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읽는 방법2

투자자가 알아야 할 경제기사 접근방법 (feat. 경제상식, 금리 및 금융정책) 1. 경제기사의 50%는 금리와 관련된 정보 금리는 돈의 사용료입니다: 금리만 제대로 알아도 경제기사의 50%를 자동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돈을 일정기간 누군가에게 빌려주면 ‘이자’를 받습니다. 원금에 대한 이자의 비율을 ‘이자율’ 또는 ‘금리’라고 합니다. 금리는 여러 가지 이유로 변동합니다. 금리가 변하는 가장 대표적인 이유는 수요와 공급에 따른 시장 원리입니다. 돈을 빌리려는 수요가 공급보다 많으면 금리는 상승하고, 수요가 줄어들고 빌려주고자 하는 공급이 넘치면 금리는 하락합니다. 그렇다면 어떨 때 돈을 빌리려는 수요가 많아질까요? 경기가 좋으면 기업은 이익 증가를 위해 설비 투자를 늘리고자 돈을 빌리려고 합니다. 따라서 금리는 점점 올라가게 됩니다. 반대로 경기가 나쁘면 돈을 빌리려는 수요가 .. 2023. 7. 30.
투자자가 알아야 할 경제기사 접근방법 (feat. 신문의 선택과 읽는 방법) 1. 경제기사, 무엇으로 어떻게 읽을까? 다양한 매체로 진화한 경제기사: 경제기사를 반드시 종이신문으로 읽을 필요는 없습니다. 스마트폰이나 PC로 경제기사를 봐도 좋습니다. 그리고 반드시 경제신문을 구독하지 않아도 됩니다. 동아일보나 중앙일보, 조선일보 같은 종합신문의 경제면을 보는 것도 괜찮습니다. 매일 기사를 보기가 바쁘다면 주간지를 추천합니다. 1) 종이신문을 고수하는 이유 첫째, 종이신문을 읽으면 확증편향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 확증편향이란 자기가 보고 싶은 것만 보고 믿고 싶은 것만 믿는 현상을 말합니다. 둘째, 한눈에 주요 기사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셋째, 온전히 내 것으로 기사를 소유할 수 있습니다. 형광펜으로 줄을 긋고, 플러스펜으로 옆에다 메모도 할 수 있습니다. 넷째, 매일 배달된 .. 2023. 7. 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