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민정책2 캐나다의 급격한 인구 성장 (feat. 적극적인 이민정책) 멕시코가 GDP에서 한국을 앞질렀다는 뉴스가 나오던데 멕시코 보다 덩치도 큰데 더 잘 나가는 나라는 캐나다입니다. 캐나다의 성장 동력은 인구입니다. 작년 한 해에 인구가 무려 2.9%가 늘면서 4천만 명을 돌파했습니다. 합계 출산율이 1.4에 불과한 캐나다가 이런 인구 성장이 가능한 것은 이민정책 때문입니다. 캐나다는 기업이 사람을 채용하듯이 특정 직군이 부족하면 강력한 유인책으로 해당 직군의 사람들을 데려갑니다. 한국에서 캐나다 이야기하면 이민정책의 부작용, 높은 세금 따위나 말하면서 부정적인 반응이 대부분입니다. 부작용이 없을 리 없겠지만 인구가 줄어들어서 산업이 쪼그라드는 고통만 하겠습니까. 인구가 우리보다 적은데 세계 10대 경제대국 위치를 유지하는 것을 두고도 땅이 넓어서 자원이 많다느니 하는 .. 2024. 5. 2. 캐나다의 이민 정책에 대한 득과 실 (feat. GDP 성장 추진, 인플레이션 및 인프라 문제 발생) 저스틴 트뤼도 총리가 이끄는 캐나다는 진보적인 이민 정책으로 오랫동안 찬사를 받아 전 세계에서 이민자들을 끌어들였습니다. 이민을 늘리려는 정부의 노력은 처음에는 경제 성장을 촉진하고 노동 시장의 격차를 메운다는 점에서 찬사를 받았습니다. 그러나 신규 이민자 유입이 계속되면서 경제학자들은 공공 서비스에 대한 부담과 경제 과열의 잠재적 위험에 대한 우려를 제기하고 있습니다. 1. 경제 성장 및 노동 시장 기여 캐나다의 친이민 입장은 의심할 여지없이 수년 동안 캐나다의 경제적 번영에 기여했습니다. 숙련된 근로자, 기업가 및 학생을 환영함으로써 국가는 노동력을 강화하고 혁신 역량을 강화하며 투자를 유치했습니다. 신규 이민자들은 다양한 산업에 다양성과 참신한 아이디어를 주입하여 생산성 향상과 일자리 창출로 이어졌.. 2023. 8. 10.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