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과 이란이 2025년 6월, 12일간의 무력 충돌 끝에 사실상 완전한 휴전에 합의했다. 이로써 중동의 긴장감이 크게 완화됐고, 국제 유가와 금융시장은 즉각적으로 반응했다. 이번 휴전 합의는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중재로 성사됐으며, 양국 모두 공식적으로 휴전 의사를 밝혔다. 하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여전히 불안정한 정세가 이어지고 있어, 완전한 평화 정착까지는 시간이 더 필요하다는 전망도 나온다.
1. 이스라엘-이란, 완전한 휴전에 이르다
2025년 6월 23일(현지 시각),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자신의 SNS를 통해 “이스라엘과 이란 사이에 완전하고 전면적인 휴전을 하는 것으로 완전한 합의가 이뤄졌다”라고 공식 발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란이 먼저 휴전을 시작하면 12시간 후 이스라엘도 공격을 멈추고, 다시 12시간이 지나면 전쟁이 공식적으로 종료된다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합의가 “무기한 휴전”임을 강조하며, 양국 모두 휴전 협정을 위반하지 말라고 강하게 경고했다.
이란 국영방송도 트럼프의 발표 6시간여 뒤 “휴전이 지금 시작된다”고 공식 발표했고, 이스라엘 역시 트럼프 대통령과의 전면적인 조율 아래 상호 휴전 제안에 동의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미국 동부시각 24일 0시(이스라엘 현지시각 24일 오전 7시, 이란 오전 7시 30분) 이란이 공격을 중단하고, 12시간 뒤 이스라엘도 공습을 멈추며, 25일 0시께 전쟁이 종료된 것으로 간주됐다.
2. 12일간의 전쟁과 그 배경
이번 무력 충돌은 6월 13일, 이스라엘이 이란의 핵시설과 군사시설을 공격하면서 시작됐다. 미국은 이란의 포르도, 나탄즈, 이스파한 등 주요 핵시설 3곳을 전격 공습하며 사태에 직접 개입했다. 이에 이란은 카타르와 이라크 내 미군기지에 미사일을 발사하는 등 보복에 나섰으나, 이란의 보복 공격은 사전에 미국과 카타르에 통보된 제한적 군사행동이었고, 인명 피해도 없었다는 점에서 ‘제한된 보복’이라는 평가가 나왔다.
이스라엘의 목표는 이란의 핵무기 개발 저지였고, 미국과의 공조로 핵심 핵시설을 타격함으로써 사실상 목표를 달성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반면 이란은 미국과 이스라엘의 연속 공격에 정권 안정까지 위협받는 상황에 몰렸다. 이런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이 휴전을 강력히 권고하면서 양국 모두 휴전에 동의하게 됐다.
3. 휴전 이후의 중동과 국제 경제
휴전 소식이 전해지자 국제유가는 즉각적으로 하락했다. 23일(현지 시각), 서부텍사스산원유(WTI) 8월물 종가는 전 거래일 대비 7.22% 내린 68.51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이란이 호르무즈 해협을 봉쇄하지 않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반영된 결과다. 동시에 원/달러 환율도 24.1원 하락해 1,360.2원에 마감됐고, 달러인덱스 역시 약세를 보였다.
위험자산 선호 심리가 살아나면서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 가격이 급등했고, 국내 증시 역시 코스피가 3,100선을 돌파하는 등 활황을 보였다. 반면 전쟁 수혜주로 꼽히던 방산주, 해운주, 정유주는 급락했다. 유가 급등에 고심하던 항공업계는 유가 하락으로 한숨 돌렸고, 대한항공 등 항공주 주가도 크게 올랐다.
4. 불안정한 휴전, 남은 과제
휴전이 공식 발효된 이후에도 이스라엘과 이란은 한때 낮은 수준의 공격과 보복을 주고받으며 긴장을 높였다. 이란은 이스라엘을 향해 미사일 2발을 발사했고, 이스라엘은 이란 수도 테헤란 인근의 레이더 기지를 제한적으로 타격했다. 그러나 이후로는 양국 모두 추가적인 군사 행동을 자제하며, 중동 하늘은 비교적 조용해졌다. 뉴욕타임스 등 외신은 “휴전이 발효된 시점을 전후로 공습과 반격이 이어졌으나, 밤이 되자 조용해진 하늘은 양측 모두 휴전이 유지되기를 원하고 있다는 신호”라고 분석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스라엘과 이란 모두에게 휴전 협정 준수를 강력히 요청하며, 특히 이스라엘을 향해 “폭탄을 투하하지 말라. 그렇다면 중대한 위반이다. 지금 당장 조종사들을 귀국시키라”며 공개 경고했다. 이스라엘과 이란 양측은 이번 전쟁의 ‘승리자’ 임을 주장하고 있다. 이스라엘 네타냐후 총리는 “모든 목표를 달성했다”며 승리를 선언했고, 이란 대통령 역시 “적의 침략을 멈추게 만들었다”라고 자국민에게 메시지를 전했다.
5. 중동의 새로운 국면, 완전한 평화는 과제
이스라엘과 이란의 12일 전쟁은 트럼프 대통령의 중재로 공식적인 휴전과 함께 막을 내렸다. 하지만 양국 간의 불신과 긴장은 여전히 남아 있다. 핵시설 파괴, 군 수뇌부 사망 등 전쟁의 상흔이 깊게 남아 있는 만큼, 완전한 평화 정착까지는 시간이 더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 휴전은 중동 지역과 세계 경제에 단기적 안도감을 줬지만, 향후 휴전 협정이 얼마나 잘 지켜질지, 그리고 양국이 진정한 화해로 나아갈 수 있을지 주목된다.
데일리 증시 상황 확인 지표 (feat. 나토 정상들, 국방비 증액 합의)
1. 달러-원 소폭 상승. ‘포트폴리오 리밸런싱에 달러 매도 필요’수요일 밤 달러-원 환율(REGN)은 달러와 전반적인 흐름을 같이 하며, 전일대비 2원가량 오른 1,361원 부근에서 마감했습니다. 바클
mkpark01.tistory.com
미국 4연속 금리 동결, 다시 불붙는 파월 VS 트럼프?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기준금리를 4차례 연속 동결하면서, 제롬 파월 연준 의장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간의 신경전이 다시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습니다. 이 결정은 미국 경제뿐 아니라 한
mkpark01.tistory.com
이스라엘-이란전, ‘AI 주도 전쟁’의 실체와 한반도 평화에 주는 교훈
2025년 이스라엘과 이란 사이에 벌어진 전쟁은 단순한 무력 충돌을 넘어, 21세기 전쟁의 본질적 변화를 전 세계에 각인시켰습니다. 이번 분쟁은 AI(인공지능)가 단순한 보조 도구가 아니라 군사 작
mkpark01.tistory.com
'경제 > 거시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준 내 엇갈리는 의견, 7월 인하 vs 9월 인하 (4) | 2025.07.01 |
---|---|
데일리 증시 상황 확인 지표 (feat. 미국, 캐나다와 모든 무역 협의 중단 발표) (8) | 2025.07.01 |
리쇼어링, 정말로 일자리를 되찾을 수 있을까? (6) | 2025.06.29 |
미국의 이란 핵시설 타격, 중동 전면전으로 번질까? (7) | 2025.06.29 |
데일리 증시 상황 확인 지표 (feat. 파월 조기 레임덕 리스크 증가) (6) | 2025.06.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