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국제증시

늘어나고 또 늘어나는 AI 투자 (feat. 빅테크, 인공지능 투자에 집중)

by 트렌디한 경제 상식 2024. 11. 8.
반응형

늘어나고 또 늘어나는 AI 투자 (feat. 빅테크, 인공지능 투자에 집중)
늘어나고 또 늘어나는 AI 투자 (feat. 빅테크, 인공지능 투자에 집중)

 

1. 빅테크, AI 투자에 집중

1) 지출 전망 상향 조정

빅테크의 AI 관련 투자가 계속 늘어나는 흐름입니다. 올해 3분기 마이크로소프트(MS)의 자본 지출은 전년 동기 대비 50% 증가한 149억 달러(약 20조 5,600억 원)에 달했습니다. AI 인프라 투자가 늘어난 영향인데요. 메타 역시 올해 자본 지출 전망치를 370억~400억 달러에서 380억~400억 달러로 높여 잡았습니다.
 

2) 빅테크 설비투자액 최고가 경신?

최근 시티그룹은 미국 주요 빅테크 4곳(MS, 메타, 아마존, 알파벳)의 2024년 AI 설비 투자액이 288조 원에 이를 것이란 전망을 발표하기도 했습니다. 전년 대비 42%가량 증가할 것이라는 예상이죠.
 

2. 지금이 아니면 안 돼

1) 3분기 실적, AI 서프라이즈

빅테크 기업이 계속 AI 투자를 신경 쓰는 것은 올해 3분기 AI 부문의 호실적이 영향을 미친 듯 보입니다. 올해 3분기, 미국 주요 빅테크 대부분은 예상치를 웃돈 실적을 발표했는데요. 대부분이 생성형 AI 모델, 클라우드 서비스 등 AI 관련 사업의 호실적 덕을 톡톡히 봤습니다.
 

2) 클라우드 매출, 실적 견인

대표적으로 AI 수혜를 누린 기업이 바로 구글의 모기업, 알파벳입니다. 알파벳의 클라우드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35% 상승한 113억 5,000만 달러(약 15조 6,700억 원)에 달했는데요. MS와 아마존의 클라우드 부문 매출 역시 전년 동기 대비 20%가량 상승하는 등 다른 기업도 비슷한 상황입니다.
 

3) 지금이 투자 적기!

여러 빅테크 CEO는 이전에도 AI 설비투자에 대해 확신을 드러냈습니다. 순다르 피차이 구글 CEO가 지난 2분기 실적 발표에서 “기술 분야의 전환기에는 과소 투자의 위험이 과잉 투자의 위험보다 훨씬 크다”라고 말하며 AI 투자가 필요하다고 언급했죠. 앤디 제시 아마존 CEO도 이번 실적 발표에서 “AI는 일생일대에 한 번 있는 종류의 기회”라고 평가했습니다.
 

3. 하지만 시장은 차갑다

1) 주가는 급락

그러나, 호실적에도 시장의 반응은 차가웠습니다. 일부 빅테크 주가는 급락했는데요. 지난달 31일(현지 시각), MS의 주가는 전일 대비 6% 이상, 메타의 주가는 3% 이상 떨어졌죠. AI 투자 확대가 단기적으론 수익성 악화로 이어질 것이란 우려 때문입니다.
 

2) 버블 걱정도 여전해

AI 열풍이 지나치게 과장됐다는 지적도 꾸준히 제기됩니다. 특히 챗GPT의 기반이 되는 거대 언어 모델(LLM)을 두고 개발과 운영 비용이 지나치게 높다는 우려가 커지는데요. 실제로 올해 오픈 AI는 6조 원에 달하는 매출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지만, 운영 비용은 최대 12조 원에 육박할 것으로 보입니다.


 

 

금투세 폐지 공식화 (feat. 자본시장의 활력 전망)

1. 금투세 폐지 공식화1) 입장 밝힌 민주당내년 1월 시행을 앞두고 논란이 계속되던 금융투자소득세(금투세)가 결국 폐지됩니다. 지난 4일, 금투세의 운명을 결정할 이재명 더불어민주당(민주당)

mkpark01.tistory.com

 

코스피 대신 나스닥으로 상장 검토하는 토스 (feat. 국내 상장 중단)

1. 국내 상장 작업 중단한 토스1) 미국 상장부터 도전하는 토스모바일 금융 서비스 토스를 운영하는 비바리퍼블리카가 국내 상장 절차를 멈추고 미국 시장으로 눈을 돌립니다. 지난 29일, 비바리

mkpark01.tistory.com

 

신세계그룹, 이마트와 백화점 계열 분리 공식화 (feat. 아들과 딸)

1. 분리 경영 첫 공식화 선언1) 아들은 마트, 딸은 백화점지난달 30일, 신세계그룹(신세계)의 백화점 부문을 이끌었던 정유경 사장이 회장으로 승진했습니다. 신세계가 이마트와 백화점의 계열 분

mkpark01.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