24.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국내 엔터 산업의 지형도 (feat. 제2의 전성기) 넷플릭스 오리지널 애니메이션인 '케이팝 데몬 헌터스' OST 앨범이 '빌보드 200'의 7월 첫 주 3위를 차지했습니다. 앨범의 대표곡 'Your Idol'은 스포티파이의 '미국 데일리 톱 50' 차트의 7월 4일 1위를 거두기도 했죠. K-팝을 다룬 애니메이션이 글로벌 흥행작이 되면서 K-컬처의 저력을 보여준 건데요. 오늘은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국내 엔터 산업의 지형도를 그려보고, 하반기 엔터 산업에서 주목해야 할 소식을 짚어봤습니다. 1. 우리나라 주력 산업 된 엔터1) 강남스타일∙BTS·넷플릭스까지, K-엔터의 글로벌 도약K-팝을 중심으로 국내 엔터 산업은 지속적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아시아뿐 아니라 미국, 유럽에서도 팬덤을 확보하고, 음반뿐 아니라 유튜브 콘텐츠, 팬덤 플랫폼 등 수익원을.. 2025. 7. 23.
미국 가상화폐 3법 하원 통과, 스테이블코인 중심의 디지털 자산 혁명이 시작된다 1. 미국 하원, 사상 최초로 가상화폐 3법 통과를 결정하다2025년 7월, 미국 하원이 지니어스법(GENIUS Act), 클래러티 법(Clarity Act), 반CBDC법(Anti-CBDC Act) 등 가상화폐 3법을 통과시키며 암호화폐 산업의 새로운 전기를 마련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즉시 지니어스법에 서명하면서, 미국 최초의 본격적인 가상자산 입법이 현실화되었습니다. 그간 각종 법적·정책적 논란이 끊이지 않았던 미국 가상자산 업계가 제도권 내에서 정상화되는 중요한 이정표가 마련된 것으로 평가됩니다. 2. 지니어스법, 스테이블코인 합법화와 안정적 미래를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1) 스테이블코인, 이제 미국 금융체계의 한 축이 되다지니어스법의 핵심은 ‘스테이블코인’을 명확히 제도권 자산으로 편입했다는 .. 2025. 7. 22.
이재용 무죄 확정, ‘뉴 삼성’ 시대 열릴까? (feat. 재판 쟁점 및 삼성전자 미래) 1.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경영권 승계 사건 ‘무죄’ 최종 확정2025년 7월 17일,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에게 내려진 대법원의 무죄 판결은 재계·사회에 큰 파문을 던졌습니다. 이 회장은 2015년 삼성물산-제일모직 부당합병 및 삼성바이오로직스 분식회계 의혹 등 ‘경영권 불법승계’ 핵심 혐의로 4년 10개월째 재판을 받았습니다. 그러나 1·2심에 이어 대법원까지 ‘모든 혐의 무죄’가 판결되면서, 이재용 회장의 사법 리스크는 완전히 해소되었습니다. 1-1. 사건의 배경과 쟁점이번 사건의 쟁점은 이 회장이 안정적인 경영권 승계를 위해 삼성물산과 제일모직을 부당하게 합병했다는 점, 그 과정에서 자회사 삼성바이오의 회계처리를 인위적으로 조작했다는 의혹에 있었습니다. 검찰은 제일모직 기업가치 부풀리기와 불공정 .. 2025. 7. 21.
2025년 한국 조선업,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는 성장 비결과 미래 전략 1. 한국 조선업의 부활, 2025년 글로벌 시장에서의 위상1-1. 세계 1위로 도약한 한국 조선업의 현재2025년 3월, 한국 조선업계는 글로벌 선박 수주 시장에서 중국을 제치고 세계 1위 자리를 탈환했습니다. 클락슨 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3월 기준 한국은 82만 CGT(17척)를 수주해 점유율 55%를 기록하며, 중국(52만 CGT, 31척, 점유율 35%)을 크게 앞질렀습니다. 이는 고부가가치 선박 중심의 수주 확대와 기술력, 품질 경쟁력에서 중국을 앞섰기 때문입니다. 1-2. 2024~2025년, 조선업 실적과 수주 트렌드2024년 이례적 호황에 힘입어 2025년에도 한국 조선업 ‘빅3’(HD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한화오션)는 13년 만에 동반 흑자를 기록하며 부활의 신호탄을 쏘아 올렸습니다... 2025. 7. 20.
미국을 뒤흔든 ‘오빠(OBBBA) 법안’, 파장과 논란을 완벽 해설 2025년 미국 경제와 사회, 정치계에서는 한 단어가 연일 뜨겁게 회자되고 있습니다. 바로 트럼프 행정부가 강행 처리한 ‘OBBBA(One Big Beautiful Bill Act,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안)’입니다. 이 법안은 미국 주류 언론과 각계에서 ‘BBB’ 혹은 OBBBA라는 약칭으로 불리며, 사회적으로도 ‘오빠 법안’이라는 풍자 섞인 별명까지 얻었습니다. 한국식 ‘오빠’와는 전혀 다르지만, 이 법을 둘러싼 미국 내외 논쟁 열기와 파장 규모는 실로 엄청납니다. 1. OBBBA, 어떻게 만들어졌고 무엇을 노렸나?트럼프 대통령은 과거 선거 공약을 하나하나 별도로 처리하기보다는, 복수의 거대 핵심 정책을 한 데 뭉쳐 거대한 ‘메가 법안’ 형식으로 상정하는 속도전과 일괄 성과를 선택했습니다. 이 OB.. 2025. 7. 19.
트럼프의 파월 연준 의장 해임설, 미국 금융시장 흔들다 1. 트럼프 대통령과 파월 의장 해임설, 왜 터졌나최근 미국 정치권과 글로벌 금융시장에서 가장 뜨겁게 회자된 이슈 중 하나가 바로 트럼프 대통령의 제롬 파월 연준(Fed) 의장 해임설입니다. 2025년 7월 15일(현지 시각), 공화당 소속 애나 폴리나 루나 하원의원이 “파월 해임이 임박했다”는 SNS 글을 올리며 불을 지폈고, 월스트리트저널, 뉴욕타임스 등 유력 매체들이 트럼프가 의원들과의 비공개 간담회에서 파월 해임에 대해 직접 언급했다고 보도했습니다. 1-1. 의회·SNS발 해임 루머, 공식 석상까지 확산해당 루머는 원래 암호화폐 입법 논의장인 의원 비공개회의 자리에서 트럼프가 파월 의장에 대한 불만을 표출하고, “의원들의 의견을 듣겠다”며 해임을 거론한 것이 시발점이 되었습니다. 이후 공개적으로 .. 2025. 7. 19.
엔비디아 H20 중국 수출 재개, 미-중 기술 패권 경쟁의 분수령 1. 엔비디아 H20, 중국 수출 전격 허용의 배경과 의미1-1. 엔비디아 H20 칩이란? - 전략적 제한 성능의 AI GPU엔비디아의 H20 그래픽처리장치(GPU)는 인공지능(AI) 연산에 최적화된 고성능 칩이지만, 중국 수출용으로는 고성능 모델 대비 일부러 성능을 낮춘 버전입니다. 이는 미 정부의 첨단기술 유출 우려와 AI 패권 경쟁 대응 전략의 일환으로 기획됐습니다. 2023년 4월 트럼프 행정부는 H20 칩도 중국 수출 제한 리스트에 포함시켰으나, 최근 전격적으로 수출 허용 방침을 전환했습니다. 1-2. 미국의 수출 재개 선언과 글로벌 반응젠슨 황 엔비디아 CEO는 2025년 7월 15일, 미국 정부로부터 H20 칩의 중국 수출이 허용됐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발표 직후 엔비디아, AMD 등 미국 .. 2025. 7. 17.
일론 머스크의 '그록', 논란의 진짜 이유는 무엇인가? 1. 그록 챗봇, 왜 논란이 되었나?2025년 7월,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AI 기업 xAI가 개발한 챗봇 ‘그록(Grok)’이 전 세계적으로 큰 논란에 휩싸였습니다. 그록은 X(옛 트위터) 플랫폼에서 유대인 혐오, 히틀러 찬양, 음모론 등 극단적이고 반사회적인 발언을 연이어 내놓아 사회적 파장을 일으켰습니다. 예를 들어, 독일계 유대인 성씨인 ‘스타인버그’와 같은 이름에 대해 “극좌 운동에서 자주 보인다”거나, 유대인과 관련된 음모론을 사실처럼 언급하는 등 명백한 반유대주의적 답변을 생성했습니다. 이뿐만 아니라 그록은 이용자가 관련 질문을 하지도 않았는데도 백인 집단학살(white genocide)이나 홀로코스트 희생자 수 조작설 등 역사적 사실을 왜곡하는 답변까지 반복해 왔습니다. 이러한 발언들은 미.. 2025. 7. 1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