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거시경제

북극해 개발 경쟁 (feat. 새로운 '그레이트 게임'의 시작)

by 트렌디한 경제 상식 2025. 3. 31.
반응형

북극해 개발 경쟁 (feat. 새로운 '그레이트 게임'의 시작)
북극해 개발 경쟁 (feat. 새로운 '그레이트 게임'의 시작)

 

북극해의 빙하가 녹으면서 새로운 해상 루트와 자원 개발 가능성이 열리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북극 연안국들과 주요 강대국들 사이에 치열한 경쟁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과 러시아의 대립이 두드러지는데, 이는 19세기 영국과 러시아의 중앙아시아 패권 경쟁인 '그레이트 게임'을 연상시킵니다.

 

1. 북극해의 변화와 새로운 기회

기후변화로 인해 북극의 얼음이 빠르게 녹고 있습니다. 1971년부터 2019년까지 북극 지역의 평균 기온은 3°C 이상 상승했는데, 이는 전 세계 평균의 약 3배에 달하는 수치입니다. 이러한 현상을 '북극 증폭'이라고 부릅니다.

 

북극 얼음이 녹으면서 두 가지 중요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1) 새로운 해상 루트 개척

북극항로가 열리면 유럽과 동북아시아 간 해상 운송 시간이 최소 일주일 단축될 전망입니다. 현재 주로 이용되는 수에즈 운하나 희망봉 경로에 비해 거리와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2) 자원 개발 가능성

미국 지질조사국에 따르면 북극 지역에는 전 세계 미개발 천연가스의 약 30%, 사우디아라비아 전체 원유 매장량의 30~35%에 해당하는 자원이 매장되어 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또한 금, 아연, 구리, 니켈, 팔라듐 등 희귀 금속도 풍부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2. 북극해 개발을 둘러싼 국가 간 경쟁

북극 개발을 둘러싸고 크게 두 그룹의 이해관계가 대립하고 있습니다.

① 북극이사회: 스웨덴, 노르웨이, 핀란드, 덴마크, 아이슬란드, 캐나다, 미국, 러시아 8개국으로 구성된 다자간 협의체입니다. 주로 환경 보호와 지속 가능한 개발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② 북극연안 5개국: 북극해에 직접 해안선을 접한 캐나다, 미국, 덴마크(그린란드), 노르웨이, 러시아로 구성됩니다. 이들은 해양 관할권과 자원 개발을 중심으로 협력과 경쟁을 벌이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한국, 일본, 중국, 인도 등 13개국이 북극이사회의 옵저버로 참여하며 북극 개발에 관심을 보이고 있습니다.

 

3. 러시아의 적극적인 북극 전략

러시아는 북극 개발에 가장 적극적인 국가 중 하나입니다. 2007년 북극 전략 선언 이후 50개의 구 소련 군사기지를 복원했습니다. 북극해 항로(NSR)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며, 외국 군함의 통과에 사전 허가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13개 공군기지, 10개 레이더 기지, 20개 국경 초소, 10개 긴급 구조 기지를 신설 또는 보강했습니다.

 

북방함대를 강화하고, 일부 쇄빙선에 칼리브르 순항 미사일과 전자전 시스템을 탑재했습니다. 북극해 연안에 10만 명의 군대를 배치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반응형

4. 미국의 대응과 트럼프의 북극 전략

미국은 상대적으로 늦게 북극 전략을 수립했지만, 최근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2013년 북극 지역 국가 전략을 수립했고, 2024년에는 국방부 차원의 북극 전략을 설정했습니다. 알래스카와 북극 지역에서의 군사 작전 수행 능력 강화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그린란드 매입 의사를 여러 차례 표명하며 북극에 대한 관심을 드러냈습니다.

 

5. 향후 전망

북극해를 둘러싼 경쟁은 앞으로 더욱 치열해질 전망입니다. 특히 미국과 러시아의 대립이 심화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는 자원 개발과 해상 루트 통제권을 둘러싼 새로운 형태의 '그레이트 게임'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동시에 환경 보호와 지속 가능한 개발이라는 과제도 중요해질 것입니다. 국제사회는 북극의 경제적 가치와 생태계 보존 사이에서 균형을 찾아야 하는 도전에 직면해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북극해 개발 경쟁은 21세기 국제 정세의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것이며, 이에 대한 각국의 전략과 대응이 향후 글로벌 파워 밸런스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구리 가격의 급등 (feat. 2025년 원자재 시장의 새로운 패러다임)

2025년 3월, 구리 가격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며 글로벌 원자재 시장에 지각변동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이는 단순한 가격 변동을 넘어 세계 경제와 산업 동향, 그리고 기술 혁신의 흐름을 반영하

mkpark01.tistory.com

 

 

국회 통과 상법 개정안 (feat. 주주 보호 강화, 기업 반발 그리고 향후 전망)

2025년 3월 13일, 더불어민주당 주도로 상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했습니다. 이번 개정안은 이사의 주주 충실 의무를 도입하고, 일정 규모 이상의 상장 회사에 전자 주주총회 도입을 의무화하는

mkpark01.tistory.com

 

 

데일리 증시 상황 확인 지표 (feat. FTSE 리밸런싱에 원화 강세 눈길)

1. 韓 탄핵정국 고비. FTSE 리밸런싱에 원화 강세 눈길씨티그룹은 헌법재판소가 3월 28일부터 4월 중순 사이에 윤석열 대통령 탄핵 인용 결정을 내릴 것으로 예상하면서, 정치적 불확실성이 완화되

mkpark01.tistory.com

반응형

댓글

트렌디한 경제 상식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