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한국106

한국이커머스 진출 본격화하는 유튜브와 쉬인 (feat. 국내 이커머스 시장 경쟁) 알리 익스프레스, 테무 등 중국 이커머스 업체에 이어 새로운 도전자가 한국 이커머스 시장에 도전장을 냅니다. 바로 국내 1위 앱 유튜브와 초저가 전략으로 전 세계 패스트패션 시장을 휩쓴 쉬인인데요. 안 그래도 치열하던 국내 이커머스 시장 경쟁이 한층 더 격해질 전망입니다. 1. 유튜브가 찜한 이커머스 거점, 한국1) 유튜브 보고 바로 쇼핑까지지난 23일, 유튜브가 한국에서 쇼핑 전용 스토어 기능을 출시했습니다. 유튜브 영상을 보던 중 구매를 원하면 유튜브 자체 스토어로 바로 접속할 수 있게 됐는데요. 연락처, 주소 등을 입력하고 결제를 진행하면 간편하게 물건을 살 수 있죠. 2) 구글 투자까지 동원작년 12월, 유튜브 모기업 구글은 이커머스 솔루션 업체 카페 24에 260억 원을 직접 투자하는 등 이번 .. 2024. 6. 24.
스마트테크, 로봇과 메타버스가 바꿀 산업 (feat. 스마트테크 코리아 2024) 오늘날 테크놀로지는 생산에서부터 유통, 물류, 소비 과정에 이르기까지 전 방위로 도입되고 있는데요. 특히 AI 로봇 메타버스의 물결이 넘실대고 있습니다. 매경미디어그룹은 스마트제조혁신협회, 엑스포럼과 함께 '스마트테크 코리아 2024'를 코엑스에서 19일부터 21일까지 열고 있습니다. 특히 올해 스마트테크코리아에서는 AI 로봇 메타버스 리테일 등 400개 기업이 코엑스 A B C홀을 가득 채웠는데요. 어떤 새로운 기술이 산업 현장에 접목되고 있는지 이틀간에 걸쳐 살펴보겠습니다. 오늘은 로봇과 메타버스, 내일은 인공지능에 대해 심층 점검해 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그럼 서둘러 출발하겠습니다. (1) 15kg 힘을 내는 FRT로보틱스의 웨어러블 로봇 (2) 실외 배달 로봇 뉴비 (3) 큐브형 창고 자동화 로.. 2024. 6. 21.
라인야후, 끝내 네이버와의 빠른 손절을 예고 (feat. 지배력 약화) 우리나라에 카카오톡이 있다면 일본엔 라인이 있습니다. 네이버가 개발한 만큼 국내 기업의 유일무이한 글로벌 플랫폼으로 여겨졌는데요. 하지만 일본 정부가 네이버의 라인 지배력 약화에 나서면서 논란이 불거졌죠. 지난 18일, 라인야후는 끝내 네이버와의 빠른 손절을 예고했습니다. 1. 실감 나기 시작하는 네이버와의 결별1) 관계 정리 더 빠르게지난 18일, 이데자와 다케시 라인야후 최고경영자(CEO)가 정기 주주총회에서 네이버와의 관계를 더 빨리 끊겠다는 목소리를 냈습니다. 라인야후 직원용 서버를 네이버 클라우드에서 분리하고, 포털사이트 야후의 검색, 개발 인증에서도 네이버와 위탁 협력을 종료할 예정인데요. 2026년으로 예상했던 네이버 시스템 분리를 한층 앞당길 계획이라고도 밝혔습니다. 2) 탈네이버 노선 재.. 2024. 6. 21.
공화당 소속이지만 트럼프는 반대 (feat. 한국 사위, 래리 호건) ‘한국 사위’ 래리 호건을 아십니까. 한국 사위로 이미 유명세를 탄 터라 국내에 잘 알려져 있습니다. 워싱턴 DC의 북쪽에 접해 있고 한국 교포들이 많이 살고 있는 메릴랜드에서 주지사를 했었지요. 지금은 상원 의원에 도전장을 냈고요, 올해 말 선거를 앞두고 있습니다. 그런데 호건 전 주지사가 최근에 미국 정가에서 다시 주목받고 있습니다. 다름 아닌 굴하지 않는 소신 발언 때문인데요. 그의 소신 발언이 상원 의원 선거에 독이 될지, 약이 될지 궁금합니다. 1. 누가 뭐래도 反트럼프호건 전 주지사는 공화당 소속입니다. 민주당의 텃밭으로 꼽히는 메릴랜드에서 2014년과 2018년 두 차례 주지사에 당선됐기 때문에 공화당 소속 주지사라는 그의 타이틀이 더욱 빛났었지요. 그런데 그는 지독한 반(反) 트럼프주의자입.. 2024. 6. 21.
스테이지엑스 자격 취소로 물 건너 간 제4이통사 (feat. 독과점) 지난 1월, 스테이지엑스는 4,301억 원에 5G용 28GHz 주파수를 낙찰받으며 제4이동통신사(이통사) 설립 절차에 착수했습니다. 이통 3사의 독과점을 깨고 국민의 통신비 부담을 덜어주겠다는 당찬 포부도 밝혔는데요. 그런데 5개월 만에 제4이통사가 물거품이 될 위기에 처했습니다. 주파수(frequency)란 전파나 음파가 1초 동안 진동하는 횟수를 의미하며, 단위는 주로 헤르츠(Hz)를 씁니다. 빠른 데이터 전송 속도와 많은 데이터를 보내기 위해서는 고주파 대역이 필요한데요. LTE는 800MHz 대역을, 5G 서비스는 3.5GHz 대역을 사용합니다. 1. 스테이지엑스, 제4이통사 자격 박탈1) 제4이통사 자격 박탈지난 14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가 스테이지엑스의 28GHz 주파수 할당대상법.. 2024. 6. 1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