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국제증시

데일리 증시 상황 확인 지표 (feat. 달러-원 NDF 환율 급락)

by 트렌디한 경제 상식 2025. 5. 9.
반응형

데일리 증시 상황 확인 지표 (feat. 달러-원 NDF 환율 급락)
데일리 증시 상황 확인 지표 (feat. 달러-원 NDF 환율 급락)

 

1. 금융위기 이후 처음으로 원화 강세 심리 우세

원화 강세 심리를 보여주는 달러-원 리스크 리버설이 2007~2008년 금융위기 이후 처음으로 환율 하락 방향을 가리키기 시작했습니다. 미국이 달러 약세를 유도할 수 있다는 추측 속에 최근 원화는 대만 달러와 연동하면서 빠른 속도로 절상되는 모습입니다. BBH는 “달러의 펀더멘털은 여전히 어렵다”며 “트럼프 정부는 약한 달러를 암묵적으로 지원하고 있으며, 미국 경제는 스태그플레이션 위험에 직면해 있고, 무역 전쟁으로 인해 미국 정책의 신뢰성도 훼손됐다”라고 진단했습니다.

 

2. 달러-원 NDF 환율 급락

한국 금융시장이 쉬는 동안 역외 파생시장에서 원화 강세가 두드러졌습니다. 월요일 달러-원 NDF 1개월물은 한때 전 거래일대비 40원 가까이 빠진 1,356원까지 추락했고 이후 1,370원~1,380대에서 거래되었습니다. 대만달러가 달러 대비 5% 강세로 급변동하자, 원화의 움직임도 커졌습니다. 프록시 헤지 등의 이유로 원화와 대만달러는 상관관계가 강한 편입니다. 대만 당국이 부인했지만 미국과의 협상을 위한 통화절상 추측이 일었고, 대만 보험사들이 달러를 헤지 했다는 시각도 있습니다. 씨티그룹은 달러-원 환율 1,355원 아래에서는 국민연금이 환헤지를 줄일 가능성이 있으며, 반대로 1,468원을 상회할 경우 환헤지를 확대할 수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3. 中, 위안화 강세 불허 시사

PBOC가 긴 연휴 이후 위안화의 일일 기준 환율을 기존 대비 큰 변화 없는 수준에서 고시하면서, 위안화가 급격히 강세로 전환되는 것을 허용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시사했습니다. 최근 아시아 통화들이 빠르게 절상되고 있는 가운데 PBOC의 고시환율은 아시아 외환시장을 다소 안정시키는데 도움이 됐습니다. 현지 트레이더들에 따르면, 중국 국영 은행들은 위안화 강세를 늦추기 위해 화요일 역내 현물 시장에서 달러를 매입했습니다. ANZ는 “중국은 무역 협상이 성사되지 않을 가능성이나 적어도 아직 멀었다는 점을 고려해 위안화 강세를 허용할 이유가 없다”며, 고시 환율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려는 노력은 “다른 아시아 통화의 최근 강세를 억제할 것”이라고 진단했습니다.

 

반응형

4. 폴 튜더 존스, ‘대중 관세 50% 인하 기대’

억만장자 투자자인 폴 튜더 존스는 145%에 달하는 대중관세가 50% 인하될 것으로 확신한다면서도, 주식시장은 새로운 저점을 시도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이번 트럼프 관세가 사실상 “1960년대 이후 최대 규모의 세금 인상”이라며, 연준이 갑자기 금리를 내리지 않는 한 “아마도 새로운 저점으로 가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습니다. 골드만삭스는 지난 2주 동안 주식 시장의 급격한 회복이 베어마켓 랠리의 전형적인 특징이며, 불안한 변동성은 시장이 갑자기 어느 방향으로 움직이든 거의 모든 투자자의 고통을 의미한다고 경고했습니다.

 

5. 獨 메르츠, 신임총리 인준 1차 투표 실패 후 2차서 통과

프리드리히 메르츠 독일 기독민주당(CDU) 대표가 1차 신임 총리 인준 투표에서 의회의 과반을 얻지 못해 충격을 던졌습니다. 결국 2차 투표까지 가서 325표를 가까스로 확보했습니다. 차기 총리가 연방의회 첫 투표에서 의회 지지를 확보하지 못한 것은 세계 2차 대전 이후 처음입니다. 9 거래일 연속 올랐던 독일 DAX 지수는 한때 2% 넘게 후퇴. 이번 혼란은 대연정의 취약성을 부각하고, 메르츠의 정치적 입지를 더욱 압박할 우려가 있습니다.


 

 

원/달러 환율, 1,300원대로 급락한 배경과 대만달러 강세 원인 분석

최근 원/달러 환율이 1,500원대 위협에서 벗어나 1,300원대로 급락하며 시장에 큰 변동성이 나타났습니다. 5월 5일 뉴욕 역외선물환(NDF) 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1,374.2원으로, 2일 서울 외환시장 야

mkpark01.tistory.com

 

 

러시아, 전쟁 속에서 꿈틀대는 경제성장의 비밀

학생들이 매년 성적표를 받듯, 국가들도 경제성장률이라는 ‘국가 성적표’를 받습니다. 이 수치는 한 나라 경제가 얼마나 건강하게 성장했는지를 보여주는 대표적 지표죠. 2024년, 전 세계 주요

mkpark01.tistory.com

 

 

관세 폭탄에 몸살 앓는 미국 소비자 현장 (feat. 중국산 없인 미국 살 수 없다)

미국 정부의 대중국 관세 강화가 역설적으로 자국민 생활에 직격탄을 날리고 있습니다. 쉬인과 테무의 가격 폭등에서 시작된 이 위기는 공급망 대란으로 확장되며, 미국 가정의 일상까지 뒤흔

mkpark01.tistory.com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