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거시경제

저물어가는 고금리 시대 (feat. 주요국들의 기준금리 인하)

by MINK1016 2024. 6. 11.
반응형

저물어가는 고금리 시대 (feat. 주요국들의 기준금리 인하)
저물어가는 고금리 시대 (feat. 주요국들의 기준금리 인하)

 

지난 몇 년간 세계 경제를 나타내는 주요 키워드 중 하나는 ‘고금리’였습니다. 그런데 갑자기 분위기가 확 바뀐 것 같습니다. 세계 주요국들이 하나둘 기준금리 인하에 나서고 있습니다.

 

세계 10대 통화국 중에서 8곳이 올해 안에 금리를 인하하는 게 확실시되고 있습니다. 세계 10대 통화국이란, 가장 활발하게 거래되는 통화를 발행하는 국가들을 의미합니다. 미국, 유럽연합(EU), 일본, 영국, 중국, 캐나다, 스위스, 호주, 스웨덴, 노르웨이가 여기에 속합니다.

 

다른 나라들과 반대로 이제 막 금리를 올리기 시작한 일본과 아직 물가 상승세를 못 잡은 호주를 제외하면, 사실상 전 세계가 금리 인하로 돌아서는 추세라고 봐도 무방합니다. 정말 오랫동안 이어져 온 ‘고금리 시대’가 이대로 막을 내리게 될지, 금리 인하와 관련한 각종 전망을 정리해 봤습니다.

 

1. 속속 금리 인하 나서는 국가들

10대 통화국 중에서 가장 먼저 금리 인하에 나선 곳은 스위스와 스웨덴입니다. 스위스 중앙은행은 이미 지난 3월에 기준금리를 낮췄고, 스웨덴 중앙은행도 지난달 8일에 금리 인하를 발표했습니다.

 

이달 들어서는 캐나다와 유럽연합의 중앙은행이 나란히 금리 인하에 나섰습니다. 지난 5일 캐나다 중앙은행은 주요 7개국(G7) 가운데 처음으로 기준금리를 기존 연 5%에서 4.75%로 0.25% 포인트 내렸습니다. 코로나19 팬데믹 발발 직후인 2020년 3월 이후 4년여 만에 처음으로 금리를 인하한 겁니다.

 

다음날에는 유럽중앙은행(ECB)이 기준금리를 기존 4.5%에서 4.25%로 0.25% 포인트 인하했습니다. ECB가 기준금리를 내린 건 8년 3개월 만에 처음입니다. 2010년대 초 금융위기를 겪은 유럽연합(EU)은 이때부터 6년간 0% 수준의 낮은 금리를 유지해 오다가, 팬데믹 때 확장적 통화정책으로 유동성이 풀리기 시작하면서 물가가 치솟자, 금리를 올리기 시작했습니다. 2022년 7월부터 지난해 9월까지 무려 10차례나 기준금리를 올렸는데, 이제는 금리 인하로 돌아선 겁니다.

 

2. 기준금리 왜 내리는 거야?

주요국에서 금리 인하에 나선 건 코로나 이후로 가파른 우상향 곡선을 그렸던 물가 상승세가 슬슬 안정될 기미를 보이고 있기 때문입니다. 유럽을 예로 놓고 보면, 2022년 10%에 달하던 유로존(유로화를 쓰는 지역) 물가상승률은 최근 들어서는 목표치인 2%대로 내려왔습니다.

 

그동안 각국의 중앙은행들은 급격하게 오른 물가를 안정시키기 위해 기준금리를 높은 수준으로 유지해 왔습니다. 그런데 최근 들어 물가 상승세가 꺾이면서 ‘이제는 금리 인상을 멈춰야 한다’는 주장에 힘이 실리기 시작했습니다. 높은 기준금리가 오랫동안 유지되면, 자칫 경기 침체가 올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금리가 올라가면 대출을 받는 사람은 줄어들고, 예금을 하는 사람은 늘어나서 시중에 풀린 돈이 줄어들게 됩니다. 그만큼 소비나 투자도 감소하기 때문에 경기가 위축되는 경향이 생깁니다. 기준금리를 적당한 수준으로 유지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한 이유입니다.

 

반응형

3. 뭐니뭐니 해도 중요한 건 미국

주요 통화국 중에서도 세계 경제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국가는 단연 미국입니다. 미국의 기준금리는 세계 경제를 움직인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예·적금, 주식, 부동산 등 대부분의 자산에 영향을 미칩니다. 이제 미국의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언제쯤 기준금리 인하에 나설지에 세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하지만 미국은 상황이 좀 다른 것 같아요. 이번에 금리를 내린 유럽과 캐나다의 경우 물가상승률이 비교적 안정적으로 2%대에 안착했지만, 미국의 물가 상승률은 지난 4월 기준 3.4%로 여전히 3%대에 머물고 있습니다. 연준이 중요시하는 물가 지표인 개인소비지출(PCE) 지수 역시 잘 내려오지 않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고용시장이 아직 너무 뜨거운 것도 금리 인하를 미루는 결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어요. 물가 상승률은 2022년 6월 9.1%로 정점을 찍고 3%대까지 떨어졌지만, 실업률은 계속해서 완전 고용에 가까운 수준인 3%대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고용시장이 호황이라는 건, 개인들의 소비 여력이 크다는 의미이고, 소비가 줄지 않으면 향후 물가 상승률이 잡히지 않을 가능성이 큽니다. 앞으로도 경기가 과열될 가능성이 크다는 의미입니다. 그래서 연준이 금리 인하 시점을 결정할 때 물가보다도 고용 지표를 더 중요시한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문제는 고용시장 호황이 생각보다 오래 지속될 것 같다는 겁니다. 지난 7일 미국 정부가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5월 비농업 부문 일자리는 27만 2000개 늘어났습니다. 전문가들은 20만 개 아래일 것으로 예측했는데, 예측을 50% 이상 뛰어넘은 ‘깜짝’ 증가였습니다. 이제 곧 고용시장이 둔화할 것이라고 봤던 사람들은 실망감을 감추지 못했습니다. 예상 금리 인하 시기를 늦춘 전문가들도 나타났습니다.

 

그래서 미국 금리 인하는 언제 되는 거냐고요? 물론 의견이 분분하지만, 희망적으로 보는 사람들은 9월을 주목하고 있습니다. 전문가 중에서 약 54.4%가 ‘9월 금리 인하설’에 동의했다고 합니다. 다만 올해 안으로 인하는 어려울 것이라고 보는 비관적인 입장도 있습니다. 물가가 확실하게 잡히기 전에는 금리 인하에는 신중해야 한다는 입장이 연준 내부에서도 완전히 꺾이지 않고 있기 때문입니다.

 

728x90

4. 우리나라는 어떻게 될까?

최근 국내에서도 물가가 진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7%로 4월(2.9%)에 이어 두 달 연속 2%대를 유지했습니다. 애초에 한국은행에서 금리를 높은 수준으로 유지했던 건 치솟는 물가를 잡기 위해서였다는 점을 고려하면, 올해 하반기 안에는 금리를 인하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하지만 이른 시일 안에 금리를 내리기는 힘들 것이라는 의견도 있습니다. 미국의 금리 인하가 예상보다 늦어질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한국이 미국보다 먼저 기준금리를 내리기는 어렵습니다. 우리나라는 보통 미국보다 기준금리를 높은 수준으로 유지해 왔습니다. 매력적인 기업이 많고 경제 규모가 큰 미국의 금리가 다른 나라보다 높으면, 투자자들이 미국으로 쏠릴 겁니다. 그런데 미국에서 기준금리를 워낙 급격하게 올린 탓에, 한국 금리가 더 낮아지는 역전 현상이 발생했습니다. 한미 간 금리 격차는 사상 최대인 2% 포인트로 벌어져 있죠. 한국 기준금리 인하는 미국을 따라가기 때문에, 적어도 4분기는 되어야 가능할 것이라고 보는 사람이 많습니다.


 

 

미국 5월 고용 예상 밖 호조에 물 건너간 금리 인하 (feat. 글로벌 피벗)

지난주 캐나다은행과 유럽중앙은행(ECB)이 금리 인하를 단행하면서 세계적으로 통화정책 수정 움직임이 감지됩니다. 그러나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는 잡힐 듯 잡히지 않는 인플레이션에 금리

mkpark01.tistory.com

 

 

국제 거시경제: 유럽중앙은행 금리 인하 단행, 미국 1분기 노동비용 상승률 하향 조정, 일본은행

1. ECB 25bp 금리 인하 단행, 추가 인하엔 신중ECB는 9개월 동안 4%로 유지했던 단기 수신금리를 시장 예상대로 3.75%로 내리면서, 인플레이션 전망이 “현저하게” 개선되었다고 평가했습니다. 그러

mkpark01.tistory.com

 

 

세계 15위 산유국을 노리는 한국 (feat. 동해안에 최대 140억 배럴)

대통령이 깜짝 발표를 했습니다. 동해안에 최대 140억 배럴에 달하는 석유 및 가스가 매장돼 있을 수도 있다는 분석 결과를 공개한 겁니다. 기름 한 방울 나지 않는 나라인 줄 알았는데, 사실은

mkpark01.tistory.com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