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기축통화2

경제의 기본상식에 대해 알아보자 (feat. 펀더멘털이란 무엇일까?) 1. 경제의 기초 체력, 펀더멘털 펀더멘털은 말 그대로 한 나라의 경제를 평가할 수 있는 기초 체력을 의미합니다. 즉, 그 나라 경제의 건강 상태를 뜻하는 말입니다. 한 나라의 경제가 건강하다는 것은 그 나라 경제가 향후 지속적으로 성장함과 동시에 완만한 물가 상승이 동반됨을 의미합니다. 또한 우리나라처럼 수출 중심의 대외 개방경제에서는 경상수지 흑자 여부, 그리고 금융위기와 같은 대외 충격에도 견딜 수 있는 중앙은행의 외환보유액 정도가 펀더멘털의 구성요소 중 하나라 할 수 있습니다. 수급과 더불어 한 나라의 펀더멘털은 그 나라 통화에 중력을 제공합니다. 경제가 성장하는 과정에서 수입보다 수출이 많아 경상수지가 흑자가 되면 외화 유동성이 풍부해지고, 기업은 재투자를 통해 기술경쟁력을 확보하게 됩니다. 이.. 2023. 7. 20.
경제의 기본상식에 대해 알아보자 (feat. 기축통화란 무엇일까?) 1. 기축통화인 미국 달러 미국 달러는 세계 각국의 통화와 다이렉트로 거래되고 있습니다. 통화뿐만이 아니라, 산업의 근간인 석유와 철, 구리, 알루미늄 및 니켈 등의 비철금속, 옥수수 및 밀 등의 농산물까지 국제거래소에서 미국 달러는 가격의 기준이 되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미국 달러가 현재 기축통화리기 때문입니다. 기축통화란 국제 외환시장에서 금융거래나 국제 무역결제를 할 때 기본이 되는 통화입니다. 기축통화가 되기 위해서는 우선 전쟁으로 인해 국가의 존립이 위협받지 않을 정도로 군사 강대국이어야 하고, 고도로 발달된 금융 및 자본시장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원활한 대외거래를 위해 규제나 장벽이 없어야 합니다. 또한 다양한 재화나 서비스를 생산해 내수 기반이 확고해야 하며, 산업 전반적으로 균일하게 고.. 2023. 7.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