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용어14

성공적인 투자와 경제적 자유를 위한 경제 용어 총정리 2탄 1. 가격변동증거금 (Margin for Price Movement) 선물옵션 거래에 필요한 증거금 가운데 하나입니다. 선물옵션을 거래하려면 먼저 신규 위탁증거금을 내야 하고, 미결제약정이 있을 때 선물옵션의 순위험을 감안해 일정한 수준의 증거금을 유지해야 하는데 이를 가격변동증거금이라고 합니다. 위탁자 계좌별로 보유 중인 포트폴리오에 대해 증거금 평가구간 내에서 기초자산 가격 변동에 따라 예상되는 종목별 손익을 산출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추정한 전체 포트폴리오 평가 포인트별 평가손익 중 가장 적은 금액을 가격변동증거금이라고 합니다. 위탁증거금은 투자자가 주식이나 선물옵션을 사고팔 때 증권사에 미리 예치하는 계약금의 일종으로 가격 변동으로 인한 위험부담을 더는 담보기능과 증거금률을 조정해 시장수급을 조절.. 2023. 7. 13.
경제의 기본상식에 대해 알아보자 (feat. 환율이란 무엇일까?) 1. 환율이란 무엇인가? 환율은 한자로는 ‘바꿀 환(換)’에 ‘비율 율(率)’자를 쓰며, 영어로는 ‘Exchange Rate’라 합니다. 즉, 양국의 통화를 서로 맞바꿀 수 있는 비율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환율이 무엇인지 묻는 원론적 질문은 별 의미가 없습니다. 그보다 ‘환율은 항상 오를까, 내릴까?’, ‘오르면 얼마까지 오르고, 내리면 얼마까지 내릴까?’라는 질문이 더 유의미합니다. 이러한 질문은 환율의 방향, 레벨과 연관이 있으며, 좀 더 들어가 ‘그럼 과연 언제쯤 오르내릴까?’라는 질문을 통해 시간개념과도 엮이게 됩니다. 그리고 이러한 질문에 답을 하기 위해서는 ‘그럼 왜?’라는 파생적 질문을 다시 던지게 되는데, 이 과정을 모두 거쳐야만 ‘환율’이란 단어가 비로소 우리 생활에 있어 의미를 가지게 .. 2023. 6. 30.
알아두면 쓸데 있는 부동산 경매 용어 1. 말소기준권리 소유권이전등기를 하면서 등기사항증명서 상의 권리 중 어떤 권리들은 말소촉탁등기 대상이 되어 소멸하게 되고, 또 어떤 권리들은 말소촉탁의 대상이 되지 않아 매수인이 인수해야 하는데, 이때 말소와 인수의 기준이 되는 권리를 의미합니다. 말소기준권리가 될 수 있는 권리들은 근저당권, 저당권, 압류, 가압류, 담보가등기, 강제경매 개시결정등기와 경우에 따라 전세권도 인정되는데, 이 권리 중 등기사항증명서 상에서 등기일자가 가장 빠른 권리로 보면 됩니다. 2. 대지권미등기 대지권이 등기가 되어 있지 않는 것을 의미합니다. 원래 대지사용권이 없으면 낙찰 후 대지권을 취득할 수 없지만, 미등기 집합건물에 대하여 경매신청 있는 경우 대지사용권을 매각목적물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고 그에 대한 감정평가액을.. 2023. 5. 15.
회계 용어 정리: 수익, 비용, 원가 및 원가회계 1. 수익 수익이란 회계기간의 정상적인 활동에서 발생하는 경제적 효익의 총유입인데, 이를 세 가지로 정의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수익은 기업의 경영활동에서 나타나는 자원의 흐름으로, 기업의 경영활동 전 과정에서 발생합니다. 둘째, 일정 기간 동안에 발생한 수익을 인식하면, 자산이 증가하거나 부채가 감소함에 따라 자본이 증가하게 됩니다. 셋째, 수익은 기업의 계속적 및 중심적 영업활동 과정에서 발생합니다. 기업의 이익은 수익에서 비롯되는데, 한 기간에 획득한 수익 중에서 그 기간에 소속되는 수익은 손익계산서의 대변에 기재되고, 이것은 영업수익과 영업 외 수익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영업수익은 기업의 경상적인 제조 및 판매활동, 용역의 제공활동에서 얻어지는 수익이고, 영업 외 수익은 그 밖의 원천에서.. 2023. 5. 10.
회계 용어 정리: 자산, 자본 및 부채 1. 자산 재무상태표는 기업의 일정 시점에서의 재무상태를 나타내는 재무제표로 자산, 부채, 자본으로 구성된니다다. 그중에서 자산은 차변(재무상태표상 왼쪽)을 이룹니다. 자산이란 기업이 소유하고 있는 유, 무형의 유가치물을 말합니다. 즉 자산은 과거 사건의 발생으로 통제 가능성이 있고 미래 경제적 효익의 유입가능성이 있는 것입니다. 자산이 갖는 미래의 경제적 효익은 다양한 형태로 기업에 작용할 수 있습니다. 판매 및 생산에 사용됨으로써 가치가 유입될 수 있고, 다른 자산과의 교환으로 대체될 수 있으며, 부채를 상환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습니다. 자산은 외부 정보이용자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재무상태표에 해당 자산의 성격을 잘 나타낼 수 있는 계정과목을 사용해야 하는데, 비유동자산은 크게 유형자산, 무형자산으로.. 2023. 5.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