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밸류업2 성공적인 기업 지배구조 개혁을 위해 필요한 것 (feat.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지난해 1월 도쿄증권거래소가 기업 지배구조 개혁에 '명백한 시한'를 부과한 것은 글로벌 투자자들이 중국 증시에서 대규모 자금 이탈 이후 투자할 또 다른 유동성 있는 아시아 증시를 찾던 시점에 일어난 우연의 일치였습니다. 이번에도 동일한 동기가 글로벌 이머징 마켓 투자자들에게 작용했으며, 이는 지난 1월 말 한국에서 유사한 기업지배구조 개혁 의제가 발표되었을 때 외국인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았던 것을 설명해 줍니다 이후 외국인은 1월 19일 이후 한국 주식을 10조 4400억 원(78억 달러) 순매수하며 순매수세로 돌아섰습니다(참고자료 8 참조). 하지만 이는 일본에서 볼 수 있었던 규모에는 미치지 못하는 수준입니다. TSE 안건이 발표된 이후 외국인은 아베노믹스 당시 매수한 금액의 약 42%를 다시 매수했.. 2024. 3. 16.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발표 이후 생각나는 의문점 2가지 1. 전략 26일(월)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발표 이후 세제혜택 등 구체성 및 기업들의 실행 유인책 부족으로 실망 매출 출회된 가운데, 시장 참여자들은 다음의 2가지 의문점을 가질 것으로 보입니다. 1)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기대감이 소진되면서, 지수 방향성에 영향을 줄 것이냐에 관한 의문 2월 중 증시 상승을 일정 부분 견인했던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기대감이 소진되면서, 지수 방향성에 영향은 단기적인 변동성은 높아지더라도, 한국 증시는 국내 정책보다는 매크로 환경 변화에 종속됐기에, 연준의 상반기 금리인하 전제가 훼손되지 않는 이상 지수 방향성에는 큰 변화가 없을 전망입니다. 2) 저 PBR 업종의 주가 모멘텀은 이제 종료된 것인가에 대한 의문 단기간에 레버리지 수급까지 가세하면서 올라온 만큼 차익실현.. 2024. 2. 28.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