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

한국 성인 절반, 장기적 울분에 빠졌다 (feat. 사회적 신뢰와 정신건강의 위기)

by 트렌디한 경제 상식 2025. 5. 19.
반응형

한국 성인 절반, 장기적 울분에 빠졌다 (feat. 사회적 신뢰와 정신건강의 위기)
한국 성인 절반, 장기적 울분에 빠졌다 (feat. 사회적 신뢰와 정신건강의 위기)

 

1. 절반 넘는 성인, 장기적 울분 상태… 왜 이렇게 많아졌나?

최근 서울대 보건대학원의 전국 성인 1,500명 대상 조사 결과, 한국 성인의 54.9%가 ‘장기적 울분 상태’에 빠져 있다는 충격적인 결과가 나왔습니다. 이는 지난해 같은 조사(49.2%)보다 약 5%p 상승한 수치로, 해를 거듭할수록 울분이 심화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특히, 심각한 울분을 느낀다고 응답한 비율도 12.8%로 지난해(9.3%) 보다 증가했습니다.

 

울분이란, 부당하거나 정의롭지 못한 상황에 반복적으로 노출될 때 쌓이는 분노, 배신감, 좌절, 모욕감 등이 마음속에 오래 남아 답답함과 분노가 지속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서울대 연구진은 “공정하지 않은 사회 구조, 반복되는 불공정 경험이 울분을 키운다”고 지적합니다.

 

2. 울분의 원인 – 불공정과 경쟁, 그리고 사회적 신뢰의 붕괴

조사에 따르면, 최근 1년간 정의에 어긋나는 일, 생각할수록 화나는 일, 자꾸만 머릿속을 떠나지 않는 일을 겪은 이들이 많았습니다. “세상이 불공정하다”고 답한 비율은 69.5%에 달했고, 울분을 유발하는 사회적 이슈로는 △정부 비리·은폐 △정치권 부패 △안전관리 부실 △언론 왜곡 △기업 부도덕 등이 꼽혔습니다.

 

정신건강이 좋지 않다고 답한 이들은 전체의 48.1%에 달했고, 좋다고 답한 비율은 11.4%에 그쳤습니다. 특히 30~40대, 월 소득 200만 원 미만 집단에서 울분과 우울, 스트레스 수준이 가장 높았습니다. 경쟁과 성과를 강조하는 사회 분위기(37%), 타인의 시선을 의식하는 문화(22.3%)가 정신건강 악화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됐습니다.

 

3. 스트레스의 근본 원인 – 건강과 경제 불안

한국인의 스트레스 주된 원인으로는 △개인·가족의 건강 변화(42.5%) △경제 수준 변화(39.5%)가 꼽혔습니다. 이는 퓨리서치센터 조사에서도 한국인들이 삶의 가치로 ‘물질적 풍요’와 ‘건강’을 가장 중시한다는 결과와 일치합니다. 가족, 친구, 직업보다 건강과 경제력이 우선이라는 인식이 강하게 자리 잡고 있습니다.

 

4. 정신건강 위기, 도움 요청은 여전히 어려워

문제는 절반 이상이 정신적 어려움을 겪어도 도움을 구하지 못한다는 점입니다. 편견과 낙인에 대한 두려움, 진료기록이 남는 것에 대한 부담 등으로 실제로 병의원을 찾는 비율은 13.1%에 불과합니다. 응답자의 절반 이상은 정신적 문제가 생겨도 도움을 구하지 않을 것이라고 답했고, 정신적으로 아프면 자신의 삶에 가치가 없다고 느끼는 이들도 많았습니다.

 

반응형

5. 해결책은 신뢰 회복과 사회적 연대

전문가들은 울분의 근본 원인을 줄이기 위해 사회적 신뢰 회복이 필요하다고 강조합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타인에 대한 신뢰(사회 신뢰)가 높을수록 우울 점수가 낮아진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특히 청년층에서는 사회 신뢰가 우울을 줄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여성에게서 그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습니다.

 

서울대 보건대학원 연구팀은 “사회적 신뢰를 높이고, 정신건강 문제에 대한 편견과 낙인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시급하다”고 지적합니다. 국가 차원의 정신건강 증진 정책, 사회적 공정성 회복, 개인과 집단의 신뢰 회복이 근본적인 해법이 될 수 있습니다.

 

6. 울분의 시대, 연대와 신뢰가 해법

한국 사회에서 절반이 넘는 성인이 장기적 울분 상태에 놓여 있다는 것은 단순한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 전체의 위기 신호입니다. 불공정, 경쟁, 경제 불안, 건강 문제, 그리고 도움을 요청하지 못하는 문화가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이제는 사회적 신뢰 회복, 정신건강에 대한 편견 해소, 그리고 건강·경제 안정을 위한 정책적 지원이 절실히 요구됩니다. 울분의 시대, 우리는 서로에 대한 신뢰와 연대를 통해 다시 건강한 사회로 나아갈 수 있습니다.


 

 

6월 3일 대선, 주요 후보와 핵심 공약 총정리 (feat. 21대 대통령은 누구?)

1. 6월 3일 대선, 주요 후보와 핵심 공약 총정리2025년 6월 3일, 대한민국 제21대 대통령 선거가 치러집니다. 이번 대선에는 총 7명의 후보가 등록했으며, 각 후보는 경제, 복지, 청년, 노동, 정치 등

mkpark01.tistory.com

 

 

인도의 대파키스탄 군사 작전 신두르 작전과 그 파장

2025년 5월 7일 새벽, 인도가 파키스탄령 카슈미르 지역을 겨냥한 대규모 군사 작전 ‘신두르 작전’을 개시하며 남아시아 긴장이 극도로 고조되고 있습니다. 이번 사태는 2019년 이후 6년 만에 벌

mkpark01.tistory.com

 

 

'폭싹 속았수다'가 불러온 복고 패션 열풍 (feat. 트렌드 변화)

2025년 패션계에서 가장 뜨거운 키워드는 단연 ‘복고’입니다. 그 중심에는 넷플릭스 인기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가 있습니다. 1970년대 제주를 배경으로 한 이 드라마가 레트로 감성을 제대

mkpark01.tistory.com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