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거시경제

원/달러 환율, 1,300원대로 급락한 배경과 대만달러 강세 원인 분석

by 트렌디한 경제 상식 2025. 5. 7.
반응형

원/달러 환율, 1,300원대로 급락한 배경과 대만달러 강세 원인 분석
원/달러 환율, 1,300원대로 급락한 배경과 대만달러 강세 원인 분석

 

최근 원/달러 환율이 1,500원대 위협에서 벗어나 1,300원대로 급락하며 시장에 큰 변동성이 나타났습니다. 5월 5일 뉴욕 역외선물환(NDF) 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1,374.2원으로, 2일 서울 외환시장 야간 거래 종가 1,401.5원 대비 약 2% 하락했고, 지난달 9일 종가 1,484.1원과 비교하면 7.5%나 급락한 수치입니다.

 

1. 원화 강세와 역외선물환(NDF) 시장

원화 환율 변동은 역외선물환(NDF) 시장에서 활발한 거래가 일어난 결과입니다. NDF 시장은 국내 규제를 피해 해외에서 선물환 거래가 이뤄지는 시장으로, 외국인 투자자들이 원화를 거래하는 주요 창구입니다. 다만 원화 NDF 거래는 투기성 거래가 많아 환율 변동성을 키우는 요인으로 지적되기도 합니다.

 

2. 아시아 통화 동반 강세: 대만달러와 위안화, 엔화의 급등

원화뿐 아니라 아시아 주요 통화들도 동반 강세를 보였습니다. 5월 4~5일 위안화는 약 8.3%, 엔화는 1.6% 상승했고, 대만 달러는 이틀 연속 사상 최대 상승 폭을 기록하며 9% 넘게 급등했습니다. 이에 대만 중앙은행은 외환시장 안정화를 위해 개입에 나서기도 했습니다.

 

3. 대만 달러 절상 압력과 생명보험사의 달러 매도

대만 달러 강세의 배경에는 대만 정부가 미국과의 관세 협상 과정에서 자국 통화 절상을 용인했다는 소문이 퍼진 영향이 큽니다. 5월 3일 미국과 1차 무역 협상을 진행한 뒤 대만 외환 당국이 대만 달러 강세에 대응하지 않자 관련 루머가 확산됐습니다.

 

이 소식에 대만 생명보험사들은 미국 달러 국채에 투자한 자산을 보호하기 위해 환 헤지 비중을 줄이고, 급히 달러를 팔아 대만 달러를 사들이는 움직임을 보였습니다. 이로 인해 대만 달러 수요가 폭증하며 이틀 사이 9% 이상 가치가 상승했습니다.

 

4. 대만 정부의 해명과 미국-중국 무역 협상 영향

시장 혼란이 커지자 대만 정부는 미국과의 협상에서 환율 문제가 논의되지 않았다고 공식 부인했습니다. 대만 중앙은행 총재도 무책임한 추측을 경계하며 시장 안정에 나섰습니다.

 

한편, 미국과 중국이 관세 협상 가능성을 타진하며 긴장이 완화된 점도 환율 안정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대중국 관세 인하 가능성을 시사했고, 중국도 미국산 제품 관세 면제 확대 등 유화적 메시지를 내놓으면서 위험자산 선호 심리가 회복됐습니다.

 

반응형

5. 환율 전망과 불확실성

미국의 무역 정책 변화와 관세 전쟁, 그리고 국내 정치 불확실성 등으로 환율 변동성은 여전히 높습니다. 한국은행 총재는 환율이 언제든 다시 상승할 수 있다고 경고하며, 미국이 원하는 환율 방향도 명확하지 않다고 밝혔습니다. 따라서 원/달러 환율은 단기적 변동성에 대비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6. 원화와 대만달러 강세의 복합적 배경

최근 원/달러 환율이 1,300원대로 급락한 데는 미국과 중국 간 무역 협상 완화 기대, 대만 정부의 통화 절상 용인 루머, 대만 생명보험사의 달러 매도 및 환 헤지 조정, 그리고 아시아 통화 전반의 강세가 복합적으로 작용했습니다. 대만 달러는 단기간에 9% 이상 급등하며 시장 변동성을 키웠고, 대만 중앙은행이 개입해 안정화에 나섰습니다. 미국과 중국의 관세 완화 가능성은 위험자산 선호를 자극하며 아시아 통화 강세를 뒷받침했습니다. 그러나 미국 무역 정책과 국내 정치 불확실성으로 환율 변동성은 여전히 높아, 투자자들은 신중한 대응이 필요합니다.


 

 

미국 1분기 GDP 역성장과 시장 반등의 이면 (feat. 경제와 주식 시장)

1. 경제 둔화의 진실: 1분기 GDP 역성장, 그 뒤에 숨은 이야기2025년 1분기 미국 경제성장률(GDP)은 연율 기준 -0.3%를 기록하며 3년 만에 첫 역성장을 나타냈습니다. 이는 전분기 2.4% 성장에서 급전직

mkpark01.tistory.com

 

 

러시아, 전쟁 속에서 꿈틀대는 경제성장의 비밀

학생들이 매년 성적표를 받듯, 국가들도 경제성장률이라는 ‘국가 성적표’를 받습니다. 이 수치는 한 나라 경제가 얼마나 건강하게 성장했는지를 보여주는 대표적 지표죠. 2024년, 전 세계 주요

mkpark01.tistory.com

 

 

관세 폭탄에 몸살 앓는 미국 소비자 현장 (feat. 중국산 없인 미국 살 수 없다)

미국 정부의 대중국 관세 강화가 역설적으로 자국민 생활에 직격탄을 날리고 있습니다. 쉬인과 테무의 가격 폭등에서 시작된 이 위기는 공급망 대란으로 확장되며, 미국 가정의 일상까지 뒤흔

mkpark01.tistory.com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