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기술211

대만 TSMC의 시선으로 바라본 세상 (feat. 반도체오 테크 업계) 요즘 반도체에 대한 내용을 많이 다루고 있는 것 기억하시나요? 반도체가 테크 업계에서 워낙 중요하기 때문이죠. 그런데 세계 1위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제조) 업체인 TSMC에 대해서는 제가 잘 몰라서 그 내용은 항상 비어있었던 것 같아요. 마침 최근에 TSMC를 자세히 다룬 좋은 책이 나와서 오늘은 이 책을 중심으로 내용을 써보려고 합니다.  1. 대만 반도체 전문기자가 쓴 TSMC 경쟁력의 비결TSMC, 세계 1위의 비밀이라는 이 책은 대만의 경제일보와 비즈니스투데이 출신의 기자인 린훙원님이 쓴 책이에요. 글로벌 베스트셀러인 에 자극을 받고 2023년 출간한 책 晶片島上的光芒(웨이퍼섬의 빛)이 올해 4월 일본어판이 먼저 나왔고, 11월에 한국어판이 나온 것. 내년에는 영어판이 나온다고 해요. 30년간 T.. 2024. 12. 5.
통제 불가능한 AI는 인류 절반 날릴 타노스 같은 위험한 존재 인공지능(AI)이 우리 생활 깊숙이 들어왔습니다. 모르는 게 있으면 챗GPT에게 물어보고, 운전할 때는 자율주행 기능을 사용합니다. AI 기술이 발달한 만큼 우리 생활도 편리해졌지만, 동시에 인권과 윤리 문제 등 부작용에 대한 우려도 심각해졌습니다. 기술 발달 속도를 법과 제도가 따라가지 못하고 있기 때문인데요. AI 기술의 윤리적 제어는 현재 인류가 마주한 가장 큰 숙제 중 하나로 꼽힙니다. 제25회 세계지식포럼에서는 AI의 윤리적 발전 방향에 관한 토론이 열렸습니다. 포럼에서는 ‘AI가 잘못된 윤리를 구현할 경우 인류의 절반이 사라지는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경고까지 나왔다고 하는데요. 이번에는 세계 AI 권위자들이 경고하는 AI 기술 발전의 위험성을 짚어봅니다. 1. AI는 ‘외계인’ 같은 것... 2024. 12. 4.
커머스 시장의 핵심 성장 동력이 된 인공지능, AI (feat. 쇼핑 에이전트) AI는 ‘커머스’ 시장의 핵심 성장 동력이 된 지 오래입니다. AI 기술이 적용된 ‘개인화 추천’ 기술은 이제 안 쓰는 곳을 찾기 어려울 정도로 대중화됐고요. 최근에는 생성형 AI 기술이 적용돼 마치 사람처럼 사용자의 니즈에 응대하면서 쇼핑을 돕는 ‘에이전트’ 서비스까지 속속 등장하고 있습니다. 얼마 전 네이버가 별도 쇼핑앱 출시 계획을 밝힌 ‘플러스스토어’의 핵심 전략도 바로 이 ‘쇼핑 에이전트’에서 찾을 수 있었죠. 물류 트렌드 2025 공저자인 김창수 비욘드엑스 인공지능디자인연구센터장은 ‘AI 쇼핑 에이전트’를 유통산업을 바꿀 주요 트렌드 중 하나로 전망했습니다. 김 센터장에 따르면 지금은 소비자들이 구매하길 원하는 상품을 검색하여 쇼핑을 하고 있다면요. AI 쇼핑 에이전트가 확산된다면, 소비자들은.. 2024. 12. 1.
미리보는 2025 테크 트렌드 (feat. 2025년 CES 혁신상 수상작) 세계 최대 IT쇼인 CES가 드디어 2025년 CES 혁신상 수상작을 발표했습니다. 올해 AI 분과 혁신상 심사위원으로 참여하면서, “우수한 AI 만큼, 우수한 AI 반도체들이 정말 많이 등장했구나”하는 생각을 했는데요. 일부 참가 기업은 생성형 AI로 그럴듯하게 이미지도 만들어 내고 글도 작성해, 과감히 1점 처리를 하기도 했습니다. 그만큼 좋든 싫든 미래가 성큼 다가오고 있는 것을 실감하는 올해 하반기였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두 달 앞으로 다가온 CES 트렌드를 미리 살펴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짧고 굵게 정리해 드릴게요. 1. 복습편: 오늘의 전시물이 내일의 현실이다CES는 매우 오래된 이벤트입니다. 1967년 6월 미국 뉴욕에서 처음 열렸는데요. 당시 힐튼 호텔과 아메리카나호텔에서 열린 첫.. 2024. 11. 28.
한진이 준비한 드론과 스마트 글라스, 물류 현장이 매긴 실효성 점수 한진이 13일 ‘한진 스닉픽(Sneak Peek)’이란 이름의 스마트 물류 시연회를 개최했습니다. 한진 남서울종합물류센터에서 한진이 자체 제작한 드론과 투자 지원을 통해 개발한 스마트 글라스를 어떻게 활용하는지 직접 보여준 건데요. 물류센터 안에서 드론이 날아다니는 모습도 구경하고, 스마트 글라스를 직접 써볼 기회도 있었는데요.  사실 멋들어진 첨단 기술이나 제가 작성한 물류 현장을 보고 들은 후기보다 중요한 것은 이 기술이 정말 현장에서 쓰일 수 있느냐일 텐데요. 커넥터스가 실제 다양한 규모의 물류기업에서 일하고 있는 현직자들에게 이 드론과 스마트 글라스에 대한 의견을 물었습니다. 정말 물류센터 현장에서 이 녀석들을 사용할 것 같은지요. 결론부터 말하자면 쓸모 있는 것도 있지만, 영 안 쓸 것 같아 개.. 2024. 11. 28.
빅4 CEO가 말한 미래의 인공지능 AI (feat. SK AI 서밋 2024) 서울 코엑스에서 'SK AI 서밋 2024'가 열리고 있는데요.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전일 개막식에서 무려 1시간 이상 무대에 올라 AI에 대한 미래 구상을 밝혔습니다. 특히 이날 행사에서는 젠슨 황 엔비디아 CEO, 웨이저자 TSMC 회장, 사티아 나델라 MS 회장, 그렉 브록먼 오픈AI CEO 등이 참여해 열기를 더했습니다. 신청 오픈과 동시에 10분 만에 마감됐고 3만 5,000명이 등록했다는 ‘SK AI 서밋’. 글로벌 AI를 주름잡는 빅4 CEO들은 한 마디씩 하면서 AI 미래를 전망했는데요. 이들은 AI가 인간 지능을 초월할 미래가 가까이 왔으며, 그렇다고 해서 두려워만 말고, 지금부터라도 인류에 유익한 AI를 구축하자고 제언했습니다. 현장 목소리를 생생하게 전달합니다. 1. AI가 일자리 .. 2024. 11. 15.
무임승차로 점점 똑똑해지는 인공지능 (feat. 뉴스 기사의 저작권) 챗GPT 같은 인공지능(AI)을 똑똑하게 만드는 데에 뉴스가 정말 많이 활용됐다는 사실, 혹시 아셨나요? 글을 기반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AI 프로그램들은 비교적 신뢰도가 높은 뉴스를 학습에 활용하기도 하고, 사용자가 특정 정보를 질문했을 때 온라인 뉴스에서 찾아 답변해 주기도 해요. 전 세계 언론이 매일 쏟아내는 정보의 양은 어마어마하잖아요. 그만큼 AI에게 정말 중요한 정보 출처인 거죠. 그래서 뉴스 기사의 저작권을 AI 기업들이 무단으로 활용한다는 비난은 꾸준히 제기돼 왔어요. 그리고 유력 언론사가 많은 미국에서 가장 먼저 이 갈등이 폭발하기 시작했어요. 1. 갈등이 폭발했다고?최근 미국에선 영향력 있는 언론사들이 AI 기업에 대한 저작권 소송을 제기하는 사례가 이어지고 있어요. 지난해까지 주로 음악.. 2024. 11. 9.
퀄컴과 Arm의 전쟁에서 웃는 건 애플 (feat. IP 계약해지 통보) 안녕하세요? 반도체 설계 지적재산권을 가진 기업 Arm이 퀄컴에 IP 계약해지를 통보했습니다. 계약해지 통보라니 뭔가 섬뜩한 말인데요. 이 두 회사의 법적분쟁은 테크업계에 미치는 파급효과도 클 뿐 아니라 이 뒷 배경을 이해하고 보면 재미있는 사건입니다. 오늘은 퀄컴의 역사에서 시작해 Arm과의 분쟁이 가진 의미를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1. 퀄컴의 역사로 보는 모바일의 시대퀄컴은 1933년에 태어나 UC샌디에고 대학교에서 통신(Communication) 분야의 교수로 일했던 어윈 제이콥스에 의해서 설립되었습니다. 지금도 퀄컴이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디에고에 본사를 두고 있는 것은 창업자가 UC샌디에고 교수였기 때문이죠. 그가 1965년에 쓴 책 ‘통신공학원리(Principles of Communication.. 2024. 11. 7.
구글, 아마존 그리고 한국이 동시에 찾는다는 소형모듈원전 (feat. SRM) 요즘 제일 잘 나가는 분야를 꼽으라면, 많은 분이 단연 인공지능(AI)을 택하실 것 같아요. 반도체 산업도 AI용 반도체를 중심으로 산업이 재편되고 있고, 이외에도 여러 산업 전반에 AI의 발전이 엄청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이야기를 쉽게 들을 수 있죠. 이번에는 에너지 분야, 좀 더 정확히는 원자력발전 분야에서 AI 산업이 큰 영향을 끼치기 시작했어요. 구글‧아마존이 얼마 전에 연이어 소형 원전을 운영하는 기업과 대규모 계약을 체결했고, 이를 계기로 ‘소형모듈원전(SMR)’을 주목하는 투자자가 확 늘어난 거예요. 1. SMR이 뭐야?소형모듈원전(SMR, Small Modular Reactor)은 이름에서 알 수 있듯 기존의 대형 원자력발전소(원전)에 비해 발전 용량이 작고, 구조가 ‘모듈형’으로 이뤄진.. 2024. 11. 4.
반응형