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ROE3 자기자본이익률(ROE)에 숨어 있는 시대흐름과 투자 방향 (feat. 투자의 기본) 1. 내재가치 파악하기 먼저 투자에서 반드시 알아야 할 ‘내재가치(intrinsic value)’에 대해 살펴봅시다. 내재가치를 알면 ‘과연 지금 투자하기 적절한 가격인가?’라는 물음에 답할 수 있습니다. 내재가치란 ‘자산의 미래 현금흐름의 현재 가치’입니다. 예를 들어 보면, Y라는 기업이 있는데 부채를 제외한 순자산이 200억 원이고, 사업으로 매년 20억 원씩 벌어들인다고 가정합시다. Y기업의 가치는 어떻게 측정되어야 할까요? 결론적으로 현재의 자산가치인 200억 원과 미래에 벌어들이는 모든 수익의 현재 가치의 합이 될 것입니다. 즉 특정 기업의 자산 가치와 수익 가치의 합, 그것이 바로 내재가치입니다. 시장에서 거래되는 자산의 가격은 내재가치 위에 놓일 수도 있고 내재가치 아래로 떨어질 수도 있습.. 2023. 12. 24. 기업의 수익성 및 성장성 분석 (feat. 기업분석에 필수적인 재무비율 분석) 1. 재무비율 분석 재무비율 분석이란 재무제표 항목들 사이의 비율을 경제적 의미를 갖도록 산출하여 기업의 재무상태와 경영성과를 분석하는 전통적인 경영분석방법입니다. 이미 공시된 재무제표를 기초로 분석하는 것이므로 자료를 얻기가 쉽고 분석에 필요한 전문지식이 까다롭지 않으면서 충분히 유용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또한 기업의 이해관계자들에게 기업의 수익성, 위험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며, 금융기관의 대출의사결정, 신용평가기관의 계량적 기업분석에 사용됩니다. 2. 재무비율의 종류 재무비율에는 안정성비율, 수익성비율, 성장성비율, 활동성비율이 있습니다. 1) 안정성 비율 안정성 비율은 기업의 장∙단기부채 지급능력을 파악하며 유동비율, 당좌비율, 부채비율, 차입금의존도 및 이자보상비율로 분석.. 2023. 6. 27. 회계의 기본원리: ROA, ROE, EVA 및 화폐의 미래가치 1. 총 자산이익률(ROA, Return On Assets) 사업이익을 총자본(부채 + 자기 자본)으로 나눈 값인데, 사업이익은 자금조달비용을 부담하기 전의 경상적 이익을 뜻하며, 영업이익에 수입이자를 더하거나 경상이익에 지급이자를 더한 것과 비슷합니다. 편의상 세후당기순이익을 총 자산이익률의 분자로 사용할 때도 있습니다. 총 자산이익률이란 한마디로 총자본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이익창출에 기여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2. 자기 자본이익률(ROE, Return On Equity) 자기 자본(주주자본)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이익창출에 기여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당기순이익을 자기 자본으로 나눠 구한 값을 말합니다. 참고로 자기 자본이익률은 오랜 세월에 걸쳐 이익을 쌓은 기업, 즉 우량기업일수록.. 2023. 5. 4.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