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안정3

2025년 설 명절 종합 대책 (feat. 물가 안정부터 안전 확보까지) 안녕하세요, 여러분! 2025년 설 명절이 코앞으로 다가왔습니다. 정부에서 발표한 설 명절 종합 대책을 자세히 살펴보고, 우리 생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1. 명절 장바구니 물가 안정 대책1) 역대 최대 규모의 설 성수품 공급정부는 이번 설 명절을 맞아 16대 설 성수품을 역대 최대 규모인 26.5만 톤 공급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평시 대비 1.5배에 달하는 물량입니다. 배추와 무는 1만 톤으로, 평소보다 1.8배 많은 양이 공급됩니다. 이는 김장철 이후 수요가 줄어드는 시기임에도 불구하고, 명절 특수를 고려한 조치입니다. 특히 배추의 경우, 최근 가격 상승세를 고려해 충분한 물량을 확보했습니다. 사과와 배는 무려 4만 톤이 공급되는데, 이는 평소의 5.6배에 달하는 엄청난 양입니.. 2025. 1. 22.
금리, 투자하기 전 필수로 장착해야 할 상식 (feat. 금리와 미국의 금융 패권) 1. 미 연준의 ‘두 가지 목표’ 미국 연방준비제도(FRB)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는 물가 안정과 완전고용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아야 한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다른 나라 중앙은행과 달리 금리를 결정할 때 실업률, 취업자 증가율, 실업보험 청구 건수, 임금 상승률 등 여러 고용지표를 고려합니다. 고용지표는 소비와 직결되기 때문에 경기 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잣대이기도 합니다. 미 연준과 달리 한국은행은 물가안정을 핵심 목표로 하고 있고, 금융 안정을 부가적으로 고려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전 세계 40여 개 주요국의 중앙은행이 통화정책으로 ‘물가안정 목표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대부분 물가안정 목표를 소비자물가지수 기준으로 2%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미국 연준도 2%가 .. 2023. 12. 7.
정보공유의 빠른 확산과 국채금리의 상관관계 (feat. 빌 애크먼의 트윗) 최근 금융 시장의 최대 화두는 입니다.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이 터지면서 안전자산을 찾는 사람이 늘었습니다. 그래서 미국 국채금리도 좀 진정되는 줄 알았는데 10년물 국채금리가 5%에 도달할 정도로 금리가 크게 올라버렸습니다. 그런데, 최근 금리가 갑자기 진정되는 양상이 관찰됐습니다. 미국의 한 헤지펀드 매니저가 트위터에 5개의 단어를 쓰자마자 벌어진 일이었습니다. 1. 미국 국채금리 상승과 의미 올해 서학 개미들의 투자처는 단연 10년물 미국 국채였습니다. 10년물 미국 국채란 미국 정부에게 돈을 빌려준 대가, 즉 투자한 대가로 받는 종이를 말합니다. 개념적으로 “10년 후 원금을 돌려줄 테니, 매년 3% 이자를 드리겠습니다”라고 적혀 있습니다. 그런데, 보통 금리가 오르면 채권의 가격은 하락한다고 알려.. 2023. 10. 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