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경제/거시경제118 인플레이션의 해결방안 (feat. 새로운 시대의 노인에 대한 관점과 소비패턴) 1. 인플레이션이 인플레이션을 일으시는 상황 코로나 사태 이래로 전 세계 물가가 급등한 건 ‘공급망 불안’ 때문이었습니다. 그러나 각국의 대응은 공급망 문제 해결이 아닌 기준금리 인상으로 나타났습니다. 기준금리 상승이란 카드를 꺼내든 이유는 인플레라는 불길이 확산되는 걸 막기 위해서였습니다. 그 원인이 무엇이든 인플레가 평소보다 높은 수준으로 일정 기간 이어지면, 사람들은 자신들이 파는 상품의 가격, 예를 들어 노동자라면 임금, 식당이라면 메뉴의 가격표를 연쇄적으로 올려 인플레에 저항하려고 하기 때문입니다. 이런 저항이 벌어지면 그렇게 올라간 임금이나 가격이 다시 전반적인 물가 수준을 높이는 악순환(wage-price spiral)이 시작됩니다. 그래서 미국은 제로 수준이던 기준금리를 긴급하게 5.5%까.. 2023. 11. 14. 일본은행과 다른 중앙은행들의 차이점 (feat. 일본 임금 현황 및 정책 정상화) 1. 일본은행이 다른 중앙은행들과 다른 점 모든 중앙은행들은 물가 안정, 즉, 물가가 목표 수준만큼만 상승하기를 원합니다. 대다수 선진국 중앙은행의 목표 물가는 2%. 일본은행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런데 사실상 일본은행을 뺀 나머지 중앙은행들은 모두 이 목표 물가 달성을 위해 물가를 대체로 억누르려고 합니다. 일본은행은 다릅니다. 20년 넘게 이어진 저물가 영향에 우에다 총재와 일본은행은 목표 물가 달성을 위해 물가를 끌어올리려고 노력 중입니다. 또한 많은 중앙은행들은 ‘임금 – 물가 상승’ 악순환의 연결 고리가 생성되는 것을 극도로 경계하는 편입니다. 연초 연준이 이걸로 시끄러웠고 한국은행도 한동안 임금 상승이 기조적인 물가 상승으로 이어질까 노심초사했었습니다. 일본은 반대의 입장입니다. 임금이 올라서 .. 2023. 11. 8. 지속적인 고금리에도 미국 경제가 식지 않는 이유 (feat. 금융시장) 지난주 금융시장에서 나온 가장 눈에 띄는 신호는 환율 하락입니다. 1,350원 수준이던 원-달러 환율이 이틀 만에 1,312원으로 내려왔습니다. 이런 속도로 하루만 더 떨어지면 우리에게 익숙한 구간인 1,200원대 환율로 접어들 수도 있습니다. 1. 이례적인 고금리 지속 환율이 하락한 것은 금융시장의 기대감이 반영된 결과입니다. 올해 내내 전 세계를 짓눌러 온 고금리라는 긴축 기조가 누그러질 것 같다는 기대가 형성된 것인데요. 우선 전 세계가 긴축을 하면 왜 우리나라 환율이 오르는지 이해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긴축은 전 세계 소비를 둔화시킵니다. 이는 곧 한국의 수출 감소로 이어지고, 국가 전체적으로 봤을 때 달러 유입이 줄어들게 됩니다. 달러 유입이 줄어들면 한국에 대한 투자 전망이 어두워지므로 외국.. 2023. 11. 5. 11월 FOMC 기자회견 핵심 정리 (feat. 제롬 파월 연준 의장 기자회견 주요 내용) 1. 11월 FOMC 기자회견 핵심내용 1) 모두발언 ① 시작부터 인플레이션 통제 관련 기존 메시지를 반복 (determined to get inflation under control). 여전히 2%로 되돌리겠다는 강한 의지 (strongly committed)를 거듭 강조했고, 여전히 갈 길이 멀다고 (long way to go) 합니다. ☞ 9월에 이어 “how high”와 “how long”의 경계선을 의미 ② 단, 9월 FOMC에 이어 "proceeding carefully" 용어를 사용했습니다. 직면한 불확실성과 위험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 12월 FOMC 동결 가능성 시사 ③ 고금리가 기업투자와 주택시장에 부담을 주고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그리고 금융환경의 지속적인 (persisten.. 2023. 11. 2. 이스라엘-팔레스타인 갈등, 주식시장의 붕괴를 주도 (feat. 블랙스완) 이스라엘-팔레스타인 갈등은 때때로 세계 시장에 충격파를 몰고 온 오랫동안 지속되고 복잡한 지정학적 문제입니다. 반드시 전체 주식시장을 붕괴시키는 단일 '블랙스완' 사건은 아닐 수 있지만, 다양한 방식으로 글로벌 금융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이스라엘 분쟁의 역사적 맥락, 그것이 주식 시장에 미칠 잠재적 영향, 투자자들이 고려해야 할 요소들을 살펴보겠습니다. 1. 블랙 스완의 정의 금융시장에서 '블랙스완'은 경제와 금융시스템에 심각하고 파괴적인 영향을 미치는 극히 드물고 예측할 수 없는 사건을 말한다. 이 용어는 나심 니콜라스 탈레브(Nassim Nicholas Taleb)가 그의 저서 "The Black Swan: The Impact of the Highly Improbabl.. 2023. 10. 31. 채권수익률이 급등과 금리 인상으로 글로벌 경제 급락 (feat. 경제전망) 세계 경제는 중앙은행이 대규모 금융 위기를 촉발하지 않으면서 인플레이션을 낮추려고 시도하는 섬세한 작전인 '연착륙'을 향한 궤도에 들어섰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여정은 최근 미국 국채 수익률의 급격한 급등으로 인해 점점 더 격동적이 되었습니다. 이러한 급증은 글로벌 금융 시스템 전반에 충격을 가해 전 세계 정책 입안자와 금융 관계자에게 새로운 과제를 안겨주었습니다. 금융 관계자들이 모로코에서 개최되는 국제통화기금(IMF)과 세계은행의 연례 회의를 준비하면서 이러한 글로벌 채권 시장 혼란의 원인을 이해해야 할 필요성이 절실히 필요합니다. 1. 채권수익률 급등 이해하기 이러한 금융 혼란의 중심에는 미국 정부 채권 수익률이 급등하고 있으며, 이는 세계 경제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상황을 자세히 살펴보면 .. 2023. 10. 31. 미국 은행 수익, 더 높은 금리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 1. 미국 은행 이익 예측 올해 3분기가 다가오면서 미국 금융산업은 기로에 섰습니다. 투자 은행 업계가 거래 부진으로 어려움을 겪는 동안 소비자 대출 기관은 이익이 급증할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행운의 차이는 주로 은행 부문에 대한 금리 상승의 영향에 기인합니다. 이 기사에서는 이러한 수익성 변화를 주도하는 요인을 살펴보고 소비자 대출 기관과 투자 은행의 대조적인 성과를 분석할 것입니다. 2. 소비자 대출 기관의 부상 국내 최대 은행 중 일부를 포함한 소비자 대출 기관은 금리 인상 전망으로 인해 수익성 있는 3분기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연준은 점진적으로 금리를 인상하겠다는 의사를 밝혔으며, 이는 이들 기관의 순이자마진을 개선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순이자마진은 은행이 대출을 통해 벌어들인 이자수익과.. 2023. 10. 31. IMF, 중국과 유로 지역의 경제 전망 하향 조정 (feat. 글로벌 경제의 위기) 1. IMF, 중국과 유로 지역의 경제 전망 하향 조정, 고르지 못한 글로벌 경제 회복 언급 국제통화기금(IMF)이 주요 경제 지역인 중국과 유로존에 대한 성장 전망을 낮췄습니다. IMF는 또 미국 경제의 '놀라운 강세'에도 불구하고 세계 경제 회복세가 여전히 부진하고 고르지 않다고 지적했습니다. 이러한 발전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경제적 혼란에서 회복하기 위해 전 세계 국가들이 직면한 어려움을 강조합니다. 본 글에서는 IMF의 수정된 성장 전망을 살펴보고, 글로벌 경제 환경이 불균등해지는 요인을 살펴보겠습니다. 2. IMF의 하향조정된 성장 전망 IMF의 최근 경제 전망은 냉철한 현실을 드러냅니다. 즉, 세계 경제가 팬데믹 이전의 모멘텀을 되찾기 위해 애쓰며 "절뚝거리고" 있습니다. IMF는 견고.. 2023. 10. 31. 캐나다, 모기지 금리 상승과 주택 융자 수요의 급격한 감소 캐나다의 모기지 금리 상승과 주택 융자 수요의 급격한 감소는 경제 전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우려를 불러일으키고 있습니다. 캐나다 모기지 수요는 1995년 이후 볼 수 없었던 수준으로 급락했는데, 이는 현재 8%에 육박하는 모기지 이자율의 급속한 증가에 힘입은 것입니다. 모기지 신청 및 승인의 감소로 인해 일부 사람들은 이러한 추세가 캐나다 경제에 위협이 되는지 의문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1. 모기지 시장 급락 캐나다 모기지 시장은 모기지 신청 건수가 과거 시대를 연상시키는 수준으로 떨어지면서 주택 융자 수요가 급격히 감소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주택 부문의 급격한 변화는 최근 모기지 금리의 급등에 기인합니다. 캐나다의 모기지 금리는 꾸준히 상승해 거의 8%에 이르렀습니다. 이는 최근 몇 년간 부동산 시장.. 2023. 10. 29. 이전 1 ··· 3 4 5 6 7 8 9 ··· 1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