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국제증시

미국 경제, 3년 만의 역성장 (feat. 트럼프 관세 충격과 빅테크의 반격)

by 트렌디한 경제 상식 2025. 5. 5.
반응형

미국 경제, 3년 만의 역성장 (feat. 트럼프 관세 충격과 빅테크의 반격)
미국 경제, 3년 만의 역성장 (feat. 트럼프 관세 충격과 빅테크의 반격)

 

최근 미국 경제가 3년 만에 분기 기준 역성장에 돌입했다는 소식이 전 세계 경제 이슈의 최전선에 등장했습니다. 2025년 1분기 미국 국내총생산(GDP)이 연율 기준 -0.3%로 집계되며, 시장 전망치(+0.4%)와 직전 분기 성장률(2.4%)을 크게 밑돌았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미국 경제 역성장의 배경, 트럼프 관세 정책의 충격, 물가와 금리 전망, 그리고 빅테크의 호실적까지 폭넓게 분석합니다.

 

1. 미국 경제, 3년 만의 역성장… 원인은?

미국 상무부가 발표한 2025년 1분기 GDP 속보치는 연율 기준 -0.3%로, 직전 분기(2.4%)와 시장 전망치(0.4%)를 모두 하회했습니다. 이는 2022년 1분기(-1.0%) 이후 3년 만의 분기 기준 역성장입니다.

 

이번 역성장의 가장 큰 원인은 수입의 급증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고율 관세가 현실화되기 전, 기업들이 재고를 쌓아두기 위해 수입을 크게 늘렸고, 1분기 수입은 연율 기준 41.3%나 증가했습니다. 이로 인해 순수출(수출-수입)이 GDP를 무려 4.83% 포인트 끌어내렸으며, 통계 작성 이후 최대 규모의 무역 충격이라는 평가까지 나왔습니다.

 

2. 연율 기준이란?

해당 분기 성장률이 1년 내내 이어진다고 가정해 환산한 수치입니다. 분기별 성장률을 연간 성장률과 동일한 기준으로 비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3. 트럼프 관세, 경제에 미친 영향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한 고율 관세 정책은 기업과 소비자 모두에게 큰 파장을 불러왔습니다. 관세가 본격 시행되기 전, 기업들은 관세 부담을 줄이기 위해 수입을 전례 없이 늘렸고, 이로 인해 무역수지 악화와 경제 성장 둔화가 동시에 나타났습니다.
이에 대해 백악관은 "국내 투자가 22% 증가했다"며 내수 부문의 강세를 강조했지만, 실제로는 내수 성장조차도 수입 급증에 묻혀 전체 GDP는 마이너스로 돌아섰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역성장의 원인을 바이든 전 대통령에게 돌리며 정치적 공방도 이어졌습니다.

 

4. 물가와 금리, 시장 전망

1분기 경제 성장률이 부진했지만, 물가 지표는 안정세를 보였습니다. 3월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2.3% 상승해, 시장 전망치(2.2%)를 소폭 상회했습니다. 코어 PCE(식품·에너지 제외)도 2.6%로 둔화하며, 인플레이션 우려는 다소 누그러진 상태입니다.

 

물가 안정세가 이어지면서, 금리 인하 기대감도 다시 살아나고 있습니다. 시장에서는 6월 연준(Fed) 금리 인하 확률이 65%를 넘고 있으며, 연간 4차례의 금리 인하를 예상하는 목소리도 나옵니다. 현재 기준금리는 4.25~4.5% 수준으로, 연준은 올해 2차례(총 0.5% 포인트) 금리 인하를 예고한 상태입니다.

 

5. 관세 이후, 미국 경제의 미래

트럼프 관세 정책이 본격 시행되는 2분기 이후, 미국 경제는 더 큰 변화를 겪을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내수 부문이 악화할 경우 경기 침체 가능성까지 제기되고 있습니다. 실제로 미국의 소비자 기대지수는 4월 54.4로, 2011년 10월 이후 13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반응형

6. 빅테크, 어닝 서프라이즈

경제 성장률이 부진했음에도 불구하고, 빅테크 기업들의 실적은 예상을 뛰어넘었습니다.

 

① 메타(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모기업): 1분기 매출 423억 1천만 달러(전년 동기 대비 16%↑), 순이익 166억 4천만 달러(35%↑)로, 광고 실적이 예상을 크게 웃돌았습니다.

 

② 마이크로소프트: 1분기 매출 700억 7천만 달러(13%↑), 순이익 258억 달러(18%↑). 클라우드 서비스 애저 매출이 33% 증가하며, AI와 클라우드 투자 효과가 극대화됐습니다.

 

이들 기업의 주가는 실적 발표 후 시간 외 거래에서 메타 6.46%, 마이크로소프트 8.59% 급등했으며, AI 관련주 엔비디아도 4% 넘게 오르는 등 빅테크가 미국 경제의 버팀목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7. 요약 및 시사점

① 미국 경제, 3년 만의 역성장: 트럼프 관세 기대에 따른 수입 급증이 주원인.

② 물가 안정, 금리 인하 기대: PCE 물가 2.3%, 코어 PCE 2.6%로 안정세.

③ 빅테크, 역성장 속에서도 호실적: 메타, 마이크로소프트 등 AI·클라우드 중심의 실적 급성장.

④ 관세 이후, 경기 침체 우려: 내수 악화 가능성에 따라 2분기 이후 경제 전망은 불확실.

 

미국 경제의 이번 역성장은 트럼프 관세라는 정치적 변수와 글로벌 공급망 변화, 그리고 빅테크의 성장세가 교차하는 복합적인 현상입니다. 앞으로도 관세 정책과 내수, 빅테크 실적 등 다양한 요인에 주목해야 할 시점입니다.


 

 

검은 황금, 김 수출의 빛과 그림자 (feat. 현황과 전망)

1. 2025년 1분기, 김 수출의 두 얼굴2025년 첫 3개월 동안 한국 김 수출은 2억 8,100만 달러(약 4,020억 원)를 기록하며 사상 최고치를 달성했습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21.1% 증가한 수치로, 수출량도 1

mkpark01.tistory.com

 

 

SKT, 카카오 지분 전량 매각, AI 인프라 전쟁에 집중

1. 4,133억 원 규모 카카오 지분 매각 결정SK텔레콤은 2025년 4월 25일, 카카오 주식 1,081만 8,510주(약 2.5%)를 블록딜 방식으로 전량 매각한다고 공식 발표했습니다. 이는 약 4,133억 원 규모의 대형 거래

mkpark01.tistory.com

 

 

메타 반독점 재판의 핵심 쟁점 (feat. 법정 공방부터 시장 파급력까지)

1. 재판의 핵심 쟁점미국 연방거래위원회(FTC)는 메타가 2012년 인스타그램과 2014년 왓츠앱 인수를 통해 소셜미디어 시장을 불법적으로 독점했다고 주장합니다. 특히 'Buy or Bury'(인수하거나 고사시

mkpark01.tistory.com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