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기사6 투자자가 알아야 할 경제기사 접근방법 (feat. 돈의 흐름인 금융) 금융상품의 모든 것: 돈은 사람과 사람 사이에서 계속 흘러 다닙니다. 우리는 이렇게 돈이 흘러 다니는 것을 ‘금융’이라고 부릅니다. 경제기사에서 가장 눈여겨봐야 할 부분이 바로 금융상품 소개와 실적 부분입니다. 이유는 ‘fast follower’가 되기 위해서입니다. 신규 상품은 고객 유치를 위해 더 많은 혜택을 주고, 능력 있는 펀드매니저가 운용할 확률이 크기 때문이죠. 새롭게 소개되거나 실적이 좋은 금융상품은 기사를 확인한 후에 알아보고 가입해도 좋습니다. 1. 대표적인 금융상품들 1) 예금 은행이나 비은행 같은 예금취급기관에 돈을 맡기면 원금과 이자를 받을 수 있는 상품입니다. 대표적으로 정기예금, 정기적금, 지급액이 확정된 보험이나 연금 등도 해당됩니다. 2) 펀드 자신이 직접 투자하는 것이 아니.. 2023. 7. 31. 투자자가 알아야 할 경제기사 접근방법 (feat. 경제상식, 금리 및 금융정책) 1. 경제기사의 50%는 금리와 관련된 정보 금리는 돈의 사용료입니다: 금리만 제대로 알아도 경제기사의 50%를 자동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돈을 일정기간 누군가에게 빌려주면 ‘이자’를 받습니다. 원금에 대한 이자의 비율을 ‘이자율’ 또는 ‘금리’라고 합니다. 금리는 여러 가지 이유로 변동합니다. 금리가 변하는 가장 대표적인 이유는 수요와 공급에 따른 시장 원리입니다. 돈을 빌리려는 수요가 공급보다 많으면 금리는 상승하고, 수요가 줄어들고 빌려주고자 하는 공급이 넘치면 금리는 하락합니다. 그렇다면 어떨 때 돈을 빌리려는 수요가 많아질까요? 경기가 좋으면 기업은 이익 증가를 위해 설비 투자를 늘리고자 돈을 빌리려고 합니다. 따라서 금리는 점점 올라가게 됩니다. 반대로 경기가 나쁘면 돈을 빌리려는 수요가 .. 2023. 7. 30. 투자자가 알아야 할 경제기사 접근방법 (feat. 경제기사의 속성과 읽는 이유) 1. 경제기사를 일반인들이 읽는 이유 사람에 따라 경제기사를 읽어야 하는 이유와 중요도가 다릅니다. 학교 동아리 활동이나 경제과목 공부를 위해, 대입 수능, 취업준비, 면접, 교양, 재테크를 위한 수단 등등입니다. 그런데 나의 목표점이 어딘 줄 알면 경제기사를 읽는 게 재밌어집니다. 물론 처음에는 초급 단계에서 시작하지만 중급을 지나 고급 단계인 재테크를 위한 수단까지 가야 합니다. 1) 초급 단계 경제상식을 넓히기 위해: 학업이나 교양을 위한 분들이 목표로 하는 단계입니다. 거시경제 위주로 읽고 본인의 경험과 사회 현상을 반추해 생각하면 되기 때문에 부담이 없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증권면이나 산업면, 금융면보다 종합면 위주로 읽으며, 어려운 용어는 패스해도 좋습니다. 2) 중급 단계 다양한 상식과 복합.. 2023. 7. 30. 건설안전기사 실기 필답형 15일차 1. 강관비계의 구조 : 안전보건규칙 제60조 1) 띠장간격은 2m 이하로 설치할 것 2) 비계기둥의 간격은 띠장 방향에서 1.85m 이하, 장선방향에서 1.5m 이하로 할 것 3) 비계기둥의 제일 윗부분으로부터 31m 되는 지점 밑 부분의 비계기둥은 2개의 강관으로 묶어세울 것 4) 비계기둥 간의 적재하중은 400kg을 초과하지 않도록 할 것 2. 꼬임이 끊어진 섬유로프 등의 사용금지 : 안전보건규칙 제357조 1) 꼬임이 끊어진 것 2) 심하게 손상 또는 부식된 것 3. 계측기기 설치 : 굴착공사 표준안전작업지침 (고용노동부 고시) 1) 수위계 2) 경사계 3) 하중 및 침하계 4) 응력계 4. 승강기에 설치할 방호장치의 종류 : 안전보건규칙 제134조 1) 과부하방지장치 2) 권과방지장치 3) 비상.. 2023. 4. 29. 건설안전기사 실기 필답형 14일차 1. 유해 및 위험방지계획서 제출 대상 사업의 종류 1) 지상 높이가 31m인 건축물 또는 인공구조물, 연면적 3만㎡ 이상인 건축물 또는 연면적 5천㎡ 이상의 문화 및 집회시설, 판매시설, 운수시설, 종교시설, 의료시설 중 종합병원, 숙박시설 중 관광숙박시설 또는 지하도상가 또는 냉동 및 냉장창고시설의 건설 및 개조 또는 해체 2) 연면적 5천㎡ 이상의 냉동 및 냉장창고시설의 설비 및 단열 공사 3) 최대지간길이가 50m 이상인 교량건설 4) 터널공사 등의 공사 5) 다목적댐, 발전용댐 및 저수용량 2천만 톤 이상의 용수전용댐, 지방상수도 전용댐 건설등의 공사 6) 깊이 10m 이상인 굴착공사 2. 개구부 등의 방호조치 : 안전보건규칙 제43조 1) 안전난간, 울타리 및 수직형 추락방망 설치 2) 덮개 .. 2023. 4. 23. 건설안전기사 실기 필답형 13일차 1. 경사면의 붕괴예방 1) 뿜어 붙이기 공법 2) 블록붙임 공법 3) 방호망을 설치 2. 방망사의 강도 1) 추락방지용 방망의 테두리 로프 및 달기 로프의 인장속도가 매분 20cm 이상 30cm 이하의 등속 인장 시험을 행한 경우 인장강도 1,500kg 이상 2) 방망사의 신품에 대한 인장강도 그물코의 크기 방망의 종류 및 인장강도 매듭 없는 방망 매듭 방망 10cm 240kg 200kg 5cm - 110kg 3) 방망사의 폐기 시 인장강도 그물코의 크기 방마의 종류 및 인장강도 매듭 없는 방망 매듭 방망 10cm 150kg 135kg 5cm - 60kg 3. TBM (Tool Box Meeting) 1) 인원은 5 ~ 7명 (10명 이하) 정도로 구성 2) 소요시간은 작업시간 전 5 ~ 15분, 작업.. 2023. 4. 22.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