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지수4

더 높은 코어 인플레이션은 심각한 불황을 촉발 가능 (feat. 인플레이션 위험) 1. 근원 인플레이션 상승으로 심각한 불황에 대한 우려가 촉발 미국의 소비자 물가는 12월에 예상했던 것보다 더 큰 급등을 경험했으며, 이는 연준이 필요한 금리 인하를 시행할 능력에 대한 추측을 증폭시켰습니다. 12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월 ​​대비 0.3% 상승해 11월의 0.2%를 넘어섰다. 전년 동기 대비 물가는 3.4% 상승해 전월 3.1%보다 상승했습니다. 경제학자들은 블룸버그 데이터를 바탕으로 월별 가격이 0.2%, 전년 대비 3.2% 상승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예상치 못한 급등으로 연준의 금리 결정에 잠재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논의가 격화되었습니다. 변동성이 큰 식품과 에너지 항목을 분리해 보면 '핵심' 인플레이션율은 전월에 보고된 4.0%에서 연율 3.9%로 소폭 감소했습니다.. 2024. 1. 25.
거시경제의 흐름에 대해 알아보자 (feat. 인플레이션 및 소비자물가지수) 2022년 언론에 ‘3고’라는 단어가 참 많이 나왔습니다. 3고란 세 가지가 높다는 것인데, 그것은 ‘고물가, 고금리, 고환율’이었습니다. 이 중 가장 중요한 것이 고물가였습니다. 2022년 우리나라 소비자물가상승률이 5.1%로 우리가 외환위기를 겪었던 1998년(7.5%)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그런데 2022년 미국 소비자물가상승률은 8.0%로 더 많이 올랐습니다. 특히 2022년 6월에는 미국 소비자물가가 전년 동월비 9.1%나 상승하면서 40년 4개월(1981년 11월 9.6%) 만에 최고치를 기록할 정도였습니다. 물가가 이렇게 오르다 보니 각국 중앙은행은 금리를 올릴 수밖에 없었습니다. 중앙은행 통화정책의 가장 중요한 목적이 물가안정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미국의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연.. 2023. 8. 10.
투자자가 알아야 할 경제기사 접근방법 (feat. 경제지표 읽는 방법) 경제지표를 읽는 것, 그것이 경제기사에서 팩트를 확인하는 가장 쉬운 방법입니다. 경제지표는 경제의 각 부분에서 측정한 값으로 지금이 어떤 상태인지, 과거로부터 추이는 어떠한지, 미래에는 어떨지 전망할 수 있는 숫자를 의미하죠. 경제지표 읽기에 앞서 사전지식으로 딱 4개만 설명드리겠습니다. 그것은 바로 지수, 변동률, 퍼센트 포인트, 그래프입니다. 1. 지수를 알아보자 경제지표는 대부분 지수(指數, index)로 표현됩니다. 지수란 구체적인 숫자 자체보다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수량이나 가격 등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상대적으로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만든 것입니다. 통상 비교되는 시점을 100으로 해서 산출합니다. 그래서 100을 기준으로 ‘높다, 낮다’를 확인할 수 있고, 연속 자료를 본다면 ‘증가추이인지.. 2023. 8. 1.
한국 4월 소비자물가 동향: 전년동월비 3.7% 기록 1. 2023년 4월 소비자 물가지수 동향 1) 소비자 물가 ‘22.7월 6.3%까지 상승했던 소비자물가는 빠르게 둔화되면서 4월 전월대비는 전기, 가스 및 수도는 변동 없으며, 농축수산물은 하락하였으나, 서비스, 공업제품이 상승하여 전체 0.2% 상승했습니다. 전년동월비는 서비스, 전기, 가스, 수도, 공업제품 및 농축수산물이 모두 상승하여 전체 3.7% 상승하였습니다. 2) 근원물가지수 (국내 및 국제기준)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지수는 전월대비 0.4%, 전년동월대비 4.6% 각각 상승했으며, 국제기준(OECD) 근원물가지수인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지수는 전월대비 0.3%, 전년동월대비 4.0% 각각 상승했습니다. 3) 생활물가지수 및 신선식품지수 생활물가지수는 전월대비 0.2%, 전년동월대비 3.7.. 2023. 5.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