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노인2

노인 연령 기준 상향 (feat. 65세는 더 이상 노인이 아닐까?) 우리 사회가 빠르게 고령화되면서 '노인'의 기준에 대한 재정의가 필요한 시점이 왔습니다. 보건복지부가 2025년 주요 업무 계획에서 노인 연령 기준 상향을 제시하면서, 이 문제가 다시 한번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노인 연령 기준 상향의 배경, 영향, 그리고 앞으로의 전망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노인 연령 상향의 배경1) 평균 수명의 연장1960년 우리나라의 평균 수명은 54.3세에 불과했습니다. 그러나 2020년에는 84.5세로 크게 늘어났습니다. 이는 의료 기술의 발전과 생활 수준의 향상 덕분입니다. 수명이 30년 이상 늘어났는데, 노인의 기준은 여전히 65세라는 점에서 재고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2) 초고령사회 진입2024년 12월 23일, 우리나라는 예상보다 1년 빠르.. 2025. 1. 22.
인플레이션의 해결방안 (feat. 새로운 시대의 노인에 대한 관점과 소비패턴) 1. 인플레이션이 인플레이션을 일으시는 상황 코로나 사태 이래로 전 세계 물가가 급등한 건 ‘공급망 불안’ 때문이었습니다. 그러나 각국의 대응은 공급망 문제 해결이 아닌 기준금리 인상으로 나타났습니다. 기준금리 상승이란 카드를 꺼내든 이유는 인플레라는 불길이 확산되는 걸 막기 위해서였습니다. 그 원인이 무엇이든 인플레가 평소보다 높은 수준으로 일정 기간 이어지면, 사람들은 자신들이 파는 상품의 가격, 예를 들어 노동자라면 임금, 식당이라면 메뉴의 가격표를 연쇄적으로 올려 인플레에 저항하려고 하기 때문입니다. 이런 저항이 벌어지면 그렇게 올라간 임금이나 가격이 다시 전반적인 물가 수준을 높이는 악순환(wage-price spiral)이 시작됩니다. 그래서 미국은 제로 수준이던 기준금리를 긴급하게 5.5%까.. 2023. 11.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