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미국113

데일리 증시 상황 확인 지표 (feat. 자동차 관세와 한국) 1. 자동차 관세와 韓 경제 우려당장 시장 반응은 제한적으로 보이지만, 자동차 관세가 한국 경제에 미칠 역풍에 대해 우려는 깊은 편입니다. 씨티그룹은 자동차 및 부품에 대한 관세의 간접적 파장이 다른 제품보다 클 전망이라며, 향후 1년 동안 GDP에 0.12%가량 마이너스 충격이 예상된다고 분석했습니다. 다만 한- 미간 협상 여지는 있다고 지적. 31일 한국 주식시장에서 공매도가 재개되면 헤지펀드가 돌아오면서 전환사채 발행 급증이 예상된다고 골드만삭스와 BNP 파리바 등이 전망했습니다. 2. FX 변동성 베팅 감소. ‘차라리 관망이 낫다’트럼프의 4월 2일 상호관세 발표를 앞두고 외환 트레이더들이 이전과 달리 변동성 베팅을 자제하는 분위기입니다. 블룸버그 집계에 따르면, 캐나다 달러 및 유로 등 관세에 .. 2025. 3. 31.
BYD의 혁신적인 슈퍼 E-플랫폼 (feat. 전기차 충전의 새로운 패러다임) 2025년 3월 17일, 중국의 선도적인 전기차 제조업체 BYD(Build Your Dreams)가 전기차 업계에 혁명적인 변화를 예고하는 신기술을 공개했습니다. '슈퍼 E-플랫폼'이라 명명된 이 기술은 단 5분 충전으로 400km 주행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이는 현재 업계 최고 수준으로 평가받는 테슬라의 슈퍼차저(15분 충전에 275km 주행)를 크게 앞서는 성능으로, 전기차의 가장 큰 단점으로 지적되어 온 긴 충전 시간문제를 획기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잠재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1. 슈퍼 E-플랫폼의 핵심 기술과 혁신BYD의 새로운 플랫폼은 여러 혁신적인 기술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주요 기술적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1000V 고전압 시스템: 기존 전기차 시스템보다 훨씬 높은 전압을 .. 2025. 3. 30.
트럼프 가족의 스테이블 코인 'USD1' 발행.. 혁신인가, 논란인가?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가족이 암호화폐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합니다. 트럼프 가족의 디지털 자산 회사 World Liberty Financial이 'USD1'이라는 이름의 스테이블 코인을 발행한다고 발표해 큰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스테이블 코인의 개념부터 트럼프 가족의 의도, 그리고 이 프로젝트가 가져올 수 있는 영향과 논란까지 심층적으로 분석해 보겠습니다. 1. 스테이블 코인: 암호화폐의 안정적 대안스테이블 코인은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 같은 기존 암호화폐의 높은 변동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디지털 자산입니다. 일반적으로 미국 달러나 금과 같은 안정적인 자산에 가치를 연동하여, 1 코인 = 1달러와 같이 일정한 가치를 유지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스테이블 코인의 주요 장점은.. 2025. 3. 29.
현대차, 미국에 30조 원 투자로 관세 문제 돌파 현대자동차그룹의 미국 시장 대규모 투자 계획은 자동차 산업의 판도를 바꿀 만한 중대한 결정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2025년 3월 24일(현지시각), 현대차는 향후 4년간 미국에 총 210억 달러(약 30조 원)를 투자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현대차의 미국 진출 이래 최대 규모의 투자로, 자동차 생산부터 첨단 기술 개발까지 광범위한 분야를 아우르는 종합적인 전략의 일환입니다. 1. 투자의 세부 내용과 의미현대차의 이번 투자는 크게 세 분야로 나뉩니다. 먼저, 자동차 생산에 86억 달러를 투자합니다. 이는 미국 내 생산 능력을 대폭 확대하기 위한 것으로, 조지아주에 건설 중인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의 연간 생산능력을 30만 대에서 50만 대로 늘리는 계획이 포함됩니다. 이를 통해.. 2025. 3. 27.
트럼프 vs EU (feat. 빅테크 규제를 둘러싼 무역 갈등의 심화와 그 영향) 2025년 3월, 세계 경제는 다시 한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정책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특히 EU의 빅테크 규제와 이에 대한 트럼프 행정부의 대응이 새로운 무역 갈등의 불씨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최근 발생한 사건들을 중심으로 미국과 EU 간의 긴장 관계를 심층적으로 살펴보고, 이 갈등이 글로벌 경제와 기술 산업에 미칠 영향을 분석해 보겠습니다. 1. EU의 디지털시장법(DMA): 빅테크 규제의 신호탄1) DMA의 배경과 목적2024년 3월부터 시행된 EU의 디지털시장법(Digital Markets Act, DMA)은 디지털 시장에서의 공정 경쟁을 목표로 하는 획기적인 법안입니다. 이 법의 주요 목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거대 기술 기업들의 시장 지배력 견제② 중소기업과 스.. 2025. 3. 26.
데일리 증시 상황 확인 지표 (feat. 분기말 달러 강세) 1. 분기말 달러 강세 움직임간밤 달러-원 환율(BGN)은 전 거래일 대비 약 3원 오른 1,469원 부근에서 마감했습니다. 분기말을 앞두고 달러 약세가 지속될지는 불투명해 보입니다. 뱅크오브아메리카는 헤지펀드들이 4월 2일 관세 시행일을 앞두고 달러를 매수하기 시작했다면서, “전체적인 시장의 달러 포지션은 중립이며 공격적인 미국 관세와 보복에 따른 리스크 회피로 단기 상승 리스크가 더 커질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2. 트럼프 압박 vs 보스틱 1번 인하트럼프는 연준을 압박하며 금리 인하를 재차 촉구했습니다. 그는 “전반적으로 가격이 내려가고 있으며 에너지 가격도 하락하고 있다. 연준이 금리 인하를 하기 바란다”라고 언급했습니다. 그러나 보스틱 애틀랜타 연은 총재는 관세 인상이 디스인플레이션의 진전을 .. 2025. 3. 26.
데일리 증시 상황 확인 지표 (feat. FTSE 리밸런싱에 원화 강세 눈길) 1. 韓 탄핵정국 고비. FTSE 리밸런싱에 원화 강세 눈길씨티그룹은 헌법재판소가 3월 28일부터 4월 중순 사이에 윤석열 대통령 탄핵 인용 결정을 내릴 것으로 예상하면서, 정치적 불확실성이 완화되더라도 3개월 동안 달러-원 환율은 1,450원에서 머물고, 6~12개월 시계에서는 1,435원으로 조금 내릴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FTSE 리밸런싱을 맞아 외국인이 코스피에서 8월 이후 최대 규모인 8,000억 원 넘게 순매수한 가운데, 서울 오후장에서는 1,460원까지 내렸다가 이후 낙폭이 줄어드는 모습입니다. 최근 원화는 글로벌 주식 인덱스의 리밸런싱에 다소 뚜렷한 영향을 받는 양상으로, 2월 말에는 MSCI 리밸런싱 속에 이틀 새 30원이 뛰기도 했습니다. 2. 트럼프 당선 후 처음으로 달러 숏투기적 트.. 2025. 3. 25.
미 연준, 기준금리 동결 (feat. 경제 불확실성과 트럼프 관세정책의 여파) 2025년 3월 19일,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 Fed)는 기준금리를 4.25~4.50%로 동결했습니다. 이는 연속적인 금리 인상 이후 두 번째 동결로, 인플레이션 압력과 경제적 불확실성 속에서 신중한 접근을 택한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경제 전망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면서, 연준은 금리를 유지하며 상황을 지켜보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연준의 금리 동결 배경, 양적긴축 조정, 향후 금리 전망, 그리고 글로벌 금융시장에 미칠 영향을 심층적으로 분석합니다. 1. 금리 동결의 배경: 트럼프 관세정책과 경제적 불확실성1) 트럼프발 관세전쟁이 불러온 인플레이션 압력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인플레이션 예상치를 높이는 데 기여했다고 언급했습니다.. 2025. 3. 24.
한국, 미국의 민감국가 목록에 추가 (feat. 배경, 영향, 그리고 대응 전략) 2025년 1월, 미국 정부가 한국을 ‘민감국가 및 기타 지정국가 목록’(Sensitive and Other Designated Countries List, SCL)에 추가한 사실이 확인되며 큰 파장이 일고 있습니다. 이번 지정은 미국 에너지부(DOE)의 주도로 이루어졌으며, 한국 정부가 사전에 이를 전혀 인지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더욱 충격적입니다. 이 글에서는 이번 지정의 배경, 한국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정부의 대응 전략을 깊이 있게 살펴보겠습니다. 1. 민감국가 목록이란 무엇인가?민감국가 목록은 국가안보, 핵 비확산, 경제안보 위협, 테러 지원, 지역 불안정 등의 이유로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국가를 지정한 목록입니다. 이 목록에 포함되면, 미국과의 원자력, 인공지능(AI) 등 첨단 기술 분.. 2025. 3.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