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물가10

재건축 경제성을 이해하는 50가지 이야기 (feat. 물가 상승과 현가관계) 1. 2종 주거지역의 법적 용적률 상한은 250%, 3종 주거지역의 법적 용적률 상한은 300%입니다.2. 법적 용적률 상한이 300%라고 그게 다 조합의 것은 아닙니다.3. 서울시 도시계획조례상 3종 주거지역의 용적률 상한은 250%입니다.4. 법적 용적률 상한과 도시계획조례상 용적률 상한의 차이 50%는 공짜로 주어지지 않습니다.5. 정부가 주는 인허가 보너스는 정부랑 반띵이 원칙입니다. 6. 지금은 반띵인데 앞으로 7:3이 될 수도 있습니다. 7. 3종 주거지역 기준으로 300% 용적률 보너스 받은 곳은 용적률 25%를 임대주택으로 가져갑니다.8. 임대주택 말고 다른 걸로 하고 싶다면, 요즘 분위기에서는 포기해야 합니다.9. 임대주택 없이 할 수 있다는 사람이 있다면, 그 사람은 아무것도 모르는 사.. 2024. 4. 25.
달러화의 가치, 주식시장 그리고 채권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경제지표 1. 달러화의 가치에 가장 영향력을 미치는 경제지표 1) 고용현황 보고서 2) 국제무역 3) 국내총생산(GDP) 4) 경상수지 5) 산업생산설비가동률 6) 공급관리자협회(ISM) 제조업 보고서 7) 소매판매 8) 소비자물가 9) 소비자신뢰와 심리조사 10) 생산성과 단위비용 2. 주식시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경제지표 1) 고용현황보고서 2) 공급관리자협회(ISM) 제조업 보고서 3) 주간 실업수당신청건수 4) 소비자물가 5) 생산자물가 6) 소매판매 7) 소비자신뢰와 심리조사 8) 개인소득과 지출 9) 내구재주문 10) 국내총생산(GDP) 3. 채권시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경제지표 1) 고용현황보고서 2) 소비자물가 3) 공급관리자협회(ISM) 제조업 보고서 4) 생산자물가 5) 주간 실업수당.. 2024. 2. 8.
대한민국의 2024년 경제정책방향 (feat. 윤석열 정부의 계획) 지난 4일 기획재정부가 2024년 경제정책방향을 발표했습니다. 민생경제 회복, 잠재위험 관리, 역동경제 구현, 미래세대 동행을 핵심 키워드로 내걸었습니다. 전 세계적인 고물가, 고금리 현상에 따른 민생 불안 해소를 우선시하면서도, 윤석열 정부가 취임부터 강조한 건전재정 기조 확립 및 민간 주도 경제로의 전환을 지속하겠다는 포부가 보입니다. 1. 물가, 서민 생활 안정 정부는 올해 상반기 중 물가상승률 2% 조기 달성을 위해 총력을 다할 계획입니다. 지난 2년 간 물가상승률이 3%를 웃도는 고물가가 지속되면서, 정부는 올해 물가 관리 예산을 전년보다 1.8조 원 늘렸습니다. 주요 식품 원자재의 할당 관세를 인하하고, 올 상반기 전기, 가스 등 공공요금을 동결하기로 했습니다. 또 서민 생활과 밀접한 핵심 생.. 2024. 1. 18.
금리, 투자하기 전 필수로 장착해야 할 상식 (feat. 금리와 미국의 금융 패권) 1. 미 연준의 ‘두 가지 목표’ 미국 연방준비제도(FRB)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는 물가 안정과 완전고용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아야 한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다른 나라 중앙은행과 달리 금리를 결정할 때 실업률, 취업자 증가율, 실업보험 청구 건수, 임금 상승률 등 여러 고용지표를 고려합니다. 고용지표는 소비와 직결되기 때문에 경기 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잣대이기도 합니다. 미 연준과 달리 한국은행은 물가안정을 핵심 목표로 하고 있고, 금융 안정을 부가적으로 고려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전 세계 40여 개 주요국의 중앙은행이 통화정책으로 ‘물가안정 목표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대부분 물가안정 목표를 소비자물가지수 기준으로 2%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미국 연준도 2%가 .. 2023. 12. 7.
금리, 투자하기 전 필수로 장착해야 할 상식 (feat. 금리와 환율) 1. 경제정책 트릴레마와 금리 경제에서 금리가 나무라면 환율은 숲입니다. 금리는 금융시장에서 정해지는 다양한 가격을 의미하고 환율은 이 다양한 가격과 실물시장에서의 움직임이 포괄적으로 반영돼 정해지는 한 나라 돈의 값어치입니다. 이런 점에서 환율은 국가 전체 경제가 얼마나 원활히 잘 돌아가는지를 반영하는 하나의 지표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환율이 안정됐다면 그 나라의 경제가 안정적으로 움직이고 있다는 의미이고 환율이 불안정하다면 경제가 불안정한 것입니다. 대부분의 나라들이 환율 수준을 안정시키는 것을 경제정책의 최우선 과제로 삼고 있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입니다. 경제가 어려울 때 정부는 나서서 각종 경제정책을 내놓습니다. 물가가 오를 때는 금리를 올리고 경기가 어려울 때는 재정에서 돈을 풀어 .. 2023. 12. 6.
한국은행 금융통화 위원회 주요 문구 변화 (feat. 물가에 따른 금리 조절 전망) 한국은행 금융통화 위원회 주요 문구 변화 (feat. 물가에 따른 금리 조절 전망) 1. 통화정책 결정배경 추가 인상 필요성은 대내외 정책 여건의 변화를 점검하면서 판단해 나갈 것이란 문구를 삭제하였으며, 물가 판단 상향 조정, 대외 불확실성 큰 변화 부재, 가계부채 모니터링 스탠스 유지 및 명확해진 동결 기조 1) 물가 판단 및 전망 기존: 기조적인 둔화 흐름과 둔화 속도가 당초 예상보다 완만하다고 판단 변경: 당초 예상보다 높아졌지만 기조적인 둔화 흐름이 이어질 것 2) 불확실성 기존: 주요국의 통화긴축 기조 장기화 및 지정학적 리스크 증대 변경: 대외여건의 불확실성 3) 가계부채 기존: 가계부채 증가 흐름도 지켜볼 필요가 있음 변경: 가계부채가 증가되는 추이 2. 세계 경제 지정학적 리스크 감소 외.. 2023. 12. 3.
11월 FOMC 의사록 주용 내용 총 정리 (feat. 기준금리, QT, 펀더멘털 및 물가) 1. 11월 FOMC 의사록 주요 내용 - 구성원 전원, 현재 통화정책은 경기와 물가에 하방 압력을 가하는 제약적인 수준. 또한, 최근 몇 달 사이 금융 환경도 상당히 긴축적으로 변화 (Participants judged that the current stance of monetary policy was restrictive and was putting downward pressure on economic activity and inflation. In addition, they noted that financial conditions had tightened significantly in recent months.) - 일부(some) 구성원, 그들 관할 지역에서의 소비자 수요는 미국 전역 지표 대비 .. 2023. 11. 22.
국제 유가상승은 물가 상승이라는 상식의 변화 (feat. 소비 지출의 감소) 통상적으로 국제 유가가 오르는 것은 물가 상승의 원인이 됩니다. 또한 물가 안정의 단초가 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유가상승은 당연히 전반적인 물가 상승으로 이어지는 것이 상식으로 통하지만,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는 분석이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어떻게 유가가 오르는데 물가가 안정될 수 있다는 것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최근에 발표된 중요한 경제 지표는 미국의 8월 소비자 물가였습니다. 물가가 전년 동기 대비 3.7% 올랐습니다. 7월보다도, 그리고 시장의 예상보다도 높게 나온 겁니다. 그런데 유가를 제외한 다른 상품들의 가격은 7월보다, 그리고 시장의 예상보다 덜 올랐습니다. 요약하면 기름값은 오르고 있는데 기름을 제외한 다른 물품들의 가격은 예상보다 덜 오른다는 것입니다. 1. 유가상승으로 소비 지출 감소.. 2023. 9. 17.
거시경제의 흐름에 대해 알아보자 (feat. 인플레이션 및 소비자물가지수) 2022년 언론에 ‘3고’라는 단어가 참 많이 나왔습니다. 3고란 세 가지가 높다는 것인데, 그것은 ‘고물가, 고금리, 고환율’이었습니다. 이 중 가장 중요한 것이 고물가였습니다. 2022년 우리나라 소비자물가상승률이 5.1%로 우리가 외환위기를 겪었던 1998년(7.5%)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그런데 2022년 미국 소비자물가상승률은 8.0%로 더 많이 올랐습니다. 특히 2022년 6월에는 미국 소비자물가가 전년 동월비 9.1%나 상승하면서 40년 4개월(1981년 11월 9.6%) 만에 최고치를 기록할 정도였습니다. 물가가 이렇게 오르다 보니 각국 중앙은행은 금리를 올릴 수밖에 없었습니다. 중앙은행 통화정책의 가장 중요한 목적이 물가안정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미국의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연.. 2023. 8.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