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관세전쟁 완화 기대로 달러 반등
간밤 달러-원 환율(BGN)은 전반적인 달러 흐름을 따라 전 거래일 대비 약 3원 오른 1,427원 부근에서 마감했습니다. 노무라는 올해 한국의 GDP 전망치를 기존 1.2%에서 1.0%로 하향 조정하고, 추가 금리인하 횟수 예상을 2회에서 3회로(5월, 7월, 11월)로 늘렸습니다. BBH는 시장 상황이 트럼프 정책에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관세가 유지되는 한 안도 랠리는 식을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2. 베센트, ‘일방적 대중 관세 인하 제안한 적 없다’
베센트는 트럼프가 일방적으로 대중 관세를 낮추겠다는 제안을 하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관세뿐 아니라 비관세 장벽과 정부 보조금 등 중국에 대해 여러 요인을 들여다보고 있다며, 협상 시한은 없고 양국 간 무역이 완전한 재균형을 이루는 데는 2~3년이 걸릴 수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트럼프 역시 중국과 공정한 거래를 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전일 145%인 대중 관세가 “상당히 낮아지겠지만 0%는 아닐 것”이라고 발언했습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트럼프 행정부가 대중 관세를 일부의 경우 절반 이상 낮추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해당 사안에 정통한 관계자를 인용해 보도했습니다.
3. 연준 베이지북서 무역 우려 지배적
연준 베이지북에 따르면 최근 몇 주 동안 트럼프의 관세 정책으로 인해 불확실성이 미국 전역에 걸쳐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경제 활동이 이전 보고서 이후 크게 변하지 않았지만, 국제 무역 정책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지배적이었다”라고 진단했습니다. 이번 보고서에서 관세 관련 언급이 107번이나 등장했는데, 이는 이전 베이지북에 비해 두 배 이상입니다. “불확실하다”는 단어의 변형된 표현은 89회 등장했고, 여러 지역에서 전망이 “상당히 악화”되었습니다.
4. 핌코, ‘미 국채 기회 보인다. 경제 성장 둔화 가능성 높아’
핌코는 트럼프 정책을 둘러싼 우려로 인해 매도세가 촉발된 미 국채에 대해 이제 매수 기회가 보이기 시작한다고 진단했습니다. 핌코의 최고투자책임자(CIO)인 모히트 미탈은 “시장이 외국인들의 미국 자산배분 축소 위험을 주목하고 있으나 경제 성장이 약할 것이라는 시나리오에는 그렇게 많은 가능성을 부여하지 않고 있다”라고 지적했습니다. 또한 최근 변동성이 인내심 있는 투자자들에게 투자 기회를 확대할 수 있는 기회를 주었다고 덧붙였습니다.
5. ECB 뮐러, ‘무역 불확실성에 중립금리 아래로 가야 할 수도’
마디스 뮐러 유럽중앙은행(ECB) 정책위원은 무역 불확실성이 경제 성장에 더 큰 피해를 줄 경우 ECB가 경제를 부양할 수 있는 수준으로 기준금리를 낮춰야 할 수도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다음 정책회의가 열리는 6월까지 미국과 유럽 간 관세 협상이 좀 더 구체화될 것으로 보고, 그때 가서 입수 가능한 데이터를 토대로 결정을 내릴 방침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데일리 증시 상황 확인 지표 (feat. 달러-원 FX스왑, 팬데믹 이후 저점)
1. 달러-원 FX스왑, 팬데믹 이후 저점달러가 전일 급락에서 반등함에 따라 간밤 달러-원 환율은 전 거래일 대비 약 4원 오른 1,424원 부근에서 마감했습니다. 달러-원 스왑 포인트는 팬데믹 절정 이
mkpark01.tistory.com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전환 (feat. 한국 수출 기업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1. 관세 정책의 급작스러운 변화와 배경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025년 4월 9일(현지시간) 예상치 못한 정책 전환을 발표했습니다. 한국을 포함한 75개국 이상에 대한 상호관세 부과를 90일간
mkpark01.tistory.com
트럼프 vs 파월 금리 갈등의 모든 것 (feat. 연준 독립성 위기)
1. 갈등의 핵심: 두 거인의 신념 충돌2025년 4월 17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을 향해 "해임은 시간문제"라고 공개적으로 선언했습니다. 이는 트럼프가 2025년 1월 취임 후 3개
mkpark01.tistory.com
'경제 > 거시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화 가치의 급락과 미중 관세전쟁이 불러온 경제적 파장 (10) | 2025.04.26 |
---|---|
트럼프의 13시간 번복 (feat. 상호관세 90일 유예가 불러온 글로벌 경제 지각변동) (4) | 2025.04.26 |
데일리 증시 상황 확인 지표 (feat. 달러-원 FX스왑, 팬데믹 이후 저점) (6) | 2025.04.24 |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전환 (feat. 한국 수출 기업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6) | 2025.04.23 |
트럼프 vs 파월 금리 갈등의 모든 것 (feat. 연준 독립성 위기) (7) | 2025.04.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