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국제증시

애플 WWDC 2025, 시장 반응이 냉담한 이유는?

by 트렌디한 경제 상식 2025. 6. 14.
반응형

애플 WWDC 2025, 시장 반응이 냉담한 이유는?
애플 WWDC 2025, 시장 반응이 냉담한 이유는?

 

1. 혁신 부재 논란과 주가 하락, 그리고 미래 전략의 방향

2025년 6월 9일, 애플의 연례 개발자 행사인 WWDC 2025가 전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키며 개최되었습니다. 하지만 이번 행사를 바라보는 시장과 업계의 반응은 이례적으로 냉담했습니다. 12년 만의 대대적인 운영체제(OS) 개편과 새로운 디자인 언어 ‘리퀴드 글래스’가 공개되었지만, 기대를 모았던 AI 혁신에서는 경쟁사와의 차별성을 뚜렷하게 보여주지 못했다는 평가가 주를 이뤘습니다. 여기에 매출 둔화와 관세 리스크까지 겹치며 애플의 미래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2. 12년 만의 대변화, OS와 UI의 전면 개편

애플은 이번 WWDC 2025에서 지난 2013년 iOS7 이후 12년 만에 운영체제와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대대적으로 개편했습니다. ‘리퀴드 글래스(Liquid Glass)’는 유리의 질감을 반영한 반투명 디자인으로, 알림창, 아이콘, 검색창 등 전반에 적용되어 한층 세련되고 현대적인 느낌을 제공합니다.

 

또한, iOS, 아이패드OS, 워치OS, 비전OS 등 각 운영체제의 이름을 출시연도에 맞춰 통일하는 플랫폼 통일화 전략도 발표했습니다. 예를 들어, 2026년 출시되는 iOS는 ‘iOS26’으로 명명되어 사용자가 쉽게 기억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이번 디자인 변화는 단순한 미적 개선을 넘어, 내년 출시가 예상되는 웨어러블 기기와 혼합현실(MR)·확장현실(XR) 시장 진출을 위한 포석이라는 해석도 나오고 있습니다.

 

3. AI 혁신 부재, 시장의 실망감 키우다

WWDC 2025에서 가장 큰 아쉬움으로 꼽힌 것은 바로 AI 혁신의 부족입니다. 애플이 공개한 AI 기능은 실시간 번역, 캡처 이미지 검색 등으로, 이미 삼성전자와 구글 등 경쟁사가 선보인 수준에 머물렀다는 평가입니다. 특히, 음성인식 비서 시리(Siri)의 AI 업그레이드는 내부 기준 미달로 인해 연기되었고, 이로 인해 애플의 AI 경쟁력에 대한 의구심이 더욱 커졌습니다. 다만, 개발자가 애플의 AI 모델을 클라우드 비용 없이 앱에 접목할 수 있도록 한 ‘파운데이션 모델 프레임워크’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나, 시장 전체의 기대를 뒤집기에는 역부족이었다는 지적이 많았습니다.

 

반응형

4. 주가 하락과 관세 리스크, 애플의 미래는?

행사 직후 애플 주가는 1.21% 하락하며 시장의 실망감이 고스란히 반영되었습니다. 한때 뉴욕 증시 시가총액 1위를 지켰던 애플은 현재 마이크로소프트와 엔비디아에 밀려 3위에 머물러 있습니다. 최근 아이폰 판매 부진이 이어지면서, 이번 OS 개편이 매출 반등을 이끌기엔 역부족이라는 분석도 나옵니다.

 

여기에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으로 수입되는 스마트폰에 25% 이상의 관세를 예고하면서, 아이폰의 가격 경쟁력 약화와 중장기 매출 압박까지 예상되고 있습니다.

 

5. 혁신의 아이콘에서 전략적 전환점으로

애플 WWDC 2025는 12년 만의 대대적 OS 개편과 세련된 UI 혁신을 선보였지만, AI 분야에서는 경쟁사와의 격차를 해소하지 못했다는 평가가 지배적입니다. 시장에서는 애플이 더 이상 혁신의 아이콘이 아니라, 전략적 전환점에 서 있다는 신호로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앞으로 애플이 XR·MR 등 신시장 개척과 AI 경쟁력 강화에서 어떤 반전을 보여줄지, 글로벌 IT 시장의 시선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모건스탠리 2025년 주식시장 전망 (feat. 상반기는 신중, 하반기는 낙관)

2025년 주식시장을 바라보는 글로벌 투자은행 모건스탠리의 전략 보고서가 최근 투자자들 사이에서 큰 화제를 모으고 있습니다. 모건스탠리는 2025년 상반기에는 시장이 다소 어려울 수 있지만,

mkpark01.tistory.com

 

 

코스피 2,800 돌파! 이재명 정부 수혜주, 어디까지 오를까?

이재명 정부 출범과 동시에 국내 증시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습니다. 코스피 지수가 2,800선을 돌파하며 10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고, 외국인과 기관투자자들의 대규모 자금 유입, 정부의 증

mkpark01.tistory.com

 

 

트럼프와 머스크, 친구에서 원수로? (feat. 감세안 논란)

1. 감세안 논란이 촉발한 ‘파국 드라마’의 전말최근 미국 정계와 경제계에서 가장 뜨거운 이슈 중 하나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의 극적인 결별입니다. 한때는 ‘혁신

mkpark01.tistory.com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