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고용8 미국 경제 과열 조짐 (feat. 인플레이션의 귀환의 우려) 미국 경제가 예상을 뛰어넘는 강세를 보이면서 인플레이션 우려가 다시 고개를 들고 있습니다. 최근 발표된 경제지표들은 미국 경제의 견고함을 보여주고 있지만, 동시에 물가 상승 압력이 다시 커질 수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이 금융시장과 통화정책에 미칠 영향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미국 경제, 예상 밖의 강세1) 고용 시장의 놀라운 회복세지난 10일 발표된 미국의 12월 고용 보고서는 많은 이들을 놀라게 했습니다. 비농업 부문 일자리가 25만 6천 개 증가하며 전문가들의 예상치 15만 5천 개를 크게 상회했습니다. 실업률도 4.1%로 떨어져 노동시장의 강세를 여실히 보여주었습니다. 이러한 고용 지표의 강세는 경제 활력을 보여주는 긍정적인 신호이지만, 동시에 인플레이션 우려를 키우는 요.. 2025. 1. 15. 고용 보고서 누락 및 영향 (feat. 연준의 금리 인하 촉진 여부) 1. 고용 보고서 누락 및 영향2024년 5월 3일 오늘 최근 상황이 바뀌면서 미국 4월 비농업 급여 보고서가 발표되면서 연준의 통화 정책 입장에 대한 추측이 촉발되었습니다. 예상된 243,000개에 비해 175,000개의 일자리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난 이 보고서는 경제학자와 투자자 모두에게 우려를 불러일으켰습니다. 이러한 기대치와의 편차는 연준이 이전에 예상했던 것보다 더 빨리 금리를 인하할 것인지 여부에 대한 논의를 촉발시켰습니다. 고용 보고서는 노동 시장의 건전성과 전반적인 경제 활동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는 중요한 경제 지표 역할을 합니다. 탄탄한 노동 시장은 종종 경제력의 신호로 간주되며, 이로 인해 연준은 인플레이션이 걷잡을 수 없이 치솟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금리를 인상하여 통화 긴축 정책을.. 2024. 5. 6. 달러화의 가치, 주식시장 그리고 채권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경제지표 1. 달러화의 가치에 가장 영향력을 미치는 경제지표 1) 고용현황 보고서 2) 국제무역 3) 국내총생산(GDP) 4) 경상수지 5) 산업생산설비가동률 6) 공급관리자협회(ISM) 제조업 보고서 7) 소매판매 8) 소비자물가 9) 소비자신뢰와 심리조사 10) 생산성과 단위비용 2. 주식시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경제지표 1) 고용현황보고서 2) 공급관리자협회(ISM) 제조업 보고서 3) 주간 실업수당신청건수 4) 소비자물가 5) 생산자물가 6) 소매판매 7) 소비자신뢰와 심리조사 8) 개인소득과 지출 9) 내구재주문 10) 국내총생산(GDP) 3. 채권시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경제지표 1) 고용현황보고서 2) 소비자물가 3) 공급관리자협회(ISM) 제조업 보고서 4) 생산자물가 5) 주간 실업수당.. 2024. 2. 8. 2024년 분야별 변화되는 지원 제도 총정리 (feat. 출산, 금융, 부동산 및 고용) 2024년 새해가 밝았습니다. 해가 바뀌면서 실생활에도 많은 변화가 찾아오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출산, 금융, 부동산 및 자영업자 지원 관련 제도의 변화를 정리해 봤습니다. 1. 육아 및 출산의 지원 정책 1) 6+6 부모육아휴직제 올해부터 부부가 모두 육아휴직을 하면 휴직 중 받는 급여가 늘어납니다. 통상임금의 100%를 지급하는 기간이 첫 3개월에서 6개월로 확대됩니다. 육아휴직 기간도 12개월에서 18개월로 연장됩니다. 2) 부모급여 확대 육아 지원을 위한 부모급여도 확대됩니다. 1살 이하 아이를 둔 부모는 부모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 0살 아이를 둔 부모는 작년보다 30만 원 오른 월 100만 원을, 1살 아이 부모는 15만 원 오른 월 50만 원을 지원받습니다. 3) 출산가구는 주택 우선 공.. 2024. 1. 2. 금리, 투자하기 전 필수로 장착해야 할 상식 (feat. 금리와 미국의 금융 패권) 1. 미 연준의 ‘두 가지 목표’ 미국 연방준비제도(FRB)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는 물가 안정과 완전고용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아야 한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다른 나라 중앙은행과 달리 금리를 결정할 때 실업률, 취업자 증가율, 실업보험 청구 건수, 임금 상승률 등 여러 고용지표를 고려합니다. 고용지표는 소비와 직결되기 때문에 경기 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잣대이기도 합니다. 미 연준과 달리 한국은행은 물가안정을 핵심 목표로 하고 있고, 금융 안정을 부가적으로 고려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전 세계 40여 개 주요국의 중앙은행이 통화정책으로 ‘물가안정 목표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대부분 물가안정 목표를 소비자물가지수 기준으로 2%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미국 연준도 2%가 .. 2023. 12. 7. 11월 FOMC 의사록 주용 내용 총 정리 (feat. 기준금리, QT, 펀더멘털 및 물가) 1. 11월 FOMC 의사록 주요 내용 - 구성원 전원, 현재 통화정책은 경기와 물가에 하방 압력을 가하는 제약적인 수준. 또한, 최근 몇 달 사이 금융 환경도 상당히 긴축적으로 변화 (Participants judged that the current stance of monetary policy was restrictive and was putting downward pressure on economic activity and inflation. In addition, they noted that financial conditions had tightened significantly in recent months.) - 일부(some) 구성원, 그들 관할 지역에서의 소비자 수요는 미국 전역 지표 대비 .. 2023. 11. 22. 미국, 6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 주요 내용 총정리 (feat. 경제, 고용, 정책 및 물가) 1. 미국 6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 경제 및 고용 관련 주요 내용 1) 구성원 전원이 제시한 동일한 의견 ① 견제는 완만하지만 지속적으로 확장세. (Participants noted that economic activity had continued to expand at a modest pace.) ② 긴축된 신용 환경이 경제, 고용, 물가 하방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으나 그 정도와 범위는 불명확. (They commented that tighter credit conditions for households and businesses were likely to weigh on economic activity, hiring, and inflation. However, participants.. 2023. 7. 8. 연준(the Fed), 2023년 반기 통화정책 보고서 의회 제출 성명서 저희 연준은 미국 국민을 위해 최대 고용과 물가 안정을 촉진하는 우리의 두 가지 임무에 전념하고 있습니다. 저와 동료들은 높은 인플레이션이 초래하는 어려움을 잘 알고 있으며, 인플레이션을 2% 목표치까지 낮추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물가 안정은 연방준비제도의 책임이며, 물가 안정이 없으면 경제는 누구에게도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특히 물가 안정 없이는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강력한 노동시장 여건을 지속적으로 달성할 수 없습니다. 미국 경제는 작년에 크게 둔화되었고 최근 지표에 따르면 경기는 완만한 속도로 계속 확장되고 있습니다. 올해 들어 소비자 지출 증가세가 회복되었지만 주택 부문의 활동은 여전히 미약하며, 이는 주로 모기지 금리 상승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높은 이자율과 생산 증가율 둔화도 기업.. 2023. 6. 22.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