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미국 정부가 엔비디아의 H20 AI 칩에 대해 중국 등 일부 국가로의 수출을 전면적으로 제한하는 조치를 시행했습니다. 이번 조치로 엔비디아는 중국 본사 또는 중국에 최종 모회사가 있는 기업에 H20 칩을 수출할 때 반드시 미국 정부의 수출 허가를 받아야 하며, 이 규제는 무기한 적용될 예정입니다.
1, H20 칩, 왜 규제 대상이 됐나?
H20 칩은 2022년 미국의 대중 첨단 AI 칩 수출 규제 이후, 엔비디아가 중국 시장을 겨냥해 개발한 제품입니다. 연산 능력은 자사 플래그십 H100 칩의 20% 수준으로 낮지만, 고속 메모리와 칩 간 연결성이 뛰어나 중국 내 슈퍼컴퓨터 및 AI 모델 학습에 널리 활용돼 왔습니다. 실제로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는 H20 칩을 이용해 미국 모델 대비 저렴한 비용으로 생성형 AI를 개발해 주목받기도 했습니다.
미국 정부는 H20 칩이 중국의 AI 및 군사 역량 강화에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수출을 제한하게 됐다고 설명합니다. 이번 조치는 미국이 AI 반도체를 무역·안보 전략의 핵심 도구로 삼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2. 엔비디아·SK하이닉스 등 글로벌 반도체 업계 충격
엔비디아는 이번 수출 제한으로 2025년 1분기(2~4월)에만 약 55억 달러(7조 8,500억 원)의 손실을 입을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이는 중국 대형 IT기업들이 올해 1~3월 H20 칩을 160억 달러 이상 주문한 상황에서, 대부분의 공급이 차질을 빚을 수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이 여파로 엔비디아 주가는 시간 외 거래에서 6% 이상 급락했고, H20 칩에 고대역폭 메모리(HBM)를 공급하는 SK하이닉스 역시 3% 넘게 하락했습니다. 다만, 업계에서는 HBM이 주문형 제품이기 때문에 SK하이닉스 등 국내 메모리 업체의 단기 실적에는 큰 영향이 없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그러나 규제가 장기화할 경우, 전체 AI 반도체 시장의 성장 둔화와 국내 기업의 수출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
3. 미국 내 대규모 투자와 정책 변화
엔비디아는 최근 4년간 미국 내 AI 서버 및 인프라 생산에 최대 5,000억 달러(약 710조 원)를 투자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미국 정부의 반도체 관세 및 대중 수출 통제 완화 기대감과 맞물려 나온 결정으로, 애리조나·텍사스 등지에서 대규모 AI 칩 생산과 슈퍼컴퓨터 제조가 추진됩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엔비디아의 미국 내 투자에 긍정적 반응을 보였으나, 수출 규제는 여전히 강경하게 유지되고 있습니다.
4. 중국의 대응과 AI 반도체 자립 가속
미국의 강도 높은 규제는 중국의 AI 반도체 자립을 더욱 촉진하고 있습니다. 화웨이는 성능이 개선된 '910C' AI 칩을 본격 양산하며, 2025년 한 해에만 10만 개 이상의 칩을 생산할 계획입니다. 이미 중국 내 AI 칩 생산의 75%를 화웨이가 차지하며, 미국 의존도를 빠르게 낮추고 있습니다. 중국 정부도 '중국제조2025' 전략을 통해 반도체 산업에 막대한 자본을 투입, 기술 자립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5. 전망: 글로벌 AI 반도체 패권 경쟁, 더 치열해진다
미국의 엔비디아 H20 칩 수출 제한은 단기적으로는 엔비디아와 협력사의 실적에 타격을 주지만, 장기적으로는 중국의 반도체 자립과 글로벌 공급망 재편을 촉진할 전망입니다. AI 칩을 둘러싼 미·중 기술 패권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는 가운데, 국내 반도체 기업들도 시장 변화에 대한 전략적 대응이 요구되는 시점입니다.
글로벌 전기차 시장 판도 변화 (feat. BYD의 부상과 테슬라의 도전)
1. BYD, 매출 1위 등극의 배경과 전략1) 압도적 내수 시장 기반중국 완성차 업체 BYD(비야디)는 2024년 1,069억 달러(약 153조 6,000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테슬라를 넘어섰습니다. 이는 전년 대비 29%
mkpark01.tistory.com
K-유니콘 3사의 진화론: 흑자 이후를 위한 심층 성장 전략
1. 수익 구조의 혁신적 전환: 단계별 성숙 모델 구축오늘의집, 토스, 당근마켓의 흑자 전환은 이제 새로운 성장 단계의 시작점에 불과하다. 이들이 추구하는 진정한 도전은 단순한 흑자 달성이
mkpark01.tistory.com
트럼프 관세 정책, 미국 증시와 글로벌 경제를 흔들다
1. 트럼프 관세 정책의 주요 내용과 충격2025년 4월 2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전 세계를 대상으로 한 대규모 관세 정책을 발표하며 글로벌 무역 질서에 큰 변화를 예고했습니다. 이번 정
mkpark01.tistory.com
'경제 > 국제증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민, 포장 수수료 도입에 점주와 소비자 반발 확산 (feat. 포장의 해) (14) | 2025.04.17 |
---|---|
메타와 FTC의 법적 대결 (feat. 인스타그램과 왓츠앱의 운명은?) (7) | 2025.04.17 |
글로벌 전기차 시장 판도 변화 (feat. BYD의 부상과 테슬라의 도전) (6) | 2025.04.14 |
K-유니콘 3사의 진화론: 흑자 이후를 위한 심층 성장 전략 (8) | 2025.04.14 |
트럼프 관세 정책, 미국 증시와 글로벌 경제를 흔들다 (5) | 2025.04.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