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FOMC9

5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사전 예측 (feat. 금리 인상 or 동결) 금리는 5.375%로 동결 예상입니다. 파월 의장이 최근 인플레이션에 대한 진전이 없다는 발언을 한 것을 감안하면 FOMC 성명서에는 변화가 거의 없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매파적인 기자회견이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연준이 보다 설득력 있는 데이터를 기다리는 동안 인내심을 유지하는 데 중점을 둘 것입니다. Q&A에서 파월 의장은 "언젠가는" 금리 인하를 예상하지만 연준이 금리 인하를 "예상보다 오래" 기다릴 수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이번 회의에서 양적완화 축소에 대한 시그널은 6월에 시작될 매개변수 및 시작일 발표와 함께 나올 것으로 예상합니다. 당사의 금리 전략가들은 시장이 현재 수준보다 더 매파적인 결과를 가격에 반영할 것으로 예상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데이터가 다른 방향으로 바뀌지 않는 한 연준이 금.. 2024. 4. 30.
1월 FOMC 결과 및 시사점과 국내 증시 전망 (feat. 파월의 파급력) 1. 1월 FOMC 결과 및 시사점 이번 1월 FOMC는 기존 시장 예상대로 금리는 동결했지만, 파월 의장의 기자회견은 지난 12월 FOMC에 비해 덜 비둘기파적인 색채가 곳곳에서 드러났던 것으로 판단됩니다. 최근까지도 시장은 3월 금리인하 시작에 대한 베팅은 좀처럼 철회하지 않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번 기자회견에서 파월의장은 “이번 회의 결과에 기반했을 때, 아직은 3월 인하까지 단행할 수준에 도달할 것으로 보지 않는다”면서 시장의 3월 인하 기대감을 차단한 것으로 보입니다. 최근 6개월 간 물가 데이터가 좋게 나왔지만, 2% 아래로 내려갈 것이라는 확신이 생겨야 인하할 것이며, 이중 상품 인플레이션 이외에 다른 품목에서의 인플레이션 하락의 기여가 필요하다고 언급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한 요인입니다. .. 2024. 2. 1.
12월 연준 의장 및 FOMC의 기자회견 총정리 (feat. 달라진 파월) 1. 12월 FOMC 기자회견 총평: 달라진 파월 승리 선언에 시기상조라는 기존 입장을 고수했지만 (No one declaring victory that would premature) any 용어 삽입 배경을 이번 사이클에서 금리가 정점 또는 그 근처에 있을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인정하기 위함이라 답변했습니다. (as acknowledgment FOMC was at or near the peak of rate for this cycle) WSJ 닉 티미라오스 preview처럼 이번 회의에서 금리 인하 시점에 대한 논의는 없었다고 밝혔지만 인하 시사 발언을 상당히 많이 내놓았습니다. 1) 금리인상은 더 이상 기본 시나리오가 아님 (Rate hike is not the base case anymore) 2).. 2023. 12. 14.
금리, 투자하기 전 필수로 장착해야 할 상식 (feat. 금리와 미국의 금융 패권) 1. 미 연준의 ‘두 가지 목표’ 미국 연방준비제도(FRB)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는 물가 안정과 완전고용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아야 한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다른 나라 중앙은행과 달리 금리를 결정할 때 실업률, 취업자 증가율, 실업보험 청구 건수, 임금 상승률 등 여러 고용지표를 고려합니다. 고용지표는 소비와 직결되기 때문에 경기 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잣대이기도 합니다. 미 연준과 달리 한국은행은 물가안정을 핵심 목표로 하고 있고, 금융 안정을 부가적으로 고려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전 세계 40여 개 주요국의 중앙은행이 통화정책으로 ‘물가안정 목표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대부분 물가안정 목표를 소비자물가지수 기준으로 2%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미국 연준도 2%가 .. 2023. 12. 7.
11월 FOMC 기자회견 핵심 정리 (feat. 제롬 파월 연준 의장 기자회견 주요 내용) 1. 11월 FOMC 기자회견 핵심내용 1) 모두발언 ① 시작부터 인플레이션 통제 관련 기존 메시지를 반복 (determined to get inflation under control). 여전히 2%로 되돌리겠다는 강한 의지 (strongly committed)를 거듭 강조했고, 여전히 갈 길이 멀다고 (long way to go) 합니다. ☞ 9월에 이어 “how high”와 “how long”의 경계선을 의미 ② 단, 9월 FOMC에 이어 "proceeding carefully" 용어를 사용했습니다. 직면한 불확실성과 위험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 12월 FOMC 동결 가능성 시사 ③ 고금리가 기업투자와 주택시장에 부담을 주고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그리고 금융환경의 지속적인 (persisten.. 2023. 11. 2.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록, 또 다른 엄청난 금리 인상에 주목 금융계는 연준이 최근 정책회의 의사록 공개를 준비하는 모습을 예리하게 주시하고 있습니다. 이 의사록은 금리의 방향과 경제 위험에 대한 중앙은행의 인식에 대한 귀중한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시장이 변화의 징후에 대해 경계를 늦추지 않는 가운데, 수요일 발표된 문서는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가 금리 인상 주기의 끝자락에 가까워지고 있는지, 그리고 공격적인 통화 긴축의 잠재적 결과에 대한 우려가 중요해지고 있는지를 엿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연준의 진화하는 통화 정책 연준의 금리 결정은 국내 경제와 세계 경제 모두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칩니다. 금리는 기업과 소비자의 차입 비용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환율, 투자 결정 및 주식 시장 동향에도 영향을 미.. 2023. 8. 20.
미국 7월 FOMC 시사점, 주요 내용 및 국내 증시 전망 (feat. 제롬 파월의 기자회견 주요 내용) 1. 7월 FOMC 결과에 따른 증시 시사점​ ① 성명서상 지난 6월 FOMC 성명서와 텍스트나 톤이 거의 변화하지 않았던 무난했던, 혹은 비둘기파적인 인상의 성격이 짙었던 것으로 판단(FOMC 이후 증시 혼조세, 달러 하락, 금리 하락)으로 보입니다. ② 9월 말 FOMC까지 2번의 고용지표와 CPI 지표가 대기하고 있는 만큼, 해당 지표들의 결과에 따라 9월 FOMC에서의 금리 인상 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예측됩니다. ③ 9월 인상을 하든, 동결을 하든 간에 8주의 시간은 모든 것을 빨리 반영하고 소화하려는 주식시장 입장에서 답답한 시간일 수도 있겠지만, 8월 말 예정된 잭슨홀 미팅에서 파월 의장의 스탠스 변화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습니다. ④ 파월 의장이 2025년에도 인플레이션이 2% 목표에 도달할 .. 2023. 7. 27.
미국, 6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 주요 내용 총정리 (feat. 경제, 고용, 정책 및 물가) 1. 미국 6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 경제 및 고용 관련 주요 내용 1) 구성원 전원이 제시한 동일한 의견 ① 견제는 완만하지만 지속적으로 확장세. (Participants noted that economic activity had continued to expand at a modest pace.) ② 긴축된 신용 환경이 경제, 고용, 물가 하방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으나 그 정도와 범위는 불명확. (They commented that tighter credit conditions for households and businesses were likely to weigh on economic activity, hiring, and inflation. However, participants.. 2023. 7. 8.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25BP 금리 인상 확정 1.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주요 내용 첫째, FOMC에서 정책금리를 5.00~5.25%로 25bp 인상을 결정하였습니다. 또한 향후 회의 때마다 의사결정을 할 것이라 밝혔습니다. 둘째, 이번 결정은 만장일치로 통과되었습니다. 최근 은행발 유동성 위기로 비둘기파의 성향의 발언을 이어오던 오스틴 굴스비(Austan Dean Goolsbee) 시카고 연은 총재도 금리인상에 대해 찬성했습니다. 제롬 파월(Jerome Powell)은 이번 결정에 대한 지지가 매우 강력하다고 밝혔습니다. 셋째, 고용시장이 여전히 타이트하고, 은행발 위기로 인한 대출 감소가 경기에 얼마나 영향을 줄지 불확실한 가운데 인플레이션과 고용시장, 신용 데이터들이 향후 정책에 반영될 것이라 밝혔습니다. 양적긴축(QT, Quantita.. 2023. 5.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