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양적 긴축2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전쟁이 세계 경제에 미치는 모든 것 팔레스타인 저항 조직 하마스가 이스라엘을 공격했습니다. 그런데 시장의 시선은 전장에서 2,000km나 떨어진 이란으로 향하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이란이 하마스의 배후일 수도 있고, 배후는 아니더라도 이스라엘과 하마스의 충돌이 격해지면 하마스를 지원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입니다. 이 상황의 문제는 이스라엘은 결국 이란을 공격할 수밖에 없는데, 그때 이스라엘 편에 서야 하는 미국의 입장이 곤혹스럽기 때문입니다. 이란은 한 때 미국의 가장 큰 골칫거리이기도 했지만 지금은 아닙니다. 이란의 하루 원유 수출량은 올해 초보다 64만 배럴이나 증가했습니다. 주로 중국이 사가고 있지만 그게 유가 안정에 상당한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1. 이란이 뛰어들면 물가도 뛴다 물가 상승이 가장 큰 걱정거리인 미국 입장에선 다행스.. 2023. 10. 15. 풀리지 않는 미국 경제의 미스터리와 원인 (feat. 고금리, 고물가 그리고 고용 열기의 지속) 요즘 세계 경제의, 정확히는 미국 경제의 미스터리가 몇 가지 있습니다. 금리를 계속 올리고 있고, 최근 10년 동안 볼 수 없었던 높은 수준으로 금리가 뛰어올랐습니다. 물가도 생각만큼 내려가지 않고 고용도 식지 않고 있습니다. 1. 미 국채 10년물 금리, 4.8%까지 상승 물론 금리를 올린다고 물가와 고용이 바로 꺾이는 것은 아니니 좀 기다려야 할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시장은 ‘아무리 기다려도 물가와 고용이 꺾이지 않을 수도 있고 물가와 고용이 식더라도 금리는 계속 높을 수 있다’는 시나리오에 강하게 베팅 중입니다. 미국의 국채 10년물 금리가 4.8% 수준까지 다시 뛰어오른 게 그 증거입니다. 10년 후의 금리가 적어도 그 정도 수준이 될 것이라는 시장의 예상은 금리가 이렇게 높은 데도 불구하고 그.. 2023. 10. 9.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