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마뗑킴, 일본 시부야 미야시타 파크에 첫 매장 오픈
지난 4월 24일, 마뗑킴(Matin Kim)이 일본 도쿄 시부야의 복합문화공간 ‘미야시타 파크’에 첫 오프라인 매장을 성공적으로 오픈했습니다. 이 매장은 시부야 스크램블 교차로와도 가까운 도심 한복판에 자리 잡아, 뉴욕 타임스퀘어를 연상케 하는 전광판과 함께 마뗑킴의 오픈 소식이 시부야 중심을 장식했습니다.
프리오프닝 현장에서 만난 마뗑킴 경영전략실 윤승만 이사는 “꿈만 같다”는 소감을 전했습니다. 오랫동안 동경해 온 일본 시장 한가운데, 마뗑킴 매장이 입점하고 시부야 중심에서 브랜드 광고가 상영되는 장면은 브랜드의 성장 궤적을 상징하는 순간이었습니다.
2. 블로그 마켓에서 K-패션 대표 브랜드로
마뗑킴은 2015년 블로그 마켓에서 출발해, 2021년 하고하우스의 투자와 함께 본격적으로 성장 궤도에 올랐습니다. 2024년 기준 연매출 1,288억 원, 영업이익 387억 원을 기록하며 국내에서 손꼽히는 ‘메가 브랜드’로 자리 잡았습니다. 특히 매출총이익률의 상승은 단순한 외형 성장에 그치지 않고, 브랜드의 실질적 경쟁력과 상품의 가치가 소비자에게 인정받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할인 없이도 상품이 잘 팔리는 구조로, 마뗑킴은 양적·질적으로 모두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3. 브랜드 세계관과 제품 퀄리티, 그리고 하이엔드 라인 ‘킴마틴’
마뗑킴의 성장 동력은 ‘우리만의 세계관 구축’과 ‘제품 퀄리티 개선’에 있습니다. 초기 티셔츠 중심에서 니트, 데님, 아우터 등으로 상품군을 확장했고, 하이엔드 라인 ‘킴마틴(KIMMATIN)’을 통해 브랜드 미학의 확장과 새로운 시도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각 라인이 포트폴리오 내에서 명확한 역할을 하며, 전체 브랜드의 정체성을 강화하고 가격이 아닌 가치 중심의 소비를 유도하는 구조를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4. 일본 시장, 브랜딩의 새로운 무대
마뗑킴은 일본 시장을 단기 유행에 기대지 않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브랜드 정체성과 세계관을 전달할 수 있는 무대로 삼고 있습니다. 일본은 문화적으로는 가깝지만 패션 소비자들의 감각이 섬세한 시장이기에, 브랜드 철학과 디테일한 운영, 감성적 메시지까지 모두 시험받는 곳입니다. 이미 여러 차례 팝업스토어와 글로벌 브랜드 ‘코치’와의 협업을 통해 일본 내 인지도를 쌓아왔고, 이번 시부야점 오픈은 그 노력의 총결산입니다.
특히 무신사와의 파트너십은 마뗑킴이 현지 시장에 안정적으로 안착하는 데 큰 역할을 했습니다. 무신사의 일본 현지 네트워크와 인프라, 그리고 마뗑킴의 브랜드 철학에 대한 깊은 이해가 시너지를 냈습니다.
5. 미야시타 파크, 도쿄의 새로운 랜드마크
마뗑킴 시부야점이 입점한 미야시타 파크는 도쿄 시부야의 대표 복합문화공간으로, 1층부터 3층까지 다양한 패션, 라이프스타일, 레스토랑, 카페, 스트리트마켓, 엔터테인먼트 브랜드가 입점해 있습니다. 루이비통, 구찌, 메종키츠네, KITH 등 글로벌 브랜드와 어깨를 나란히 하며, 옥상에는 공원이 조성돼 있어 도심 속 힐링 공간으로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곳은 트렌드와 전통, 자연과 도시, 상업과 문화를 조화롭게 연결하는 공간으로, 마뗑킴이 추구하는 브랜드 이미지와도 잘 어울립니다.
6. 오픈 4일 만에 4,000명 방문, 3억 2천만 원 매출
마뗑킴 시부야점은 오픈 나흘 만에 누적 방문객 4,000명, 누적 매출 3억 2,000만 원을 기록하며 현지에서 흥행몰이에 성공했습니다. 공식 오픈 전날에는 일본 미디어, 패션 업계 관계자, 인플루언서 등 500여 명이 프리 오프닝 이벤트에 참석했고, 오픈 당일에는 1,000여 명이 매장을 찾아 일 매출 8,000만 원을 달성했습니다. 특히 로고 크롭 탑, 레터링 볼캡, 리본 라운드백, 에코백 등 시그니처 아이템이 현지 고객들에게 큰 인기를 끌었고, 오픈 나흘 만에 100여 가지 상품이 완판 되는 등 브랜드의 저력을 입증했습니다.
7. 지속 가능한 K-패션 브랜드로의 도약
마뗑킴은 앞으로 5년 안에 일본 전역에 15개 매장을 열고, 연매출 2,500억 원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단순한 매출 성장보다 더 깊고 다층적인 브랜드 경험을 만드는 데 집중할 계획입니다. 시부야점 오픈은 마뗑킴이 한국을 넘어 글로벌 브랜드로 성장하는 여정의 중요한 전환점이며, 앞으로도 브랜드의 철학과 세계관을 꾸준히 확장해 나갈 예정입니다.
마뗑킴의 시부야점 오픈은 K-패션이 일본, 그리고 세계 무대에서 어떤 방식으로 성장할 수 있는지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앞으로 마뗑킴이 어떤 새로운 브랜드 경험과 성과를 만들어낼지, 그 행보를 주목해 볼 만합니다.
삼성전자, 독일 플랙트 2.4조원 인수…글로벌 공조 시장 ‘빅딜’의 의미
1. 8년 만의 조 단위 M&A… 삼성전자, 플랙트그룹 전격 인수2025년 5월 14일, 삼성전자가 독일의 유럽 최대 공조기기 업체 플랙트그룹(FläktGroup) 지분 100%를 15억 유로(약 2조 4,000억 원)에 인수하는 계
mkpark01.tistory.com
본격적인 AI 서비스 시대를 연, 카카오 세계 (feat. 카나나)
카카오가 마침내 본격적인 AI 서비스 시대를 열었습니다. 지난 5월 8일, 카카오의 대화형 인공지능(AI) 서비스 ‘카나나’가 비공개 베타(CBT)로 첫선을 보였습니다. 첫날에만 4,800여 명의 이용자가
mkpark01.tistory.com
드디어 시작된 컬리의 진짜 실험 (feat. 10년 만에 첫 영업이익 흑자)
1. 컬리, 창립 10년 만에 첫 연결 기준 영업이익 흑자2025년 1분기, 컬리가 창사 이래 처음으로 연결 기준 영업이익 흑자를 달성했습니다. 영업이익은 17억 6,100만 원,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8% 증가
mkpark01.tistory.com
'경제 > 국제증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타벅스 AI 플랫폼 딥 브루, 직원 역할을 어떻게 바꿨나 (6) | 2025.05.25 |
---|---|
MG손해보험, 가교 보험사 설립 결정…124만 가입자 보호는 어떻게? (6) | 2025.05.25 |
삼성전자, 유럽 최대 공조기기 업체 플랙트 인수…AI 시대 ‘데이터센터 냉각’에 베팅한 이유 (7) | 2025.05.24 |
팝마트, 라부부로 글로벌 캐릭터 시장의 강자로 부상 (5) | 2025.05.24 |
SK그룹의 대규모 사업 재편과 미래 전략 (feat. 반도체∙AI∙에너지로 헤쳐 모여) (5) | 2025.05.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