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공매도3 규제 변화 이후 중국 주식시장 마진 상승 (feat. 공매도 예금비율 하락) 중국 주식시장은 최근 규제 움직임으로 인해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습니다. 여기에는 공매도 예금비율을 낮추어 투자자의 주식 차입을 용이하게 하고, 락업 주식을 보유한 투자자의 공매도를 제한해 시장 변동성을 줄이는 조치도 포함된다. 이러한 움직임으로 인해 마진 부채가 늘어나고 공매도가 줄어들어 시장에 대한 신뢰도와 안정성이 높아졌습니다. 이러한 규제 조치는 이미 중국 주식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마진 부채의 총 미결제 금액은 1조 5천억 위안(2억 5백만 달러)으로 증가하여 개선을 보였지만 여전히 2015년 정점에 미치지 못합니다. 이러한 증가는 투자자들이 레버리지 사용에 더 많은 편안함을 보이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게다가 공매도 규모도 크게 줄었다. 1. 중국 주식시장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 최근.. 2023. 11. 16. 공매도 전격 금지 그리고 우려되는 국내 증시 현황 (feat. 매수 및 매도 사이드카) 1. 공매도 전격 금지, 시장은 오락가락 지난 5일 저녁, 금융위원장이 ‘공매도 금지’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시행 첫날이었던 이번 월요일엔 코스피와 코스닥이 각각 5.7%, 7.3% 급등했습니다. 이 급등 현상을 진정시키려 프로그램 매수 호가의 효력을 일시 정지하는 ‘매수 사이드카’가 발동되기도 했습니다. 반면, 둘째 날인 화요일엔 정반대 현상이 나타났습니다. 코스닥 시장의 장중 낙폭이 확대되면서 프로그램 매도 호가의 효력을 일시 정지하는 ‘매도 사이드카’가 발동된 겁니다. 물론 코스피와 코스닥 모두 2.3%, 1.8%씩밖에 빠지지 않았기에 상승분보단 덜 하락하긴 했지만, 공매도 금지 조치 발표 이후, 사이드카가 이틀 연속으로 발동되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졌다는 점에서 이번 조치의 의미를 점검해 볼 필요가.. 2023. 11. 11. 공매도 금지 이슈가 국내 주식 시장에 미치는 영향 (feat. 공매도 금지) 1. 공매도 금지 이슈가 국내 증시에 미치는 영향 금주에 공매도 금지 이슈가 국내 증시의 중심에 있을 전망입니다. 이번 결정을 놓고 정치적인 해석들이 개입되면서 의견이 분분한 것은 사실이나, 주식시장 참여자들 입장에서는 이미 시행하기로 결정된 공매도 금지가 각자의 주식과 포트폴리오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는 것이 우선이라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일단 과거에 국내 증시에서 공매도 금지를 시행했던 사례는 다음과 같습니다. 2008년 금융위기, 2011년 유럽 재정위기, 2020년 코로나 판데믹 이렇게 총 3차례가 존재했으며 공매도 금지 시행으로 인해 국내 증시는 하락세를 멈추고 반등했던 경험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당시 코스피와 코스닥은 2008년 공매도 금지 기간 동안 각각 -3.0%, +20.0%(2.. 2023. 11. 6.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