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618

침체된 부동산 시장을 살리기 위한 정부의 결정 (feat. 리츠, REITs) 국내 부동산 시장 침체가 길어지고 있어요. 시장 상황이 워낙 좋지 않기 때문에, 건물을 올리는 회사들이 대출을 갚지 못해 심각한 위기에 처하는 경우가 자주 보이고 있고요. 이런 경우가 늘어나면서 자칫하면 경제 전체의 부실로 번질 수도 있다는 위기감이 감도는 상황인데요. 이번에 정부에서 침체된 부동산 시장을 살리기 위한 나름의 묘책을 발표했어요. 국민들로부터 돈을 모아서 부동산에 투자하는 리츠(REITs)를 활성화하겠다는 대책이에요. 1. 리츠가 뭐야?리츠(REITs)는 Real Estate Investment Trusts의 약자로, 우리말로 해석하자면 ‘부동산투자신탁’을 의미해요. 쉽게 이해하자면, ‘부동산을 쪼개서 공동구매 하는 것’이라고 보면 돼요. A라는 회사를 세운 뒤에 여러 명으로부터 자금을 모.. 2024. 6. 25.
코스닥 상장 무산된 이노그리드 (feat. 클라우드 운영 플랫폼 전문 기업) 2006년 설립된 이노그리드는 클라우드 운영 플랫폼 전문 기업입니다. 공공기관이나 기업이 기존 인프라를 클라우드로 옮기는 것을 ‘디지털 전환’이라고 하는데요. 이노그리드는 디지털 전환과 관련해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며 빠르게 성장해 왔죠. 3년 사이 4배에 가까운 매출 성장세를 바탕으로 코스닥 상장에도 도전했지만 결국 문턱을 넘지 못했습니다. 1. 상장 거절당한 이유는?1) 순탄치 않았던 IPO 과정이노그리드는 작년 2월 코스닥 상장예비심사를 신청했지만 거래소 상장심의위원회로부터 ‘미승인’ 판정을 받았습니다. 결국 재심 절차를 거쳐 올해 1월 시장위원회에서 승인을 받아냈죠. 2) 상장예비심사상장예비심사는 기업공개(IPO)를 위한 절차로, 거래소에서 상장의 적정성 등을 판단하는 과정입니다. 상장예비심사를 .. 2024. 6. 25.
고꾸라진 엔화로 벼락거지 된 일본 (feat. 강달러의 치명적인 피해) 오랫동안 고금리가 지속되는 상황에서도 미국 경제는 높은 경제 성장률과 낮은 실업률을 기록하며 호황을 누리고 있습니다 반면, 성장세가 꺾인 다른 나라는 고금리를 버티지 못하고 금리 인하에 나섰는데요. 이에 달러 가치는 연일 상승세입니다. 강달러에 가장 치명적인 피해를 본 나라가 바로 일본이죠. 1. 슈퍼 엔저에 깜짝 놀란 일본1) 1달러가 160엔24일 달러/엔 환율이 달러당 160엔에 육박했습니다. 한때 159.9엔까지 치솟았다가 159.6엔으로 내려왔는데요. 2020년 달러/엔 환율이 100엔 언저리였던 것을 고려하면 환율이 4년 만에 60% 가까이 치솟은 것입니다. 환율은 한 통화와 다른 통화의 교환 비율을 가리킵니다. 달러/엔 환율이 높아진다는 것은 1달러를 사기 위해 더 많은 엔화를 지불해야 하며.. 2024. 6. 25.
국제 거시경제: 프랑스 리스크 프리미엄 최고, 연준 빅4 은행 장리의향서 개선 지적, 중국과 EU, 전기차 관세 협상 합의 및 미국, 반도체와 AI 관련 중국 투자 제약 1. 분트채 대비 프랑스 리스크 프리미엄 2012년 이후 최고조기 총선 실시 후 프랑스의 재정 상태가 더욱 악화될 수 있다는 우려 속에 독일 대비 프랑스 국채의 리스크 프리미엄이 유로존 부채 위기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Candriam과 BlueBay Asset Management 등은 극우파인 마린 르펜의 국민연합(RN)이 이번 총선에서 승리할 경우 추가 손실에 취약하다며 프랑스 국채를 피하고 있습니다. 프랑스 좌파 연합은 당면한 경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27년까지 연간 1,500억 유로(1,600억 달러)를 추가 지출하고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이 실시한 친기업적 개혁 조치 중 일부를 철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여론조사에 따르면 RN을 주축으로 한 극우진영이 577개의 의석 중 250~300석.. 2024. 6. 25.
투자자들에게 해외로 부를 퍼뜨리라고 조언한 억만장자 레이 달리오 브리지워터 어소시에이츠(Bridgewater Associates)의 창립자인 레이 달리오(Ray Dalio)는 미국 투자자들에게 경고의 이야기를 전하고 있습니다. 2024년 대선이 다가오면서 달리오는 잠재적인 국내 불안정을 경고하고 미국 국경을 넘어 다각화를 촉구했습니다. 1. 자산을 보호하기 위한 다각화 핵심달리오는 “제2차 미국 남북전쟁”이 일어날 가능성을 3분의 1로 보고 있다. 다른 경제적 요인과 결합된 이러한 내부 갈등 가능성으로 인해 그는 투자자들에게 보유 자산을 국제적으로 분산시키라고 조언했습니다. 그는 다각화가 국내 혼란으로 인한 잠재적인 자산 가치 하락에 대한 보호 장치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2. 안정성과 성장에 초점달리오는 두 가지 접근 방식을 제안합니다. 그는 미국 경제의.. 2024. 6. 2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