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정부77

침체된 부동산 시장을 살리기 위한 정부의 결정 (feat. 리츠, REITs) 국내 부동산 시장 침체가 길어지고 있어요. 시장 상황이 워낙 좋지 않기 때문에, 건물을 올리는 회사들이 대출을 갚지 못해 심각한 위기에 처하는 경우가 자주 보이고 있고요. 이런 경우가 늘어나면서 자칫하면 경제 전체의 부실로 번질 수도 있다는 위기감이 감도는 상황인데요. 이번에 정부에서 침체된 부동산 시장을 살리기 위한 나름의 묘책을 발표했어요. 국민들로부터 돈을 모아서 부동산에 투자하는 리츠(REITs)를 활성화하겠다는 대책이에요. 1. 리츠가 뭐야?리츠(REITs)는 Real Estate Investment Trusts의 약자로, 우리말로 해석하자면 ‘부동산투자신탁’을 의미해요. 쉽게 이해하자면, ‘부동산을 쪼개서 공동구매 하는 것’이라고 보면 돼요. A라는 회사를 세운 뒤에 여러 명으로부터 자금을 모.. 2024. 6. 25.
출산율 반등 노리는 인구 국가비상사태 선언 (feat. 정부의 특단 조치) 연일 최저치를 기록하며 작년 0.72명까지 떨어진 한국 합계출산율. 올해는 0.6명대로 주저앉을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데요. 2021년 기준 한국의 0~4세 인구는 165만 명으로 170만 명인 북한보다도 적었죠. 이에 정부가 특단의 조치에 나섰습니다. 1. 고대 스파르타처럼 사라질지 모른다고?1) 인구 국가비상사태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19일 열린 2024년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회의에서 인구 국가비상사태를 공식 선언했습니다. 계속되는 저출생 문제에 총력 대응하겠다는 건데요. 인구 감소로 멸망한 그리스 고대 도시인 스파르타를 언급하며 문제의 심각성을 강조했습니다. 2) 인구전략기획부 신설인구 문제를 집중적으로 다룰 ‘인구전략기획부’ 신설 계획도 내놨습니다. 저출생 예산에 관한 사전 심의권과 지자체 사업에 관.. 2024. 6. 24.
전셋값 상승이 계속될 거란 시그널 (feat. 드림하우스를 구입하는 방법) 1. 전셋값 상승이 계속될 거란 시그널전셋값 상승은 매매가에 영향을 미쳐요. 전세가 이렇게 비싸면 차라리 그냥 집을 사고 말지, 라면서 매수세로 돌아서거든요. 제가 작년 10월 눈여겨보던 집이 있었는데요. 얼마 전 앱을 켜보니 호가가 1억이 올랐더라고요. 불과 반년 사이에 '눈여겨볼 수도 없는' 상황이 되어버린 거죠. 이렇게 1억 가까이 오른 이유 중 하나가 전셋값 상승입니다. 서울이 공급부족을 향해 높이 올라가고 있습니다. 상승전망 역시 가장 높고요. 그런데 앞으로 서울 메인 지역 중심으로 전세가는 더 높게 치솟을 것 같아요. 바로 '토지거래허가구역'이 복병으로 떠올랐거든요. 지난 13일 강남구 삼성·청담·대치동과 송파구 잠실동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재지정하면서 다시 이슈가 되고 있어요. 딱 봐도 비싼.. 2024. 6. 19.
스테이지엑스 자격 취소로 물 건너 간 제4이통사 (feat. 독과점) 지난 1월, 스테이지엑스는 4,301억 원에 5G용 28GHz 주파수를 낙찰받으며 제4이동통신사(이통사) 설립 절차에 착수했습니다. 이통 3사의 독과점을 깨고 국민의 통신비 부담을 덜어주겠다는 당찬 포부도 밝혔는데요. 그런데 5개월 만에 제4이통사가 물거품이 될 위기에 처했습니다. 주파수(frequency)란 전파나 음파가 1초 동안 진동하는 횟수를 의미하며, 단위는 주로 헤르츠(Hz)를 씁니다. 빠른 데이터 전송 속도와 많은 데이터를 보내기 위해서는 고주파 대역이 필요한데요. LTE는 800MHz 대역을, 5G 서비스는 3.5GHz 대역을 사용합니다. 1. 스테이지엑스, 제4이통사 자격 박탈1) 제4이통사 자격 박탈지난 14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가 스테이지엑스의 28GHz 주파수 할당대상법.. 2024. 6. 19.
한-아프리카 정상회의와 국내 건설업계 아프리카 진출 현황 지난 6월 4일, 한-아프리카 정상회의가 양일 간 열렸습니다. 본 정상회의는 아프리카 48개국이 참가하는 최초의 대 아프리카 정상회의이면서 현 정부 출범 이래 최대 규모의 다자 정상회의였는데요. 각국 정상, 장•차관, 기업 관계자들이 만나 전략적 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하고, 조약•협정 12건, MOU 35건을 체결하는 성과를 얻어냈습니다. 한-아프리카 정상회의를 계기로 국내 건설사들의 아프리카 시장 진출에도 청신호가 켜졌는데요. 금주 인사이트에서는 한-아프리카 정상회의와 인프라 포럼으로 가시화된 K-건설의 아프리카 진출과 국내 건설사들의 수주 대응 현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한-아프리카 정상회의 주요 내용이번 한-아프리카 정상회의에는 아프리카 48개국이 참석하고, 25개국의 정상급 대표가 참석했는.. 2024. 6. 18.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