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반도체65

국제 거시경제: 프랑스 리스크 프리미엄 최고, 연준 빅4 은행 장리의향서 개선 지적, 중국과 EU, 전기차 관세 협상 합의 및 미국, 반도체와 AI 관련 중국 투자 제약 1. 분트채 대비 프랑스 리스크 프리미엄 2012년 이후 최고조기 총선 실시 후 프랑스의 재정 상태가 더욱 악화될 수 있다는 우려 속에 독일 대비 프랑스 국채의 리스크 프리미엄이 유로존 부채 위기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Candriam과 BlueBay Asset Management 등은 극우파인 마린 르펜의 국민연합(RN)이 이번 총선에서 승리할 경우 추가 손실에 취약하다며 프랑스 국채를 피하고 있습니다. 프랑스 좌파 연합은 당면한 경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27년까지 연간 1,500억 유로(1,600억 달러)를 추가 지출하고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이 실시한 친기업적 개혁 조치 중 일부를 철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여론조사에 따르면 RN을 주축으로 한 극우진영이 577개의 의석 중 250~300석.. 2024. 6. 25.
시총 1위 기업에 등극한 엔비디아 (feat. 거침없는 질주) 인공지능(AI) 열풍의 중심에 선 엔비디아가 거침없는 질주를 이어갑니다. 올해 들어서만 주가가 175% 상승했는데요. 올해 1분기 호실적 발표, 10대 1 비율의 액면분할 등 호재가 쏟아진 덕분입니다. 결국 지난 18일(현지 시각), 엔비디아는 마이크로소프트(MS)와 애플을 따돌리고 시가총액 1위 자리에 올랐습니다. 1. 엔비디아, 끝없는 상승세1) MS 꺾은 엔비디아18일(현지 시각) 엔비디아 주가가 3.51% 급등하며 135.58달러로 거래를 마쳤습니다. 시가총액은 3조 3,350억 달러를 기록했는데요. 이로써 MS를 제치고 시가총액 1위를 차지했죠. 지난 5일, 시총 3조 달러에 진입한 지 13일 만입니다. 이와 함께 젠슨 황 엔비디아 CEO의 개인 자산도 1,170억 달러로 늘어나 세계 부자 11.. 2024. 6. 21.
한국의 엔비디아를 목표로 합병한 사피온-리벨리온 (feat. 글로벌 AI 반도체 시장에 도전장) 엔비디아를 중심으로 글로벌 AI 반도체 기업의 성장세가 두드러집니다. 국내에서도 AI 반도체 시장을 공략하기 위한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는데요. 국내 AI 반도체 설계 기업인 사피온과 리벨리온이 합병을 통해 글로벌 AI 반도체 시장에 도전장을 내밉니다. 1. AI 반도체 공룡 기업 탄생1) 글로벌 경쟁력을 위한 합병지난 12일, SK텔레콤은 AI 반도체 계열사 사피온과 AI 반도체 스타트업인 리벨리온의 합병을 추진한다고 밝혔습니다. 국내 AI 반도체 기업 간 통합으로 경쟁력을 강화하고 글로벌 시장 진출을 노린다는 거죠. 2) 어떤 기업인데?사피온, 리벨리온은 신경망처리장치(NPU) 설계에 있어 국내 최고 기술력을 가진 회사들입니다. 사피온은 2016년 SK텔레콤 내부 연구개발 조직에서 출발한 기업이고, 리.. 2024. 6. 16.
반도체 육성에 64조 원 투입하는 중국 (feat. 반도체 보조금 지급을 위한 국책 펀드 설립) 각국의 반도체 산업 육성을 위한 보조금 경쟁이 치열합니다. 미국의 반도체와과학법(CHIPS), EU의 반도체법, 일본의 리피더스 보조금 지급 등이 대표적입니다. 이번에는 반도체 산업 육성에 사활을 건 중국이 반도체 보조금 지급을 위한 국책 펀드를 설립했습니다. 1. 중국, 반도체 육성에 64조 원 투입한다1) 64조 원 빅펀드 설립한 중국지난 24일, 중국이 반도체 산업 육성을 위해 3,440억 위안(약 64조 원) 규모의 국책 펀드인 빅펀드를 설립했습니다. 원래 예상되던 규모인 2,000억~3,000억 위안(약 37조~56조 원)을 뛰어넘은 금액입니다. 2) 빅펀드가 뭐야?빅펀드는 2014년 중국이 반도체 기술 자립을 목표로 설립한 국가집적회로 산업 투자펀드(ICF)를 말합니다. 1,387억 위안(약 .. 2024. 5. 30.
HBM 시장의 벽에 부딪힌 삼성전자 (feat. 주도권 잡은 SK하이닉스) 반도체 하면 떠오르는 기업, 바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입니다. 최근 AI 시장이 크게 성장하면서 AI 반도체에 필수적인 고대역폭 메모리(HBM) 역시 키워드로 떠올랐습니다. HBM 시장에서 SK하이닉스가 주도권을 잡은 만큼, 삼성전자는 SK하이닉스를 따라가려고 고군분투 중입니다. 고대역폭 메모리(HBM)란 메모리에서 한 번에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양(대역폭)에 중점을 둬, 기존보다 많은 양의 데이터를 단번에 전송할 수 있는 고성능 메모리입니다. 1. 삼성전자, HBM 테스트 낙방?1) 삼성전자-엔비디아 손잡나지난 3월 21일, 삼성전자의 HBM 사업을 향한 기대감이 커졌습니다. 엔비디아가 주최하는 AI 컨퍼런스인 ‘GTC 2024’에서 젠슨 황 엔비디아 CEO가 삼성전자의 HBM3E(5세대) 실물 제품.. 2024. 5. 2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