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

통영·거제 멍게, 창원 미더덕의 대량 폐사…해산물 위기와 그 원인

by 트렌디한 경제 상식 2025. 4. 26.
반응형

통영·거제 멍게, 창원 미더덕의 대량 폐사…해산물 위기와 그 원인
통영·거제 멍게, 창원 미더덕의 대량 폐사…해산물 위기와 그 원인

 

1. 남해안 멍게·미더덕, 왜 사라지나?

최근 통영과 거제의 멍게, 창원의 미더덕 등 남해안 대표 해산물이 대량 폐사하면서 지역 특산물과 해산물 요리의 위기가 현실이 되고 있습니다. 실제로 2024년 기준, 넙치, 조피볼락, 전복, 강도다리, 굴, 멍게, 미더덕 등 양식장 수산물의 대량 폐사로 1,430억 원에 달하는 피해가 발생했습니다. 특히 멍게의 경우, 지난해 8~9월 남해 멍게의 97%가 폐사해 냉동·활멍게 가격이 폭등했고, 창원 지역 미더덕도 채취가 어려워지면서 대표 축제인 창원진동미더덕축제가 취소되는 사태까지 벌어졌습니다.

 

이뿐만 아니라, 대형기선저인망수협 소속 어선의 절반 이상이 감척(어선 수 감축) 의사를 밝히는 등 어업 기반 자체가 흔들리고 있습니다. 연근해어업 생산량도 오징어(-42.1%), 갈치(-26.6%), 꽃게(-23.3%), 멸치(-18.8%) 등 주요 어종에서 큰 폭으로 감소해, 어민과 소비자 모두가 체감하는 해산물 위기가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2. 원인은? 기후변화와 해수온 상승, 그리고 남획

이 같은 대량 폐사의 가장 큰 원인은 기후변화와 해수온 상승입니다. 2024년 우리나라 주변 해역의 해수면 온도는 17.8도로, 최근 10년(2015~2024년) 중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이상고수온 현상도 182.1일로, 10년 평균(50.4일)의 3.6배에 달했습니다. 실제로 통영·거제 멍게 양식장에서는 바닷물 온도가 29~31도까지 치솟으면서 멍게의 95~97%가 폐사하는 등, 고수온이 직접적인 피해를 불러왔습니다.

 

이상고수온 외에도 괭생이모자반, 독성 해파리 등 외래 해양생물의 유입, 열대·아열대성 어종의 북상, 남획과 불법어업 등도 수산물 감소의 배경으로 꼽힙니다. 연근해 어업 생산량 감소의 주요 원인으로는 수온 상승에 따른 어류 회유경로 변경, 자원량 감소, 어획 강도 과다 등이 지적되고 있습니다.

 

3. 소비자와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이러한 해산물 대량 폐사는 소비자 식탁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멍게 비빔밥, 미더덕 찜 등 지역 대표 해산물 요리의 재료가 사라지면서 가격이 급등하고, 일부 축제와 지역 경제에도 타격을 주고 있습니다. 실제로 고등어, 갈치, 오징어 등 주요 어종의 가격이 수십 퍼센트씩 오르는 등, 해산물 가격 불안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4. 해수면 상승과 해양환경 변화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우리나라 연안의 해수면도 꾸준히 상승하고 있습니다. 지난 35년(1989~2023년) 동안 해수면은 연평균 3.06mm, 최근 10년(2014~2023년)에는 연평균 3.88mm씩 올라, 총 10.7cm가 상승했습니다. 이로 인해 해양생태계 변화가 가속화되고, 양식장 환경도 더욱 불안정해지고 있습니다.

 

반응형

5. 앞으로의 과제와 대응 방안

이상고수온과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선, 고수온에 강한 품종 개발, 양식장 환경 개선, 어업 자원 보호 정책 강화 등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합니다. 어민 지원과 함께, 정부와 지자체의 적극적인 재난 대응, 양식 보험 확대, 대체 어장 조성 등도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통영·거제의 멍게, 창원의 미더덕 등 남해안 대표 해산물이 기후변화와 해수온 상승, 남획 등 복합적 원인으로 대량 폐사하며, 지역 경제와 소비자 식탁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앞으로는 해양환경 변화에 맞춘 양식 기술 혁신과 자원 보호, 어민 지원 정책이 절실히 요구됩니다.


 

 

SKT 유심 유출 사태, 지금 당장 체크해야 할 5가지

1. 사건 요약: 3일간의 추적 기록4월 18일 오후 6시 SKT 내부 시스템에서 비정상 접근이 감지되었고, 19일 오후 11시 악성코드로 인한 유심 정보 유출이 확인되었습니다. 45시간이 지난 20일 오후 4시

mkpark01.tistory.com

 

 

상법 개정안이 가져올 기업 지배구조 대변혁 (feat. 심층 분석과 미래 전망)

1. 대주주 중심 지배구조의 종말을 선언하다2025년 상법 개정안은 한국 기업사에 기록될 혁명적인 변화를 예고하고 있습니다. 이번 개정안의 핵심은 기업 경영의 패러다임을 '대주주 중심'에서 '

mkpark01.tistory.com

 

 

잇따른 가격 인상, 소비자 부담만 커지는 현실

2025년 들어 식품 및 외식업계의 가격 인상이 줄줄이 이어지면서 소비자들의 생활비 부담이 크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커피, 빵, 라면, 맥주 등 일상적으로 소비되는 품목부터 프랜차이즈 메뉴까

mkpark01.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